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선구
권선구청사 | ||
권선구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47.31 km2 | |
세대 | 136,650 가구 (2015.1.31.) | |
총인구 | 351,954 명 (2016.1.31.) | |
인구밀도 | 7,439 명/km2 | |
행정동 | 12개 | |
법정동 | 16개 | |
구청장 | 김지완 | |
국회의원 | 수원시 을: 백혜련(더불어민주당)[1] 수원시 무: 김진표(더불어민주당)[2] | |
구청 | ||
소재지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호매실로 12 | |
홈페이지 | http://ksun.suwon.go.kr/ | |
상징 |
권선구(勸善區)는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남서부에 있는 구이다.
역사[편집]

- 1988년 7월 1일 : 수원시에 구(권선구, 장안구)가 설치되었다.[3] 출범 당시 세류1동·세류2동·세류3동·평동·서둔동·곡선동·매교동·매산동·고등동·인계동·매탄동·원천동을 관할했다.
- 1990년 1월 1일 : 매탄동을 매탄1동과 매탄2동으로 분동하였다.
- 1990년 12월 7일 : 매탄2동에서 매탄3동을 분동하였다.
- 1991년 9월 5일 : 서둔동에서 구운동을 분동하였다.
- 1993년 2월 1일 : 팔달구가 신설되어 인계동·매탄1동·매탄2동·매탄3동·원천동이 팔달구로 분리되었다.
- 1994년 12월 26일 : 화성군 반월면 입북리·당수리를 편입하고, 입북동(법정동: 입북동·당수동)을 신설하였다.
- 1996년 3월 24일 : 곡선동에서 권선동을 분동하였다.
- 2003년 2월 10일 : 구운동에서 금호동을 분동하고, 권선동을 권선1동으로 개칭하고, 곡선동에서 권선2동을 분동하였다.
- 2003년 11월 24일 : 팔달구를 분할해 영통구가 신설되고, 매교동·매산동·고등동이 팔달구에 편입되었다.
- 2016년 1월 11일 : 금호동을 금곡동과 호매실동으로 분동하였다.[4]
행정구역[편집]
인구는 2016년 1월 31일 주민등록 기준이다.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세류1동 | 細柳1洞 | 0.93 | 10,249 | 4,272 |
세류2동 | 細柳2洞 | 3.58 | 26,616 | 12,227 |
세류3동 | 細柳3洞 | 1.29 | 24,028 | 10,366 |
평동 | 坪洞 | 10.91 | 36,652 | 13,786 |
서둔동 | 西屯洞 | 8.84 | 41,887 | 16,726 |
구운동 | 九雲洞 | 1.94 | 27,991 | 10,817 |
금곡동[4] | 金谷洞 | 4.04 | 36,209 | 12,308 |
호매실동[4] | 好梅實洞 | 4.74 | 27,990 | 9,636 |
권선1동 | 勸善1洞 | 1.03 | 25,089 | 11,028 |
권선2동 | 勸善2洞 | 1.81 | 46,367 | 14,664 |
곡선동 | 谷善洞 | 4.46 | 30,497 | 14,744 |
입북동 | 笠北洞 | 7.08 | 18,379 | 6,069 |
권선구 | 勸善區 | 47.31 | 351,954 | 136,650 |
교육 기관[편집]

|
|
|
|
각주[편집]
- ↑ 장안구 율천동, 권선구 평동, 서둔동, 구운동, 금곡동, 호매실동, 입북동 해당.
- ↑ 권선구 세류1동, 세류2동, 세류3동, 권선1동, 권선2동, 곡선동, 영통구 영통2동, 태장동 해당.
- ↑ 수원시 조례 제1452호(1987년 6월 30일)
- ↑ 가 나 다 [1] 수원시 조례 제3448호, 제정 2015.11.13, 시행 2016.01.11
외부 링크[편집]
- (한국어)권선구청
![]() |
경기도 의왕시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
![]() |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 ![]()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 ||
![]() ![]() | ||||
![]() | ||||
경기도 화성시 |
경기도 수원시의 행정 구역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