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회는 경상북도에 제출된 의견이나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의회이다.
의장단[편집]
위원회[편집]
-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 기획경제위원회
- 행정보건복지위원회
- 문화환경위원회
- 건설소방위원회
- 교육위원회
- 특별위원회
사무기구[편집]
- 사무처[1]
역대 경상북도의원 선거 결과[편집]
초대 경상북도의회[편집]
1949년 7월 4일 공포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1952년 5월 10일 실시된 도 의회 의원 선거로 초대 경상북도의원 61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2대 경상북도의회[편집]
1956년 8월 13일 실시된 특별시·도 의회 의원 선거로 2대 경상북도의원 61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3대 경상북도의회[편집]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특별시·도 의회 의원 선거로 3대 경상북도의원 73명이 선출되었으나, 1961년 5월 16일 5.16 군사정변으로 5개월도 못가 해산되었다.
정당별 의석
4대 경상북도의회[편집]
1990년 12월 31일 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1991년 6월 20일 실시된 광역자치의회 의원 선거로 30년만에 4대 경상북도의원 87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5대 경상북도의회[편집]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로 5대 경상북도의원 91명이 선출되었고,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 지역구 의원 84명과 비례대표 의원 8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민주자유당 |
50 |
 6 |
  56
|
민주당 |
1 |
 2 |
3
|
자유민주연합 |
 2 |
|
 2
|
무소속 |
 31 |
|
 31
|
총합 |
     31 |
   8 |
       91
|
정당별 득표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례대표 배정수
|
민주자유당
|
587,952
|
|
6
|
민주당
|
107,890
|
|
2
|
자유민주연합
|
38,113
|
|
0
|
무소속
|
566,814
|
|
-
|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의 2/3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민주자유당에 6석, 민주당에 3석이 배분되어야 했으나 민주당 비례대표 후보가 모자라 1석은 공석으로 남게 되었다.
6대 경상북도의회[편집]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60명의 경상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4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별 득표
7대 경상북도의회[편집]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57명의 경상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1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비례대표 선거 결과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나라당에 4석, 새천년민주당, 한국미래연합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8대 경상북도의회[편집]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55명의 경상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0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비례대표 선거 결과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나라당에 4석, 열린우리당, 민주노동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9대 경상북도의회[편집]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58명의 경상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2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한나라당 |
   44 |
 4 |
   48
|
민주당 |
|
1 |
1
|
미래연합 |
1 |
|
1
|
친박연합 |
1 |
1 |
 2
|
무소속 |
 6 |
|
 6
|
총합 |
      52 |
   6 |
         58
|
비례대표 선거 결과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나라당에 4석, 민주당, 친박연합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10대 경상북도의회[편집]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60명의 경상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4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새누리당 |
   48 |
 4 |
  52
|
새정치민주연합 |
|
 2 |
 2
|
무소속 |
 6 |
|
 6
|
총합 |
     54 |
   6 |
      60
|
비례대표 선거 결과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새누리당에 4석, 새정치민주연합에 2석이 배분되었다.
11대 경상북도의회[편집]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60명의 경상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4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비례대표 선거 결과
12대 경상북도의회[편집]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61명의 경상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5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더불어민주당 |
|
 2 |
 2
|
국민의힘 |
  52 |
 4 |
  56
|
무소속 |
3 |
|
3
|
총합 |
   55 |
   6 |
     61
|
비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1
|
더불어민주당
|
225,204표
|
|
2
|
2
|
국민의힘
|
871,581표
|
|
4
|
3
|
정의당
|
37,475표
|
|
0
|
4
|
기본소득당
|
10,933표
|
|
0
|
5
|
진보당
|
10,164표
|
|
0
|
2023년 7월 군위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면서 군위군에서 선출한 경상북도의회의원은 대구광역시의회의원으로 편입되었다. 이에 2023년 7월 1일을 기해 경상북도의원 의석 수가 60명으로 재조정되었다.
정당별 의석 수[편집]
교섭단체[편집]
경상북도의회는 6석 이상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6명의 의원으로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3]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대한민국의 지방자치기관 |
---|
지방의회 | |
---|
지방집행기관 | |
---|
지방교육기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