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동 (수원시)
정자1동 亭子1洞 | |
---|---|
Jeongja 1(il)-dong | |
![]() | |
면적 | 1.27 km2 |
인구 | 28,976 명(2021.11.30.) |
인구 밀도 | 22,800 명/km2 |
세대 | 10,972가구 |
법정동 | 정자동 |
통·리·반 | 34통 138반 |
동주민센터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자로130번길 20 |
웹사이트 | 정자1동 주민센터 |
정자2동 亭子2洞 | |
---|---|
Jeongja 2(i)-dong | |
면적 | 1.44 km2 |
인구 | 35,731 명(2021.11.30.) |
인구 밀도 | 24,800 명/km2 |
세대 | 14,771가구 |
법정동 | 정자동 |
통·리·반 | 43통 201반 |
동주민센터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정로24번길 34 |
웹사이트 | 정자2동 주민센터 |
정자3동 亭子3洞 | |
---|---|
Jeongja 3(sam)-dong | |
면적 | 1.66 km2 |
인구 | 41,532 명(2021.11.30.) |
인구 밀도 | 25,000 명/km2 |
세대 | 14,311가구 |
법정동 | 정자동, 천천동 |
통·리·반 | 46통 182반 |
동주민센터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대평로 85 |
웹사이트 | 정자3동 주민센터 |
정자동(亭子洞)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의 법정동이다. 장안구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서쪽으로 율천동과 북쪽으로 파장동 등과 경계를 접하고 있다.
개요[편집]
‘정자’(亭子)라는 동 이름은 이 지역에 영화정(迎華亭)(일명 교구정, 交龜亭) 등의 정자가 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라 전한다. 정자동은 본래 광주부 일용면 지역으로 1789년 수원부로 편입되었다. 1899년 발간된 《수원군읍지》에 "정자리(亭子里)"로 표기되어 있다.
1914년 4월 1일 일제에 의한 명칭 및 행정구역 변경 때 진목동, 천천동을 ‘천천리’라 하여 일형면 관할이 되었다. 1936년 10월 1일 일형면과 의왕면이 일왕면으로 통합되면서 일왕면 정자리가 되었다.
해방 후인 1949년 8월 15일 수원읍 지역이 수원부(수원시)로 승격되자, 이 지역은 화성군 일왕면 정자리로 개편되었다. 이후 1963년 1월 1일자(법률 제1175호)로 화성군 일왕면에서 수원시로 편입되었다. 이 때 파장리, 이목리, 율전리, 천천리 등과 함께 행정동인 파정동 관할이 되었다. 1983년 10월 1일 수원시 조례 제1139호에 의하여, 파정동이 파장동과 정자동으로 분리되었다. 1990년 1월 1일 수원시 조례 제1607호에 의하여, 정자1동과 정자2동으로 분리되었다. 1997년 12월 31일 정자지구내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인구가 급증하여 2003년 2월 10일 자로 정자1동과 정자3동이 분리되었다.[1]
정자 1동 일대는 해방 이래 SKC, SK케미컬의 대규모 공장과 그 외의 군소공장 및 창고, 그 주변의 군락들과 주택단지로 이뤄진 형태였으나, SK케미컬이 이전하고 그 부지에 대단지 아파트가 건설중이며 정자 111-1구역의 주택 재개발이 진행되는 등 택지지구로의 변화가 진행 중이다.
법정동[편집]
- 정자동
- 천천동 (정자3동; 일부)
교육[편집]
수원시 장안구 사립대학교[편집]
-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