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연대 1970년대 1980년대 - 1990년대 - 2000년대 2010년대 |
해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

1990년 4월 허블 우주 망원경이 발사되었다.
1990년대는 1990년대부터 1999년까지를 가리킨다.
문화[편집]
1990년대는 아날로그 매체의 최전성기 시절이자 디지털의 태동기로, 1980년대부터 이어진 아날로그 문화가 파급력의 절정에 달했던 시대다. 냉전의 종식과 다가오는 뉴 밀레니엄의 여파로 문화계 역시 전체적으로 혼란스러운 분위기를 띄게 되었으며, 대한민국의 경우 서태지와 아이들을 필두로 댄스 음악이 처음 국내언어로 도입된 시대이기도 했다. 한편 1990년대 중반 Windows 95의 런칭과 함께 90년대 중반부터 디지털 문화가 조금씩 태동하기 시작하며 아날로그 매체와 디지털 매체의 경쟁이 시작되기도 했다. 2000년대까지 디지털 매체는 발전을 거듭했고 아날로그 매체와 함께 혼용되어 사용되다가, 2010년대에 이르러 스마트폰이라는 디지털 기술의 집합체를 내놓으며 본격적인 스마트폰의 시대를 열었다. 스마트폰의 대중화 이후 기존 디지털 시장은 아날로그 매체와 함께 시장에서 사라졌다.
사건[편집]
대한민국 제 4대 대통령인 윤보선이 사망하다.
- 1991년
- 1992년
- 수요집회가 시작되다.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다.
-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수교하다.
- 가수 서태지와 아이들이 데뷔했다.
- 대한민국 첫 번째 영부인 프란체스카 도너가 ,향년 92세로 사망하다.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이 당선되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93년
- 김영삼 정부가 출범하다.
- 금융 실명제가 실시되었다.
- 대한민국 대전에서 대전엑스포 개최되다.
-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94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일성이 사망하였다.
- 성수대교 붕괴 참사가 일어나다.
- 지하철 과천선 구간이 개통되었다.
- 대한민국 지하철 분당선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95년
- 일본 한신 대지진이 발생하다.
- 대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가 일어나다.
-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가 일어나다.
- 대한민국이 지방단체장과 지방의원을 동시에 선출하는 지방선거를 실시하였다.
- 신세기 에반게리온이 일본에서 방영하다.
- 서울 지하철 5호선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96년
- 대한민국에서 국민학교 명칭이 초등학교로 변경되다.
- 지하철 일산선 구간이 개통되었다.
- 서울 지하철 5호선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서울 지하철 8호선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다.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다.
- 대한민국에서 조선총독부가 완전 철거되다.
- 아이돌그룹 H.O.T.가 데뷔했다.
- 대한민국이 12월 12일에 OECD에 가입되다.
- 2002년 월드컵 개최지로 대한민국과 일본을 동시개최지로 최종 선정되었다.
- 1997년
대한민국 제 4대 대통령 영부인,공덕귀가 세는나이로 향년 87세로 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