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대구광역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구
Flag of Junggu, Daegu.svg
대구광역시 중구청사
대구광역시 중구청사
중구의 위치
중구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7.08 km2
세대 38,370 가구(2021[1])
총인구 74,791 명(2021[2])
인구밀도 10,564 명/km2
행정동 12개
법정동 57개
구청장 류규하(국민의힘)
국회의원 임병헌(국민의힘)
구청
소재지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139길 1
웹사이트 중구청
상징
구목 느티나무 (2004.12.30 제정)
구화 백일홍 (2004.12.30 제정)
구조 백로 (2004.12.30 제정)

중구(中區)는 대구광역시 가운데 있는 로, 대구광역시청 소재지이다. 면적이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작다. 대구광역시 최대의 시장인 서문시장이 있는 대신동성내동 관할의 태평로, 동성로, 종로, 봉산동 등은 대부분 중심 상업 지구이며, 남산동대봉동, 달성동 일대에만 전형적인 주거지를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인구는 75,841명으로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적다.

중구는 조선 선조 34년(1601년) 경상감영이 현 포정동[3]에 설치되면서, 경상도의 행정, 산업, 군무의 중심지로 형성되었고 현재도 경상북도, 대구광역시의 심장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역사[편집]

  • 1953년 4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중부출장소(동인동1가 외 16개동), 종로출장소(덕산동 외 37개동)를 설치하였다.[4]
  • 1963년 1월 1일 구제 실시로 중부·종로출장소를 통합하여 중구로 승격하였다.[5] (54법정동)
  • 1964년 7월 1일 북구 태평로3가를 중구에 편입하였다.[6] (55법정동)
  • 1965년 2월 1일 동 행정구역 개편을 시행하여 13행정동으로 통·폐합하였다.[7]
13행정동 - 동인1·2가동, 동인3가동, 동인4가동, 삼덕1·2가동, 삼덕3가동, 봉산동, 동성동, 남성동, 종로동, 북성동, 서성동, 대신동, 달성동

지리[편집]

중구는 분지 형상인 대구의 중앙 저지대에 도심이 형성되어 동편에 흐르는 신천을 경계로 동구, 수성구로 나뉘며 명덕로를 경계로 남구, 달성공원 서편 기슭과 비산동 동편을 경계로 서구, 달서구와 나뉘고, 대구역의 동서로 뻗은 경부선 선로를 따라 북구 칠성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중구는 동·서·남·북·수성·달서구에 둘러싸인 대구광역시의 중심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19]

행정 구역[편집]

통계치는 2020년 12월 31일 기준이다.[20]

Jungu-daegu-new.png
행정동 한자 면적 (km2) 세대 인구 (명)
동인동 東仁洞 0.99 5,061 8,525
삼덕동 三德洞 0.64 4,101 6,736
성내1동 城內1洞 0.90 3,423 4,675
성내2동 城內2洞 0.76 2,925 4,591
성내3동 城內3洞 0.79 2,543 5,158
대신동 大新洞 0.52 3,387 8,094
남산1동 南山1洞 0.39 2,838 5,097
남산2동 南山2洞 0.38 2,236 4,323
남산3동 南山3洞 0.40 3,074 7,041
남산4동 南山4洞 0.45 4,906 11,859
대봉1동 大鳳1洞 0.59 3,366 7,654
대봉2동 大鳳2洞 0.25 1,251 2,394
중구 中區 7.06 39,111 76,547

인구[편집]

  • 중구(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21]
연도 총인구 비고
1966년 163,298명 청100.png청50.png청10.png청03.png
1970년 148,667명 청100.png청30.png청10.png청05.png청03.png청01.png
1973년 144,233명 청100.png청30.png청10.png청03.png청01.png
1976년 137,524명 청100.png청30.png청05.png청03.png
1979년 130,724명 청100.png청30.png청01.png
1982년 210,306명 청100.png청100.png청10.png 2년 전(1980년)최고인구 (21만9528명) 기록[22]
1985년 189,366명 청100.png청50.png청30.png청05.png청03.png청01.png
1988년 169,455명 청100.png청50.png청10.png청10.png
1991년 151,421명 청100.png청50.png청01.png
1994년 127,590명 청100.png청10.png청10.png청05.png청03.png
1997년 107,358명 청100.png청05.png청01.png청01.png
2000년 95,381명 청50.png청30.png청10.png청05.png
2003년 86,577명 청50.png청30.png청05.png청01.png청01.png
2006년 79,830명 청50.png청30.png
2009년 79,046명 청50.png청10.png청10.png청05.png청03.png청01.png
2012년 76,496명 청50.png청10.png청10.png청05.png청01.png청01.png
2013년 75,362명 청50.png청10.png청10.png청05.png
2014년 76,053명 청50.png청10.png청10.png청05.png청01.png
2015년 78,843명 청50.png청10.png청10.png청05.png청03.png청01.png
2016년 81,108명 청50.png청30.png청01.png
2017년 79,626명 청50.png청30.png
2018년 79,148명 청50.png청10.png청10.png청05.png청03.png청01.png
2019년 79,192명 청50.png청10.png청10.png청05.png청03.png청01.png
2020년 77,282명 적50.png적10.png적10.png적05.png적01.png적01.png

구청[편집]

  • 현재 대구 중구청은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위치해 있다.

명소[편집]

교육 기관[편집]

  
  
  
  • 평생교육
  

자매 도시[편집]

지역 & 국가 도시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Flag of North Gyeongsang Province.svg 경상북도 Flag of Cheongdo.svg 청도군
Flag of Gwangju.svg 광주광역시 Flag of Donggu, Gwangju.svg 동구
Flag of North Chungcheong Province.svg 충청북도 Flag of Jecheon.svg 제천시
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山东省) 웨이하이시(威海市) 환취구(环翠区)
허베이성 바오딩시(保定市)
안궈시(安国市)

출신인물[편집]

각주[편집]

  1.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3. 1947년 4월 1일 일본식 동명을 정리할 때, 감영이 있던 자리여서 포정동으로 명명하였다.
  4. 대구시 조례 제26호
  5. 법률 제1174호 (1962년 11월 21일)
  6. 법률 제1641호 (1964년 6월 1일)
  7. 대구시 조례 제387호 (1965년 1월 27일)
  8. 건설부 고시 제1387호
  9. 대구시 조례 제610호 (1970년 7월 1일)
  10. 대구시 조례 제919호 (1975년 10월 1일)
  11. 대통령령 제9630호 (1979년 9월 26일)
  12. 대구시 조례 제1244호 (1979년 3월 18일)
  13. 대구시 조례 제1346호 (1981년 5월 4일)
  14. 법률 제3424호 (1981년 4월 13일)
  15. 법률 제4004호 (1988년 4월 6일)
  16. 중구 조례 제432호 (1998년 8월 31일)
  17. 중구 조례 제459호 (1999년 6월 1일)
  18. 중구 조례 제827호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 정수 조례 (2011년 5월 30일)
  19. 중구의 지리적 특성, 2012년 9월 3일 확인
  20. 중구 2020년 통계연보. 2021년 6월 7일 확인.
  21.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22. 남구남산동 전역, 대봉동, 대명동 일부 편입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