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청(大邱廣域市廳)은 대구광역시의 행정을 총괄하는 지방행정기관이다. 시장은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부시장은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이나 별정직 1급상당 지방공무원 또는 지방관리관으로 보한다.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 88에 동인청사가, 구 경상북도청이 위치한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로 40에 산격청사가 있다. 2025년에 대구광역시 달서구 소재의 구 두류정수장 부지로 청사를 이전할 예정이다.
실·국 |
관 |
담당관실·과
|
|
시장 산하 하부조직
|
공보관실[5] |
공보담당관실ㆍ보도담당관실
|
군사시설이전정책관실[6] |
군부대이전정책과ㆍ미군부대이전과
|
금호강르네상스추진기획관실[6][7] |
금호강개발과ㆍ수변개발과[7]
|
정책총괄조정관실[6] |
|
소방안전본부 |
소방행정과ㆍ예방안전과ㆍ현장대응과ㆍ119종합상황실ㆍ소방감사담당관실
|
대구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 |
사무국 |
자치경찰행정과ㆍ자치경찰정책과
|
대구광역시감사위원회[7] |
|
행정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
기획조정실 |
정책기획관실 |
광역협력담당관실ㆍ예산담당관실ㆍ세정담당관실ㆍ평가담당관실ㆍ법무담당관실[7]ㆍ지능정보화담당관실
|
시민안전실 |
보건의료정책관실 |
안전정책과ㆍ사회재난과ㆍ자연재난과ㆍ민생사법경찰과ㆍ감염병관리과ㆍ건강증진과ㆍ위생정책과
|
행정국 |
총무과ㆍ자치행정과ㆍ인사혁신과ㆍ소통민원과ㆍ회계과
|
복지국 |
복지정책과ㆍ희망복지과ㆍ어르신복지과ㆍ장애인복지과
|
청년여성교육국[7] |
교육협력정책관ㆍ여성가족과ㆍ청년정책과ㆍ청소년과ㆍ출산보육과
|
문화체육관광국 |
문화예술정책과ㆍ문화콘텐츠과[7]ㆍ체육진흥과ㆍ관광과
|
교통국 |
교통정책과ㆍ버스운영과ㆍ택시물류과ㆍ도로과ㆍ철도시설과ㆍ교통정보서비스센터
|
경제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
혁신성장실[7] |
혁신성장정책관실 |
에너지산업과ㆍ미래모빌리티과ㆍ의료산업과ㆍ기계로봇과ㆍ신기술심사과
|
경제국 |
경제정책관실 |
일자리노동정책과ㆍ민생경제과ㆍ산단진흥과ㆍ창업진흥과ㆍ섬유패션과ㆍ국제통상과[7]ㆍ농산유통과
|
미래ICT국[7] |
디지털혁신전략과ㆍAI블록체인과[7]ㆍ빅데이터과[7]ㆍ벤처혁신과
|
환경수자원국[7] |
환경정책과ㆍ기후대기과ㆍ자원순환과ㆍ수질개선과ㆍ공원조성과ㆍ산림녹지과ㆍ맑은물정책과
|
도시주택국 |
도시계획과ㆍ건축주택과ㆍ도시정비과ㆍ건설산업과ㆍ도시디자인과[7]ㆍ토지정보과ㆍ서대구역세권개발과ㆍ신청사건립과
|
통합신공항건설본부[8] |
공항정책과ㆍ신공항건설과ㆍ종전부지개발과
|
원스톱기업투자센터[6] |
투자유치과[7]ㆍ기업지원과
|
산하 자치단체[편집]
- 중구청
- 동구청
- 서구청
- 남구청
- 북구청
- 수성구청
- 달서구청
- 달성군청
대구광역시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3]
총계 |
2,045명
|
정무직 계
|
3명
|
|
시장 |
1명
|
|
자치경찰위원장 |
1명
|
|
자치경찰사무국장 |
1명
|
|
일반직 계
|
1,859명
|
|
1급 이하 2급 이상 |
2명
|
|
3급 이하 5급 이상 |
458명
|
|
6급 이하 |
1,394명
|
|
전문경력관 |
5명
|
|
별정직 계
|
18명
|
|
1급 상당 이하 2급 상당 이상 |
1명
|
|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 |
13명
|
|
6급 상당 이하 |
4명
|
|
연구직 계
|
5명
|
|
연구사 |
5명
|
|
소방직 계
|
160명
|
|
소방정 |
5명
|
|
소방령 이하 |
155명
|
2022년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8.04% 증가한 10조 1444억 원이며, 총수입·총지출 기준 구체적인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4] 다만, 합계를 제외한 부분은 공기업특별회계가 포함되지 않았다.
구분 |
세입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지방세수입 |
3조 5200억 원 |
|
세외수입 |
2337억 3936만 5000원 |
|
지방교부세 |
1조 1954억 5670만 원 |
|
보조금 |
3조 3501억 3044만 4000원 |
|
지방채 |
2498억 1000만 원 |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
1조 343억 6349만 1000원 |
|
|
구분 |
세출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분야 |
부문
|
일반공공행정 |
1조 3786억 315만 2000원 |
|
|
입법및선거관리 |
55억 9061만 3000원 |
|
|
지방행정·재정지원 |
7297억 877만 7000원 |
|
|
재정·금융 |
5055억 7181만 6000원 |
|
|
일반행정 |
1377억 3194만 6000원 |
|
공공질서및안전 |
1798억 3808만 5000원 |
|
|
경찰 |
53억 1340만 8000원 |
|
|
재난방재·민방위 |
1027억 7631만 원 |
|
|
소방 |
717억 4836만 7000원 |
|
교육 |
6184억 7375만 9000원 |
|
|
유아및초중등교육 |
5865억 1695만 원 |
|
|
고등교육 |
272억 337만 5000원 |
|
|
평생·직업교육 |
47억 5343만 4000원 |
|
문화및관광 |
2630억 486만 9000원 |
|
|
문화예술 |
1495억 4863만 5000원 |
|
|
관광 |
170억 8433만 5000원 |
|
|
체육 |
826억 250만 8000원 |
|
|
문화재 |
137억 6939만 1000원 |
|
환경 |
1639억 5615만 4000원 |
|
|
상하수도·수질 |
92억 9264만 9000원 |
|
|
폐기물 |
434억 5855만 8000원 |
|
|
대기 |
341억 994만 1000원 |
|
|
자연 |
94억 2639만 1000원 |
|
|
환경보호일반 |
676억 6861만 5000원 |
|
사회복지 |
3조 8903억 8988만 8000원 |
|
|
기초생활보장 |
1조 2879억 7897만 1000원 |
|
|
취약계층지원 |
4742억 563만 4000원 |
|
|
보육·가족및여성 |
7600억 6400만 9000원 |
|
|
노인·청소년 |
1조 2602억 4861만 4000원 |
|
|
노동 |
905억 3364만 7000원 |
|
|
보훈 |
173억 5901만 3000원 |
|
보건 |
3290억 3400만 2000원 |
|
|
보건의료 |
3215억 8056만 9000원 |
|
|
식품의약안전 |
74억 5343만 3000원 |
|
농림해양수산 |
680억 1988만 원 |
|
|
농업·농촌 |
448억 4919만 2000원 |
|
|
임업·산촌 |
231억 7068만 8000원 |
|
산업·중소기업및에너지 |
5969억 4917만 7000원 |
|
|
산업금융지원 |
1500억 9729만 원 |
|
|
산업기술지원 |
1605억 7675만 5000원 |
|
|
무역및투자유치 |
466억 5691만 6000원 |
|
|
산업진흥·고도화 |
2294억 5540만 8000원 |
|
|
에너지및자원개발 |
89억 3434만 4000원 |
|
|
산업·중소기업일반 |
12억 2846만 4000원 |
|
교통및물류 |
1조 990억 7401만 9000원 |
|
|
도로 |
1945억 3110만 원 |
|
|
도시철도 |
2782억 7906만 8000원 |
|
|
항공·공항 |
73억 9285만 원 |
|
|
대중교통·물류등기타 |
6188억 7100만 1000원 |
|
국토및지역개발 |
3090억 4814만 8000원 |
|
|
수자원 |
32억 1571만 1000원 |
|
|
지역및도시 |
2990억 6473만 원 |
|
|
산업단지 |
67억 6770만 7000원 |
|
과학기술 |
412억 3838만 5000원 |
|
|
과학기술연구지원
|
예비비 |
333억 2465만 원 |
|
|
예비비
|
기타 |
6125억 4583만 2000원 |
|
|
기타
|
|
같이 보기[편집]
- ↑ 대구 달서구 당산로176[두류3동] 에 위치한 舊 두류정수장 터가 신청사 건립 예정 자리이다.
- ↑ 국가직 제외.
- ↑ 가 나 「대구광역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시행규칙」 별표 2
- ↑ 가 나 예산담당관실. “세입세출예산서”. 《대구광역시청》. 2022년 12월 4일에 확인함.
- ↑ 2024년 10월 6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 ↑ 가 나 다 라 2025년 10월 6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개방형 직위.
- ↑ 2023년 6월 30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외부 링크[편집]
|
---|
|
본청 소속 | 소방안전본부 |
|
---|
상수도사업본부 | 지역사업소 |
- 중남부사업소
- 동부사업소
- 서부사업소
- 북부사업소
- 수성사업소
- 달서사업소
- 달성사업소
|
---|
정수사업소 |
- 매곡사업소
- 고산사업소
- 문산사업소
- 가창사업소
- 죽곡사업소
|
---|
|
---|
|
---|
산하 기초자치단체 |
- 중구청
- 동구청
- 서구청
- 남구청
- 북구청
- 수성구청
- 달서구청
- 달성군청
|
---|
산하 공직유관단체 | |
---|
- 대구광역시장은 차관급 지방정무직이고 대구광역시 경제부시장은 1급 지방관리관으로 보한다.
-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은 행정안전부 파견 형식의 고위공무원 가급(1급 상당)으로, 기획조정실장은 행정안전부 파견 형식의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으로 각각 보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기관 |
---|
지방집행기관 | |
---|
지방의결기관 | |
---|
지방교육기관 | |
---|
|
---|
|
본부 소속 |
|
---|
산하 공공기관 | |
---|
소관기관 |
|
---|
- 이북5도위원회의 각 도지사(5인) 및 경찰위원회 상임위원(1인)은 차관급으로 임명된다.
- 전직대통령 비서관 3인 중 1인은 별정직 고위공무원 가급(1급 상당), 2인은 별정직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이며, 서거한 전직대통령의 배우자 비서관은 별정직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으로 보한다.[1]
- 정부전산백업센터[2]가 2021년까지 충청남도 공주시에 설립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