대전 도시철도

![]() 대전 도시철도 노선도 | |
정보 | |
---|---|
종류 | 도시 철도 |
운행 지역 | ![]() |
상태 | 영업 중 |
노선 수 | 1 |
역 수 | 22 |
궤간 | 1,435mm 표준궤 |
운영 | |
개통일 | 2006년 3월 16일 |
소유자 | 대전광역시청 |
운영자 | 대전교통공사 |
시설 | |
대전 도시철도(大田都市鐵道)는 대전광역시에서 운행되는 도시 철도이다. 대전교통공사에 의해 운영된다.
개요[편집]
1991년 대전직할시의 도시철도건설계획이 수립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 1996년에 1호선을 착공하면서 5호선까지의 계획을 세웠으나 수요예측상의 이유로 계획을 수정하여 3호선까지 검토하기로 하였다.
이 중 1호선은 1996년부터 공사가 시작되어 2006년 3월 16일에 판암역 (대전광역시 동구 판암동)과 정부청사역(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사이의 구간을 1차로 개통하여 운영하였으며, 2007년 4월 17일에는 정부청사역 - 반석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반석동)까지를 2차로 개통하여 운영하고 있다.
노선[편집]
노선색 | 노선명 | 기점 | 종점 | 연장 | 역 수 | 개통일 | 운영 |
---|---|---|---|---|---|---|---|
1호선 | 판암 | 반석 | 22.7 km | 22 | 2006년 3월 16일(판암~정부청사) | 대전교통공사 | |
2007년 4월 17일(정부청사~반석) | |||||||
판암 | 식장산 | 2 | 2025년 6월 개통 예정 | ||||
2호선 | 서대전역 | 서대전역 | 38.1km | 45 | 2028년 개통 예정 | ||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 반석 | 청주공항 | |||||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 신탄진 | 계룡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
1호선[편집]
1호선은 1996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06년 3월 16일에 개통한 노선이다. 대전역 등 원도심과 둔산동을 거쳐 유성온천, 노은동 등 신도시 지역을 통과하여 대전의 도심과 부도심을 빠르게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전 구간 운행에 40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편집]
2호선[편집]
충청권 광역철도[편집]
3호선[편집]
연혁[편집]
- 1996년 2월 16일: 기본계획 확정
- 1996년 10월 30일: 대전 도시철도 1호선 1차공사 착공
- 2004년 1월 19일: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설립기획단 설치
- 2004년 8월 13일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설치조례 제정
- 2004년 12월 27일: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초도 차량 (101편성) 반입
- 2005년 1월 1일: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설립
- 2006년 3월 16일: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일부(판암~정부청사) 개통
- 2007년 4월 17일: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잔여 구간(정부청사~반석) 개통
- 2022년 1월 1일: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의 상호를 대전교통공사로 변경
에피소드[편집]
2006년 3월 개통을 앞두고 대전시는 15,000명의 시민을 초청하여 시운전을 하려 했으나 대전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는 무료 시승행사가 당시 재선에 도전하는 염홍철 대전시장의 홍보가 될 수 있다고 유권해석을 내렸다. 결국, 대전도시철도공사는 1.2톤짜리 물통 13개를 전동차에 싣고서 시운전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