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의회는 경상남도에 제출된 의견이나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의회이다.
의장단[편집]
위원회[편집]
-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 기획행정위원회
- 교육위원회
- 농해양수산위원회
- 경제환경위원회
- 건설소방위원회
- 문화복지위원회
- 특별위원회
사무기구[편집]
- 사무처[1]
역대 경상남도의원 선거 결과[편집]
초대 경상남도의회[편집]
1949년 7월 4일 공포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1952년 5월 10일 실시된 도 의회 의원 선거로 초대 경상남도의원 60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2대 경상남도의회[편집]
1956년 8월 13일 실시된 특별시·도 의회 의원 선거로 2대 경상남도의원 67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3대 경상남도의회[편집]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특별시·도 의회 의원 선거로 3대 경상남도의원 80명이 선출되었으나, 1961년 5월 16일 5.16 군사정변으로 5개월도 못가 해산되었다.
정당별 의석
4대 경상남도의회[편집]
1990년 12월 31일 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1991년 6월 20일 실시된 광역자치의회 의원 선거로 30년만에 4대 경상남도의원 89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5대 경상남도의회[편집]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로 5대 경상남도의원 94명이 선출되었고,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 지역구 의원 93명과 비례대표 의원 9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민주자유당
|
52
|
6
|
58
|
민주당
|
0
|
3
|
3
|
무소속
|
33
|
-
|
33
|
정당별 득표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례대표 배정수
|
민주자유당
|
738,597
|
|
6
|
민주당
|
139,676
|
|
3
|
자유민주연합
|
1,896
|
|
0
|
무소속
|
777,626
|
|
-
|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의 2/3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민주자유당에 6석, 민주당에 3석이 배분되었다.
6대 경상남도의회[편집]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51명의 경상남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46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별 득표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의 2/3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나라당에 3석, 새정치국민회의에 2석이 배분되었다.
7대 경상남도의회[편집]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50명의 경상남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45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비례대표 선거 결과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나라당에 4석, 새천년민주당, 민주노동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8대 경상남도의회[편집]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53명의 경상남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48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비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1
|
열린우리당
|
242,988
|
|
1
|
2
|
한나라당
|
855,777
|
|
3
|
4
|
민주노동당
|
241,877
|
|
1
|
9대 경상남도의회[편집]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54명의 경상남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49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비례대표 선거 결과
10대 경상남도의회[편집]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55명의 경상남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0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비례대표 선거 결과
11대 경상남도의회[편집]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58명의 경상남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2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별 의석 수[편집]
교섭단체[편집]
경상남도의회는 총 정원의 10퍼센트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의원이 총 정원의 10퍼센트가 모여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4] 2020년 현재 교섭단체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다.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대한민국의 지방자치기관 |
---|
지방집행기관 | |
---|
지방의결기관 | |
---|
지방교육기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