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팔도(八道)는 1895년까지의 조선의 광역 행정 구역을 이르는 명칭이다. 1413년 태종한반도를 여덟 개의 로 분할하였는데, 팔도는 조선 시대 대부분의 기간 동안 대체적으로 그 행정 구역을 유지하였다. 1895년(고종 32년)에 23부제를 시행해 급진적으로 해체되었다가, 이듬해인 1896년에 팔도 중 남부 3개 도와 북부 2개 도를 남·북도로 나눈 13도제가 시행되었다.[1]

'팔도'라는 말은 오늘날에도 '한반도의 여러 지방'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 쓰이는데, 예를 들어 '팔도 아리랑'이나 '팔도 김치'와 같은 식이다. 그러므로 '팔도'라는 말은 '한민족의 전통 문화'라는 의미로도 쓰인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각 도의 이름은, 그 도에서 가장 대표적인 두 도시의 이름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들었다. 경기도만 예외적으로 '수도(京) 사방 500리 이내로 임금이 직접 관할하는 땅'[2]이란 뜻으로 '기(畿)'라는 이름이 붙었다.

아래의 표는 도청 소재지와 지방 이름에 대하여 고산자 김정호1857년에 제작한 동여도(東輿圖) 및 1896년의 행정구역 개편을 따라서 정리한 것이다.

행정구역 목록[편집]

이름 이름의 유래 지방 위치 방언 수부(首部) 감영 위치 13도제 (1896년) 현재의 행정 구역
경기도
京畿道
수도권 기전
(畿甸)
Gyeonggi Province of Late Joseon Dynasty.png 경기 방언 한성 (돈의문 밖) 경기도 대한민국 경기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인천광역시[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특별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장풍군
강원도
江原道
강릉 + 원주 관동[4] Gangwon Province of Late Joseon Dynasty.png 영동: 영동 방언
영서: 경기 방언
원주 강원도[5] 대한민국 강원도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군, 울릉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6]
황해도
黃海道
황주 + 해주 해서 Hwanghae Province of Late Joseon Dynasty.png 황해도 방언 해주 황해도[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8]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옹진군 일부[9]
충청도
忠淸道
충주 + 청주 호서 Chungcheong Province of Late Joseon Dynasty.png 충청 방언 충주 (1602년) → 공주 충청남도
충청북도
대한민국 충청남도[10]
대한민국 충청북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대한민국 세종특별자치시
전라도[11]
全羅道
전주 + 나주 호남 Jeolla Province of Late Joseon.png 서남 방언
제주도: 제주 방언
전주 전라남도
전라북도
대한민국 전라남도
대한민국 전라북도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대한민국 충청남도 금산군
경상도
慶尙道
경주 + 상주 영남 Gyeongsang Province of Late Joseon Dynasty.png 동남 방언 상주 (1601년) → 대구 경상남도
경상북도
대한민국 경상남도
대한민국 경상북도[12]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평안도
平安道
평양 + 안주 관서 Pyongan Province of Late Joseon Dynasty.png 서북 방언 평양 평안남도
평안북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 일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포특별시
함경도[13]
咸鏡道
함흥 + 경성 관북[14] Hamgyong Province of Late Joseon Dynasty.png 동북 방언 함흥 (1600년) → 영흥 함경남도
함경북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 일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라선특별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원산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칙령(勅令) 제36호, 〈지방 제도와 관제 개정에 관한 안건〔地方制度官制改正件〕〉(《고종실록33년 8월 4일)
  2. 서울의 숭례문에서 지도상 직선거리로 대략 70~78 km 이내의 지역
  3. 서해 5도 제외
  4. 강원도는 도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백두대간(태백산맥)의 주요 고개인 대관령을 기준으로 서쪽은 영서로, 동쪽은 영동으로 나뉜다.
  5.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각각 강원도가 있다.
  6. 원산권 제외
  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54년에 황해도를 ·도로 나누었다.
  8. 장풍군 제외
  9. 서해 5도
  10. 금산군 제외
  11. 고려 말에 전라도에 편입된 제주도1946년에 도(道)로 승격·분리되었다.
  12. 울진군, 울릉군 제외
  13. 함경도라는 이름은 팔도 성립 당시부터 있었던 명칭이 아니다. 당초 태조 때에는 영흥(永興)과 길주(吉州)의 이름을 따서 영길도(永吉道)라 하였다. 1416년(태종 16년) 함주(咸州)를 함흥부(咸興府)로 승격시킨 뒤에는 함길도(咸吉道)로 이름을 바꾸었다. 1467년(세조 13년)에 일어난 이시애의 난으로 1470년 함흥부가 함흥군으로 강등되고 관찰사의 본영을 영흥부로 옮기게 되어, 이 영흥부와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의 이름을 따서 영안도(永安道)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 1509년(중종 4년)에는 다시 함흥부(咸興府)와 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이름을 따서 함경도로 개칭하였다.
  14. 함경도 남부(현재의 함경남도)만 따로 '관남'(關南)으로 불리기도 했다.
  15. 갑오경장에 의한 행정구역 개편. 도를 폐지하고 전국을 23부로 나눔.
이 전
5도 양계
조선의 행정 구역 체계
1413년 ~ 1895년
다 음
 이십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