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
![]() |
대한민국의 정치와 정부 |
![]() |
선거 |
---|
방식 |
종류 |
용어 |
하위 항목 |
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의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대한민국의 선거이다. 대한민국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국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에 의하여 선출한다.[1]
선거일 및 선거 기간[편집]
후보자 등록 마감일 다음날부터 선거일까지의 선거기간은 23일[2]이며, 대통령의 임기 만료일전 70일부터 첫 번째로 돌아오는 수요일에 선거를 시행한다. 선거일이 국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민속절 또는 공휴일인 때와 선거일 전날이나 그 다음날이 공휴일인 때에는 그 다음주의 수요일로 한다.[3]
선거권과 피선거권[편집]
선거권은 만 18세 이상, 피선거권은 선거일 현재 5년 이상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만 40세 이상의 국민에게 부여된다. 다만 법률상 금치산자,선거법을 위반하여 일정 기간이 지나지 않은 자, 금고 이상의 형이 종료·실효되지 않은 자 등은 만 18세 이상일 경우에도 선거권이 부여되지 않는다.
후보자 등록[편집]
두 가지 방법으로 후보자 등록이 가능하다. 후보자가 정당의 당원일 경우, 소속 정당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 혹은 하나의 시·도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선거권자 500인 이상씩, 5개 이상의 시·도에서 총 2,500명에서 5,000명의 추천을 받으면 가능하다.
선거 기탁금은 3억원이다. 과태료나 불법시설물에 대한 대집행 비용은 이 기탁금에서 부담된다.[4] 후보자가 당선하거나 15% 이상 득표하면 남은 기탁금은 전액 돌려받으며, 10~15% 사이인 경우 절반을 받는다. 후보자가 사망한 경우에도 전액 돌려받을 수 있다.[5]
기호의 결정[편집]
후보자등록마감일 현재 국회에 의석을 보유한 정당은 의석을 많이 보유한 순서대로, 의석이 없는 정당은 명칭의 가나다 순으로, 무소속은 무소속 후보끼리의 무작위 추첨으로 정하여 숫자로 기호를 결정한다.
투표[편집]
- 투표는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시행한다.
역대 선거 목록[편집]
- 투표율 기록은 대한민국의 당시 유권자 기준으로 함.
- 1~2위 및 10% 이상[6] 득표자만 기재함.
- 간접선거의 투표율은 기록하지 않음.
- 투표율에 적색표시는 최고 투표율, 청색표시는 최저 투표율을 의미함.
대수 | 선거일 | 투표율 | 득표자/득표율 | 비고 | |||||
---|---|---|---|---|---|---|---|---|---|
1 | 1948년 7월 20일 | 간접선거 | 이승만 | 김구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한국독립당 | ||||||||
91.8% | 6.6% | ||||||||
2 | 1952년 8월 5일 | 88.1% | 이승만 | 조봉암 | 이시영 | 첫 대통령 직접선거 | |||
자유당 | 무소속 | 민주국민당 | |||||||
74.6% | 11.4% | 10.9% | |||||||
3 | 1956년 5월 15일 | 94.4% | 이승만 | 조봉암 | |||||
자유당 | 무소속 | ||||||||
70.0% | 30.0% | ||||||||
- | 1960년 3월 15일 | 97.0% | 이승만 | 당선자 임기 개시 전 사퇴. | |||||
자유당 | |||||||||
100.0% | |||||||||
4 | 1960년 8월 12일 | 간접선거 | 윤보선 | 김창숙 | |||||
민주당 | 무소속 | ||||||||
79.1% | 11.0% | ||||||||
5 | 1963년 10월 15일 | 85.0% | 박정희 | 윤보선 | |||||
민주정의당 | 민정당 | ||||||||
46.6% | 45.1% | ||||||||
6 | 1967년 5월 3일 | 83.6% | 박정희 | 윤보선 | |||||
민주정의당 | 신민당 | ||||||||
51.4% | 40.9% | ||||||||
7 | 1971년 4월 27일 | 79.8% | 박정희 | 김대중 | |||||
민주정의당 | 신민당 | ||||||||
53.2% | 45.2% | ||||||||
8 | 1972년 12월 23일 | 간접선거 | 박정희 | 단일 후보 | |||||
민주공화당 | |||||||||
99.9% | |||||||||
9 | 1978년 7월 6일 | 박정희 | |||||||
민주공화당 | |||||||||
99.8% | |||||||||
10 | 1979년 12월 6일 | 최규하 | 박정희 대통령 사망으로 인한 보궐선거 | ||||||
무소속 | |||||||||
96.3% | |||||||||
11 | 1980년 8월 27일 | 전두환 | 하야로 인한 보궐선거 | ||||||
무소속 | |||||||||
99.4% | |||||||||
12 | 1981년 2월 25일 | 전두환 | 유치송 | 대통령선거인단 간접선거 | |||||
민주정의당 | 민주한국당 | ||||||||
90.1% | 7.7% | ||||||||
13 | 1987년 12월 16일 | 89.2% |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16년만의 직선제 부활 | |||
민주정의당 | 통일민주당 | 평화민주당 | |||||||
36.6% | 28.0% | 27.0% | |||||||
14 | 1992년 12월 18일 | 81.9% | 김영삼 | 김대중 | 정주영 | ||||
신한국당 | 민주당 | 통일국민당 | |||||||
42.0% | 33.8% | 16.3% | |||||||
15 | 1997년 12월 18일 | 80.7% | 김대중 | 이회창 | 이인제 | 최초의 평화적 정권 교체 20세기 마지막 대통령 선거 | |||
새정치국민회의 | 한나라당 | 국민신당 | |||||||
40.3% | 38.7% | 19.2% | |||||||
16 | 2002년 12월 19일 | 70.8% | 노무현 | 이회창 | 21세기 첫 대통령 선거 | ||||
새천년민주당 | 한나라당 | ||||||||
48.9% | 46.6% | ||||||||
17 | 2007년 12월 19일 | 63.0% | 이명박 | 정동영 | 이회창 | 보수정당계 정권 성립 | |||
한나라당 | 대통합민주신당 | 무소속 | |||||||
48.7% | 26.1% | 15.1% | |||||||
18 | 2012년 12월 19일 | 75.8% | 박근혜 | 문재인 | 사상 첫 여성 대통령 당선 민주화 이후 첫 과반 대통령 | ||||
새누리당 | 민주통합당 | ||||||||
51.6% | 48.0% | ||||||||
19 | 2017년 5월 9일 | 77.2%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전임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보궐선거 민주당계 정권 성립 | |||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 | 국민의당 | |||||||
41.1% | 24.0% | 21.4% |
당선자의 결정[편집]
후보가 두 명 이상일 때[편집]
후보자가 두 명 이상일 때에는 유효투표의 최다수를 얻은 자를 당선자로 한다. 단, 최고득표자가 2인 이상인 때에는 국회에서 재적 의원 과반수가 참석한 공개 회의를 통해 선출한다.
후보가 한 명일 때[편집]
후보 등록 마감 시각까지 후보자로 등록한 사람이 1명일 때에는 유권자 수의 3분의 1 이상의 득표를 얻어야만 당선된다.
대통령 선거 목록[편집]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편집]

부통령 선거 목록[편집]
대수 | 공고일 | 선거일 | 선출방식 | 당선인 | 정당 | 임기 | 법정 임기 |
비고 |
---|---|---|---|---|---|---|---|---|
1 | 1948년 7월 18일 | 1948년 7월 20일 | 간선 | 이시영 | 무소속 | 1948년 8월 15일 ~ 1951년 5월 9일 |
4년 | 사임으로 임기 중단. |
2 | 1951년 5월 14일 | 1951년 5월 16일 | 간선 | 김성수 | 민주국민당 | 1951년 5월 17일 ~ 1952년 5월 29일 |
4년 | 사임으로 임기 중단. |
3 | 1952년 7월 18일 | 1952년 8월 5일 | 직선 | 함태영 | 무소속 | 1952년 8월 15일 ~ 1956년 8월 14일 |
4년 | |
4 | 1956년 3월 28일 | 1956년 5월 15일 | 직선 | 장면 | 민주당 | 1956년 8월 15일 ~ 1960년 4월 26일 |
4년 | |
- | 1960년 2월 3일 | 1960년 3월 15일 | 직선 | 이기붕 | 자유당 | 4년 | 당선자 임기 개시 전 사퇴. |
역대 부통령 선거 결과[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