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平安道
평안도
조선
1413년–1895년

조선 후기의 평안도.
주도평양부
역사적 시대근세
• 설치
1413년
• 해체
1895년
오늘날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다. 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남포특별시 일대를 포괄하는 지명으로, 관서 지방에 해당한다. 옛 조선의 감영 소재지는 평양부(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였다. 평안이란 평양시안주시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지명이다.

평안도는 한반도에서 고조선위만조선이 건국되었다. 이무렵 북쪽은 부여, 동쪽은 동예, 남쪽은 마한과 접하고 있었다. 고려 말기에 형성된 서북면(西北面)이 전신이며 1413년에 평안도가 형성되었다. 조선 초기에 전국의 행정 구역을 8도로 정할 때 평안도는 평안동도와 평안서도로 구분되었다.

1895년(고종 32년)에 8도제를 23부제로 변경함에 따라 평양시·의주군·강계시의 3부로 되었고, 1896년에 13도제로 개편함에 따라 청천강을 경계로 하여 평안남도평안북도로 나뉘었다.

경국대전》에 따른 행정 구역[편집]

  • 1개 부(府, 장관: 부윤(府尹)): 평양부(平壤府)
  • 1개 대도호부(大都護府, 장관: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
  • 3개 목(牧, 장관: 목사(牧使)): 안주목(安州牧), 정주목(定州牧), 의주목(義州牧)
  • 6개 도호부(都護府, 장관: 도호부사(都護府使)): 강계도호부(江界都護府), 창성도호부(昌城都護府), 성천도호부(成川都護府), 삭주도호부(朔州都護府), 숙천도호부(肅川都護府), 구성도호부(龜城都護府)
  • 18개 군(郡, 장관: 군수(郡守)): 중화군(中和郡), 상원군(祥原郡), 덕천군(德川郡), 개천군(价川郡), 자산군(慈山郡), 가산군(嘉山郡), 선천군(宣川郡), 곽산군(郭山郡), 철산군(鐵山郡), 용천군(龍川郡), 순천군(順川郡), 희천군(熙川郡), 이산군(理山郡), 벽동군(碧潼郡), 운산군(雲山郡), 박천군(博川郡), 위원군(渭原郡), 영원군(寧遠郡)
  • 8개 현(縣, 장관: 현령(縣令)): 용강현(龍岡縣), 삼화현(三和縣), 함종현(咸從縣), 영유현(永柔縣), 증산현(甑山縣), 삼등현(三登縣), 순안현(順安縣), 강서현(江西縣)
  • 5개 현(縣, 장관: 현감(縣監)): 양덕현(陽德縣), 맹산현(孟山縣), 태천현(泰川縣), 강동현(江東縣), 은산현(殷山縣)

외부 링크[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