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동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광교1동 光敎1洞 | |
---|---|
Gwanggyo 1(il)-dong | |
![]() | |
면적 | 7.97 km2 |
인구 (2019.07.31.) | 52,059 명 |
인구 밀도 | 6,530 명/km2 |
세대 | 20,407가구 |
법정동 | 이의동 |
통·리·반 | 28통 153반 |
동주민센터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도청로89번길 20 |
웹사이트 | 광교1동 주민센터 |
광교2동 光敎2洞 | |
---|---|
Gwanggyo 2(i)-dong | |
면적 | 4.18 km2 |
인구 (2019.07.31.) | 27,952 명 |
인구 밀도 | 6,690 명/km2 |
세대 | 10,583가구 |
법정동 | 하동 |
통·리·반 | 19통 80반 |
동주민센터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법조로149번길 155 |
웹사이트 | 광교2동 주민센터 |
광교동(光敎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의 행정동이다. 2015년 1월 20일 광교동이 광교1동·광교2동으로 분동되었다.
역사[편집]
지명 유래[편집]
광교는 광교산에서 비롯된 명칭인데, 신도시 명칭도 광교신도시로 정해지게 되면서 행정동명도 광교동으로 설정됐다.
본래 수원시 장안구에 상광교동 및 하광교동이라는 법정동이 있지만, 이 일대가 광교신도시로 대표되는 지역이라 영통구 이의동과 하동 일원에 '광교동'이라는 행정동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고, 2015년 이의동과 하동 각각을 관할하는 행정동이 분리 신설되었지만 여전히 "광교동"이라는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
연혁[편집]
- 1983년 2월 15일: 용인군 수지면 이의리 및 하리가 수원시로 편입되어, 이들을 관할하는 행정동 이의동이 설치됨.
- 1988년 7월 1일: 장안구 이의동이 됨.
- 1993년 1월 20일: 팔달구 이의동이 됨.
- 2003년 11월 24일: 영통구 이의동이 됨.
- 2007년 5월 9일: 광교신도시 조성에 따라 영동고속도로 남쪽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및 기흥구 영덕동 일부를 하동에 편입하고, 영동고속도로 북쪽 하동 일부를 상현동에 편입함.[1][2]
- 2007년 8월 6일: 광교택지개발에 따라 이의동을 행정동 원천동에 통합함.
- 2012년 12월 26일: 법정동 이의동 및 하동이 행정동 원천동에서 광교동으로 분동함.[3]
- 2015년 1월 20일: 광교동이 광교1동, 광교2동으로 분동됨.
법정동[편집]
- 광교1동 : 이의동 (二儀洞)
- 광교2동 : 하동 (下洞)
명칭 변경[편집]
명칭 변경이 필요할 경우 광교1동은 이의동으로, 광교2동은 하동(下洞)으로 각각 바꾸어야 올바르다. 광교신도시의 정체성을 고려하더라도 광교신도시 인구가 급증할 경우 광교1동을 광교동과 이의동으로 나누어야 한다. 인천광역시로 따지자면, 남동구의 논현고잔동과 비슷하게 광교이의동으로 바꿀 수 있도록 권장될 필요가 있다.
교육 기관[편집]
시설[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각주[편집]
- ↑ 전라남도 나주시 등 4개 시·군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19875호 (2007년 2월 8일)
- ↑ 노호근 (2007년 4월 29일). “수원.용인 경계일부-어정동 분동 등 관할구역 변화”. 뉴시스. 2017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 수원시조례 제314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