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49년 대한민국의 재보궐선거는 군정법령 제175호 규정에 의해 1월 13일, 3월 30일, 6월 10일, 7월 23일에 치러졌다.
1월 13일 재보궐선거[편집]
개요[편집]
선거 구역 및 사유[편집]
![]() |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
선거 결과[편집]
당선자 명부[편집]
![]() |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
전북 무주군 (제18선거구)[편집]
전남 목포군 (제2선거구)[편집]
기호 | 순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1 | 강선명 | 무소속 | 6,995 | ![]() |
![]() |
2 | 2 | 김용무 | 무소속 | 6,922 | ![]() ![]() ![]() ![]() ![]() |
|
인구수 | 103,081 | 계 | 13,917 | - | 투표율 |
경북 안동군 을 (제9선거구)[편집]
![]() |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
기호 | 순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1 | 임영신 | 대한여자국민당 | 7,263 | ![]() ![]() ![]() ![]() |
![]() |
2 | 9 | 남성민 | 무소속 | 1,078 | ![]() |
|
3 | 5 | 유진걸 | 무소속 | 2,368 | ![]() ![]() ![]() |
|
4 | 4 | 윤필영 | 민족청년단 | 4,296 | ![]() ![]() |
|
5 | 8 | 조흥노 | 무소속 | 1,672 | ![]() |
|
6 | 3 | 장택상 | 무소속 | 5,488 | ![]() ![]() ![]() |
|
7 | 7 | 김병동 | 건국청년회 | 1,761 | ![]() |
|
8 | 6 | 권오경 | 대독촉국회 | 2,135 | ![]() ![]() |
|
9 | 2 | 권중순 | 무소속 | 6,442 | ![]() ![]() ![]() ![]() |
|
인구수 | 96,199 | 계 | 32,503 | - | 투표율 |
경남 부산부 갑 (제1선거구)[편집]
![]() |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
기호 | 순위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 | 1 | 허영호 | 무소속 | 11,899 | ![]() | |
- | - | 박수일 | 무소속 | 7,794 | ||
- | - | 김혜영 | - | 3,309 | ||
- | - | 강흥희 | - | 2,194 | ||
- | - | 서영덕 | - | 2,148 | ||
- | - | 왕초산 | - | 872 | ||
인구수 | 계 | 16,317 | - | 투표율 |
3월 30일 재보궐선거[편집]
개요[편집]
선거 구역 및 사유[편집]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을(제3선거구): 장면(무소속), 주미대사 임명(1949년 2월) 보궐선거
- 경상남도 합천군 을(제31선거구): 김효석(대한독립촉성국민회, 내무부차관 임명 (1949년 1월 5일) 보궐선거
선거 결과[편집]
- 총선거인수:
- 총투표자수:
- 투표율:
- 정당별 당선자수
- 무소속: 2명
당선자 명부[편집]
6월 10일 재보궐선거[편집]
개요[편집]
선거 구역 및 사유[편집]
선거 결과[편집]
- 총선거인수:
- 총투표자수:
- 투표율:
- 정당별 당선자수
- 무소속: 1명
당선자 명부[편집]
7월 23일 재보궐선거[편집]
개요[편집]
선거 구역 및 사유[편집]
선거 결과[편집]
- 총선거인수:
- 총투표자수:
- 투표율:
- 정당별 당선자수
- 민주국민당: 1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