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는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이다. 1992년 3월 24일 화요일에 실시하였고 총 299명을 선출하였다. 각 지역구에서 1구 1인의 국회의원을 뽑는 소선거구제를 통한 직접선거다.
배경[편집]
6월 항쟁 이후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는 거세졌고,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졌다. 이후 13대 대선에서 노태우가 당선되어 민주정의당은 정권을 연장하게 되었으나, 이어 치러진 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인 민주정의당이 과반에 미치지 못하는 125석밖에 얻지 못한 데 이어 철저한 원내교섭단체 4당 체제가 구축되면서 위기에 봉착하게 된다. 13대 국회 초기 평화민주당 총재 김대중,통일민주당 총재 김영삼,신민주공화당 총재 김종필는 노태우 대통령과 집권여당 민주정의당에게 엄청난 견제했다. 집권여당 민주정의당는 이러한 상태로는 정권 재창출이 어렵다고 보고 일단 의원 권력을 여소야대 판세를 뒤집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권력 기반을 강화하고 정국 주도권를 다시 되찾고 보수 대통합를 하기 위해서 통일민주당 김영삼 총재와 신민주공화당 총재 김종필와의 결합하여 3당 합당을 통해 민주자유당이 탄생하여, 218석의 거대 여당이 된다. 통일민주당 통합 반대파는 독자적으로 꼬마 민주당를 창당했고 반면 제1야당 평화민주당는 신민주연합당으로 당명 변경을 했고 14대 총선을 앞두고 신민주연합당과 꼬마 민주당 그리고 재야세력는 이를 통해 민주당으로 통합 출범했다. 이번 14대 총선은 노태우 정부의 마지막 평가전이자 14대 대선을 8개월을 앞둔 전초전이다.
각 정당 반응[편집]
민주자유당[편집]
3당 합당으로 인해 기존에 경상북도 일대에서만 지지를 받은 민자당의 지지가 넓어졌다. 경상남도의 지지를 받던 통일민주당의 합류로 경상도 자체에서 지지를 얻었고, 충청도에서 지지를 받던 신민주공화당의 합류로 충청도에서도 지지를 얻게 되었다. 이렇게 되어 민자당의 압승은 너무나도 쉬운 일이 되었지만, 정주영이 여야의 낙천자들을 대상으로 영입하여 통일국민당을 창당하는 바람에 위기를 맞이하였다. 통일국민당이 돌풍을 일으키면서 보수층의 일부가 통일국민당을 지지하게 되었고, 이미 민자당의 독재 정치로 인해 국민들에게 실망을 주어 많은 의석을 잃게 되었다. 선거 전 194석을 차지하고 있었던 민자당은 45석을 잃은 149석밖에 차지하지 못했지만, 보수 성향의 무소속 의원를 영입하면서 원내 과반수에 육박하는 의석을 얻었다.
민주당[편집]
13대 국회 초기 당시 통일민주당과 평화민주당으로 갈라졌던 민주당계는 3당 합당으로 위기에 봉착했다. 당시 통일민주당이 평화민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민주정의당에 합류하는 바람에, 경상남도에서 민주당계에 대한 지지가 추락하였다. 게다가 신생 민주자유당이 218석을 차지하는 바람에, 평민당은 자칫 민자당에 짓밟힐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김대중은 평민당을 신민주연합당으로 개편한 뒤, 기존의 꼬마민주당을 끌어들여 새로운 민주당을 만들었다. 또한 기존의 운동권 세력들도 끌어들이는 등 화합을 시도했다. 선거 결과, 97석을 얻어 개헌 저지선(100석)을 넘지는 못했지만 나름 커다란 성과를 이루었다.
통일국민당[편집]
현대그룹의 회장이었던 정주영은 여야의 낙천자들을 대상으로 영입해 통일국민당을 창당했다. 이 통일국민당이 바람을 일으키면서 일부 보수층들이 민자당 대신 국민당을 지지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선거 결과 31석을 획득하여 원내교섭단체를 확보하면서 제3당으로 부상했다. 이 바람이 몰고 온 또 다른 효과는, 민자당의 돌풍을 차단할 수 있었다는 것이었다.
선거 정보[편집]
- 총유권자수 : 29,003,828명
- 대통령 : 노태우 (민주자유당)
- 의석정수 : 299의석 (지역구 237석 + 전국구 62석)
- 선거제도 : 소선거구제 + 비례대표제
- 투표일 : 1992년 3월 24일
투표율[편집]
- 전국 선거인수 29,003,828명 중 20,843,482명이 투표하여, 투표율은 71.9%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지난 13대 총선의 투표율 75.8%와 비교하면 낮은 수치이다.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
투표율 | 69.2 % | 69.1 % | 66.6 % | 68.0 % | 70.1 % | 70.1 % | 69.6 % | 78.0 % | 76.0 % | 76.0 % | 74.3 % | 75.4 % | 78.4 % | 77.3 % | 78.6 % |
선거 결과[편집]
1 | 123 | 21 | 31 | 149 | |
신정치개혁당 | 민주당 | 무소속 | 통일국민당 | 민주자유당 |
정당 | 득표 | 의석 | ||||||||
---|---|---|---|---|---|---|---|---|---|---|
득표수 | % | ± | 지역구 | ± | 전국구 | ± | 합계 | ± | ||
민주자유당 | 7,923,718 | 38.49 | –34.89 | 116 | –44 | 33 | –26 | 149 | –70 | |
민주당 | 5,843,827 | 29.17 | +9.91 | 75 | +21 | 22 | +6 | 97 | +27 | |
통일국민당 | 3,574,419 | 17.37 | +17.37 | 24 | +24 | 7 | +7 | 31 | +31 | |
신정치개혁당 | 369,044 | 1.79 | +1.79 | 1 | +1 | 0 | ±0 | 1 | +1 | |
민중당 | 319,041 | 1.55 | +1.55 | 0 | ±0 | 0 | ±0 | |||
공명민주당 | 17,257 | 0.09 | +0.09 | |||||||
무소속 | 2,372,005 | 11.52 | +6.77 | 21 | +12 | 21 | +12 | |||
기권/무효 | 259,670 | |||||||||
합계 | 20,843,482 | 100 | ±0 | 237 | +13 | 62 | –13 | 299 | ±0 | |
등록유권자/투표율 | 29,003,828 | 71.86 |
지역별 지역구 의원 수[편집]
지역 | 민주자유당 | 민주당 | 통일국민당 | 신정치개혁당 | 무소속 | 합계 |
---|---|---|---|---|---|---|
서울특별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산직할시 | ![]() ![]() ![]() ![]() ![]() |
- | - | - | ![]() ![]() |
![]() ![]() ![]() ![]() ![]() ![]() ![]() |
대구직할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천직할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광주직할시 | - | ![]() |
- | - | - | ![]() |
대전직할시 | ![]() ![]() |
![]() ![]() |
- | - | ![]() ![]() |
![]() ![]() ![]() ![]() ![]() ![]() |
경기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강원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충청북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충청남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라북도 | ![]() ![]() ![]() |
![]() ![]() ![]() ![]() |
- | - | - | ![]() ![]() ![]() ![]() ![]() ![]() ![]() |
전라남도 | - | ![]() |
- | - | - | ![]() |
경상북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상남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주도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1 | ![]() ![]() ![]() |
![]() ![]() ![]() ![]() ![]() ![]() ![]() ![]() ![]() ![]() ![]() ![]() |
정당 득표율[편집]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인 | 비고 |
---|---|---|---|---|
민주자유당 | 7,923,718 | ![]() ![]() ![]() ![]() |
33 | |
민주당 | 6,004,578 | ![]() ![]() ![]() ![]() ![]() |
22 | |
통일국민당 | 3,574,419 | ![]() ![]() ![]() ![]() |
7 | |
신정치개혁당 | 369,044 | ![]() ![]() |
||
민중당 | 319,041 | ![]() ![]() |
정당등록취소 | |
공명민주당 | 21,007 | 0.1% | ||
무소속 | 2,372,005 | ![]() ![]() ![]() |
||
총합 | 20,583,812 | ![]() ![]() ![]() ![]() ![]() ![]() ![]() ![]() ![]() ![]() ![]() ![]() ![]() ![]() ![]() ![]() ![]() ![]() ![]() ![]() |
62 |
전국구 배분[편집]
국회의원 선거법에 따라, 지역구 5석 이상을 획득한 민주자유당, 민주당, 통일국민당에 지역구 의석수에 따라 각각 33석, 22석, 7석이 배분되었다.
당선자[편집]
지역구[편집]
색 | 정당 |
---|---|
민주자유당 | |
민주당 | |
통일국민당 | |
신정치개혁당 | |
무소속 |
전국구[편집]
민주자유당 | 민주당 | 통일국민당 | |
1 | 김영삼 | 김대중 | 문창모 |
2 | 박태준 | 이기택 | 양순직 |
3 | 김재광 | 강창성 | 정주영 |
4 | 노재봉 | 장재식 | 조윤형 |
5 | 권익현 | 이우정 | 최영한 |
6 | 이만섭 | 나병선 | 이건영 |
7 | 정석모 | 신진욱 | 정장현 |
8 | 안무혁 | 김옥천 | |
9 | 이원조 | 장준익 | |
10 | 최병렬 | 이동근 | |
11 | 김종인 | 국종남 | |
12 | 김광수 | 김충현 | |
13 | 박재홍 | 강희찬 | |
14 | 강선영 | 박정훈 | |
15 | 정시채 | 박일 | |
16 | 최운지 | 김옥두 | |
17 | 강용식 | 박은태 | |
18 | 김영수 | 장기욱 | |
19 | 김영진 | 김말룡 | |
20 | 강신옥 | 양문희 | |
21 | 서상목 | 박지원 | |
22 | 윤태균 | 이장희 | |
23 | 박구일 | ||
24 | 곽영달 | ||
25 | 이명박 | ||
26 | 이환의 | ||
27 | 강인섭 | ||
28 | 김동근 | ||
29 | 최상용 | ||
30 | 주양자 | ||
31 | 이현수 | ||
32 | 노인도 | ||
33 | 구천서 |
사건[편집]
군대내에서 사병에게 민주자유당 후보에게 무조건 기표하라는 교육이 이뤄진 사실이 3월 22일 이지문 중위에 의해 폭로가 되었다.[3]
참고 자료[편집]
- 국회의원선거법(일부개정 1991.12.31 법률 4462호)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대선거정보시스템 Archived [날짜 없음], - Archive.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