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
광역시·도* |
특별시(特別市) |
광역시(廣域市) |
특별자치시(特別自治市) |
도(道) |
특별자치도(特別自治道) |
시·군·자치구** |
특정시(特定市) |
시(市) (목록) |
군(郡) (목록) |
자치구(自治區) (목록) |
자치단체가 아닌 시·구 |
행정시(行政市) |
행정구(行政區) (목록) |
읍·면·동 |
읍(邑) (목록) |
면(面) (목록) |
행정동(行政洞) (목록) |
리·통 |
행정리(行政里) (목록) |
통(統) |
반 |
반(班) |
*: 광역자치단체 **: 기초자치단체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大韓民國의 行政 區域)은 대한민국의 통치권을 행사하는 지역에서 1개의 특별시, 6개의 광역시, 8개의 도, 1개의 특별자치도, 1개의 특별자치시로 구성된다. 이상 총 17개의 행정구역은 광역지방자치단체로 분류된다.
특별시는 자치구로, 광역시는 자치구와 군[1]으로, 도는 자치시와 군으로 하위 행정구역을 둔다. 이상의 행정구역은 기초지방자치단체로 분류된다. 특별자치도와 특별자치시에는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두지 않으며, 특별자치도에는 자치시가 아닌 행정시를 둔다. 행정시는 특별자치도지사 직속으로 그 역할을 하며 기초지방자치단체로서의 권한이 없다. 2016년 10월 기준으로 특별시와 6개 광역시에는 총 69개의 자치구[2]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6개 광역시와 8개 도에는 총 75개의 자치시와 82개의 군이 설치되어 있다.
특별시와 광역시를 제외한 인구 50만명 이상의 특별자치시와 자치시 (특정시)에는 일반구(행정구)를 둘 수 있다.[3] 일반구는 기초지방자치단체로서의 권한이 없어, 특별·광역시에 설치된 자치구와 구별된다. 일반구의 구청장은 일반직 지방공무원으로 보(補)하고 시장이 임명한다. 구청장은 시장의 지휘·감독을 받아 소관 국가사무 및 지방자치사무를 맡아 처리하고 소속 직원을 지휘·감독한다.
시(자치시, 행정시)와 구(자치구, 일반구)는 읍·면·동으로, 군은 읍·면으로 하위 행정구역을 둔다. 다시 읍·면은 리로, 동은 통으로 나뉜다. 통 및 행정리는 말단 행정 구역인 반으로 나뉜다.
행정구역 단위 구분[편집]
광역지방자치단체 | 기초지방자치단체 | 비자치구역 | |||
---|---|---|---|---|---|
특별시 | 자치구 | 빈칸 | 동 | 통 | 반 |
광역시 | |||||
자치구, 군[4] | 읍, 면 | 리 | |||
특별자치시 | 빈칸 | 일반구 (행정구)[5] |
읍, 면, 동 | 리, 통 | |
도 | 자치시 (특정시) | ||||
군 | 빈칸 | 읍, 면 | 리 | ||
특별자치도 | 빈칸 | 행정시 | 읍, 면, 동 | 리, 통 |
행정 구역 별 인구 및 면적[편집]
행정 구역 |
넓이 (km²) | 인구 (명) |
시·도청 소재지 | 시 | 군 | 구 | 비고 |
---|---|---|---|---|---|---|---|
서울특별시 | 605.20 | 9,770,638 | 중구 | 빈칸 | 빈칸 | 25 | |
부산광역시 | 769.89 | 3,436,230 | 연제구 | 빈칸 | 1 | 15 | |
대구광역시 | 883.57 | 2,458,138 | 중구[6] | 빈칸 | 1 | 7 | |
인천광역시 | 1,062.60 | 2,956,063 | 남동구 | 빈칸 | 2 | 8 | |
광주광역시 | 501.24 | 1,459,208 | 서구 | 빈칸 | 빈칸 | 5 | |
대전광역시 | 539.35 | 1,487,605 | 서구 | 빈칸 | 빈칸 | 5 | |
울산광역시 | 1,060.79 | 1,153,735 | 남구 | 빈칸 | 1 | 4 | |
세종특별자치시 | 464.87 | 320,326 | 보람동 | 빈칸 | 빈칸 | 빈칸 | [7] |
경기도 | 10,183.46 | 13,104,696 | 수원시[8], 의정부시[9] | 28 | 3 | (17) | |
강원도 | 16,875.03 | 1,540,445 | 춘천시[10], 강릉시[11] | 7 | 11 | 빈칸 | |
충청북도 | 7,407.29 | 1,598,868 | 청주시 | 3 | 8 | (4) | |
충청남도 | 8,226.14 | 2,125,372 | 홍성군 | 8 | 7 | (2) | |
전라북도 | 8,069.05 | 1,832,227 | 전주시 | 6 | 8 | (2) | |
전라남도 | 12,318.79 | 1,875,862 | 무안군 | 5 | 17 | 빈칸 | |
경상북도 | 19,031.42 | 2,671,587 | 안동시 | 10 | 13 | (2) | |
경상남도 | 10,539.56 | 3,371,016 | 창원시 | 8 | 10 | (5) | |
제주특별자치도 | 1,849.15 | 667,522 | 제주시 | (2) | 빈칸 | 빈칸 | [7] |
계 | 100,387.4 | 51,829,538 | 빈칸 | 75 | 82 | 101 | 빈칸 |
자료: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주민등록 인구 (2019년 2월 기준)
행정 구역 현황[편집]

서울특별시[편집]
자치구[편집]
- 종로구
- 중구
- 용산구
- 성동구
- 광진구
- 동대문구
- 중랑구
- 성북구
- 강북구
- 도봉구
- 노원구
- 은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양천구
- 강서구
- 구로구
- 금천구
- 영등포구
- 동작구
- 관악구
- 서초구
- 강남구
- 송파구
- 강동구
부산광역시[편집]
자치구[편집]
군[편집]
대구광역시[편집]
자치구[편집]
군[편집]
인천광역시[편집]
자치구[편집]
군[편집]
광주광역시[편집]
자치구[편집]
대전광역시[편집]
자치구[편집]
울산광역시[편집]
자치구[편집]
군[편집]
세종특별자치시[편집]
- 세종특별자치시는 하위 행정구역으로 시·군·구의 기초자치단체를 두지 않는 단층제 광역자치단체이다.
경기도[편집]
경기도는 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28시 3군을 남부와 북부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현재 경기남부는 수원시에 소재한 경기도청에서, 경기북부는 의정부시에 소재한 경기도청북부청사에서 각종 행정업무를 주관하고 있다.
경기남부[편집]
- 군
경기북부[편집]
강원도[편집]
충청북도[편집]
충청남도[편집]
전라북도[편집]
전라남도[편집]
경상북도[편집]
경상남도[편집]
제주특별자치도[편집]
역사[편집]
미군정기[편집]
- 1945년 11월 2일 : 일제강점기의 행정조직을 유지하여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의 8도로 구성(군정법령 21호)
- 1946년 8월 1일 : 전라남도 북제주군과 남제주군을 묶어 제주도 신설(군정법령 제94호)
- 1946년 9월 28일 : 서울시를 경기도 관할에서 분리하여 서울특별자유시 설치(군정법령 제106호)
정부 수립 이후[편집]
- 1963년 1월 1일 : 부산시 설치 (부산시정부직할에관한법률, 법률 제1173호)
- 관할구역 :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군 구포읍, 사상면, 북면, 기장면 송정리 일원
- 1981년 4월 4일 : 부산시의 명칭을 부산직할시로 개명 (지방자치에관한임시조치법, 법률 제3412호)
- 1981년 7월 1일 : 대구직할시, 인천직할시 설치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법률 제 3424호)
- 대구직할시 : 경상북도 대구시, 경산군 안심읍, 고산면, 달성군 성서읍, 월배읍, 공산면, 칠곡군 칠곡읍 일원
- 인천직할시 : 경기도 인천시 일원
- 1986년 11월 1일 : 광주직할시 설치 (광주직할시및송정시설치에관한법률, 법률 제3808호)
- 관할구역 : 전라남도 광주시 일원
- 1989년 1월 1일 : 대전직할시 설치 (대전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법률 제4049호)
- 1995년 1월 1일 : 직할시의 명칭을 광역시로 변경 (지방자치법, 법률 제4789호)
- 1997년 7월 15일 : 울산광역시 설치(울산광역시설치등에관한법률, 법률 제5243호)
- 관할구역 : 경상남도 울산시 일원
- 2006년 7월 1일 : 종전의 제주도를 제주특별자치도로 개편, 이와 동시에 북제주군이 제주시로, 남제주군이 서귀포시로 통합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법률 제7849호)
- 2012년 7월 1일 : 세종특별자치시 설치(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 법률 제10419호)
- 2013년 9월 23일 : 경기도 여주군을 여주시로 승격.
- 2014년 7월 1일 : 충청북도 청원군과 청주시를 통합. 통합시 명칭은 청주시가 됨.
휴전선 이북 지역의 행정 구역[편집]

대한민국 헌법 제3조는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인정하지 않으며, 휴전선 이북 지역도 대한민국의 영토로 간주한다. 그러므로 휴전선 이북 지역의 행정 구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을 인정하지 않고 1945년 광복 당시의 행정 구역 구분을 따르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북5도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행정안전부 산하에 이북5도위원회를 두고 있으며 도지사 및 시장·군수, 읍·면장을 임명하고 있다.
깃발 | 행정 구역 | 넓이 (km²) | 도청 소재지 | 시 수 | 군 수 |
---|---|---|---|---|---|
![]() |
함경북도 | 20,346 | 청진시 | 3 | 11 |
![]() |
함경남도 | 31,977 | 함흥시 | 3 | 16 |
![]() |
평안북도 | 28,443 | 신의주시 | 1 | 19 |
![]() |
평안남도 | 14,939 | 평양시 | 2 | 14 |
![]() |
황해도 | 16,737 | 해주시 | 3 | 17 |
![]() |
(휴전선 이북) 경기도 | 빈칸 | (수원시) | 1 | 2 |
![]() |
(휴전선 이북) 강원도 | 11,091 | (춘천시) | 빈칸 | 5 |
같이 보기[편집]
- 대한민국의 주소
- 대한민국의 지방 관청
- 한국의 행정 구역
- 일제 강점기의 행정 구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목록
- 대한민국의 도청 소재지
- 특별시
- 광역시
- 대한민국의 구
- 특별자치시
- 특정시
- 행정동
- 법정동
- ISO 3166-2:KR
- 도농복합시
- 출장소
각주[편집]
- ↑ 대전광역시와 광주광역시에는 군이 없다.
- ↑ 서울특별시 25개, 부산광역시 15개, 대구광역시 7개, 인천광역시 8개, 광주광역시 5개, 대전광역시 5개, 울산광역시 4개
- ↑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우 특례가 적용 되는 제한인구 50만명 이상이 되지 않는 관계로 현재는 일반구가 없다.
- ↑ 대전광역시와 광주광역시에는 군이 없다.
- ↑ 특정시만 해당된다.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우 특례 적용 인구 (50만명 이상)가 되지 않아 현재는 특정시로 분류되지 않는다.
- ↑ 2025년쯤에 대구광역시청이 달서구로 옮길 예정이다.
- ↑ 가 나 기초지방자치단체가 없다.
- ↑ 본청사, 경기남부 관할
- ↑ 북부청사, 경기북부 관할
- ↑ 본청사, 영서 관할
- ↑ 환동해본부, 영동 관할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