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회

경상북도의회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유형
의회 체제단원제
조직
의장배한철(국민의힘)
부의장박영서(국민의힘)
부의장박용선(국민의힘)
구성
정원60석
의원임기4년
정당 구성
선거
선거제보통선거 · 평등선거 · 직접 선거 · 비밀 선거
선거제소선거구제 (54석)
비례대표제 (6석)
이전 선거2022년 6월 1일
웹사이트

경상북도의회경상북도에 제출된 의견이나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의회이다.

조직[편집]

의장단[편집]

  • 의장
  • 부의장 2명

위원회[편집]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 기획경제위원회
  • 행정보건복지위원회
  • 문화환경위원회
  • 건설소방위원회
  • 교육위원회
특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사무기구[편집]

사무처[1]
  • 총무담당관실[2]
  • 의사담당관실[2]
  • 입법정책관실[2]
  • 전문위원

역대 경상북도의원 선거 결과[편집]

초대 경상북도의회[편집]

1949년 7월 4일 공포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1952년 5월 10일 실시된 도 의회 의원 선거로 초대 경상북도의원 61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의석수
자유당 18
국민회 11
대한청년단 6
기타정당 1
무소속 25
총합 61

2대 경상북도의회[편집]

1956년 8월 13일 실시된 특별시·도 의회 의원 선거로 2대 경상북도의원 61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의석수
자유당 40
민주당 7
국민회 1
무소속 13
총합 61

3대 경상북도의회[편집]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특별시·도 의회 의원 선거로 3대 경상북도의원 73명이 선출되었으나, 1961년 5월 16일 5.16 군사정변으로 5개월도 못가 해산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의석수
민주당 29
신민당 3
사회대중당 2
무소속 19
총합 73

4대 경상북도의회[편집]

1990년 12월 31일 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1991년 6월 20일 실시된 광역자치의회 의원 선거로 30년만에 4대 경상북도의원 87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의석수
민주자유당 66
민주당 5
무소속 16
총합 87

5대 경상북도의회[편집]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로 5대 경상북도의원 91명이 선출되었고,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 지역구 의원 84명과 비례대표 의원 8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수
민주자유당 50 6 56
민주당 1 2 3
자유민주연합 2 2
무소속 31 31
총합 31 8 91

정당별 득표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례대표 배정수
민주자유당 587,952
45.2%
6
민주당 107,890
8.3%
2
자유민주연합 38,113
2.9%
0
무소속 566,814
43.6%
-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의 2/3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민주자유당에 6석, 민주당에 3석이 배분되어야 했으나 민주당 비례대표 후보가 모자라 1석은 공석으로 남게 되었다.

6대 경상북도의회[편집]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60명의 경상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4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수
한나라당 44 4 48
새정치국민회의 1 1
자유민주연합 5 1 6
무소속 5 5
총합 54 6 60

정당별 득표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례대표 배정수
한나라당 596,389
51.4%
4
새정치국민회의 106,190
9.1%
1
자유민주연합 245,245
21.1%
1
국민신당 6,590
0.6%
0
무소속 206,781
17.8%
-

7대 경상북도의회[편집]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57명의 경상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1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수
한나라당 47 4 51
새천년민주당 1 1
한국미래연합 1 1
무소속 4 4
총합 51 6 57

비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수
1 한나라당 889,594
74.90%
4
2 새천년민주당 93,208
7.84%
1
3 자유민주연합 52,378
4.41%
0
4 한국미래연합 64,850
5.46%
1
5 노년권익보호당 11,110
0.93%
0
6 민주노동당 53,395
4.49%
0
7 사회당 23,046
1.94%
0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나라당에 4석, 새천년민주당, 한국미래연합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8대 경상북도의회[편집]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55명의 경상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0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수
열린우리당 1 1
한나라당 47 3 50
민주노동당 1 1
무소속 3 3
총합 50 5 55

비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수
1 열린우리당 161,452
12.89%
1
2 한나라당 937,104
74.86%
4
3 민주당 25,431
2.03%
0
4 민주노동당 110,872
8.85%
1
5 국민중심당 16,820
1.34%
0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나라당에 4석, 열린우리당, 민주노동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9대 경상북도의회[편집]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58명의 경상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2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수
한나라당 44 4 48
민주당 1 1
미래연합 1 1
친박연합 1 1 2
무소속 6 6
총합 52 6 58

비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수
1 한나라당 747,042
61.68%
4
2 민주당 135,963
11.22%
1
5 민주노동당 70,978
5.86%
0
7 진보신당 32,770
2.70%
0
8 국민참여당 70,887
5.85%
0
9 미래연합 24,386
2.01%
0
10 사회당 6,212
0.51%
0
11 친박연합 122,815
10.14%
1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나라당에 4석, 민주당, 친박연합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10대 경상북도의회[편집]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60명의 경상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4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수
새누리당 48 4 52
새정치민주연합 2 2
무소속 6 6
총합 54 6 60

비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수
1 새누리당 949,983
75.17%
4
2 새정치민주연합 207,846
16.44%
2
3 통합진보당 30,752
2.43%
0
4 정의당 37,002
2.92%
0
5 노동당 20,819
1.64%
0
6 녹색당 17,371
1.37%
0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새누리당에 4석, 새정치민주연합에 2석이 배분되었다.

11대 경상북도의회[편집]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60명의 경상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4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수
더불어민주당 7 2 9
자유한국당 38 3 41
바른미래당 1 1
무소속 9 9
총합 54 6 60

비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수
1 더불어민주당 475,292
34.05%
2
2 자유한국당 697,539
49.98%
3
3 바른미래당 115,303
8.26%
1
4 민주평화당 8,833
0.63%
0
5 정의당 54,329
3.89%
0
6 민중당 13,429
0.96%
0
7 대한애국당 17,717
1.26%
0
8 친박연대 13,038
0.93%

12대 경상북도의회[편집]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61명의 경상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55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의석수
더불어민주당 2 2
국민의힘 52 4 56
무소속 3 3
총합 55 6 61

비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수
1 더불어민주당 225,204표
19.49%
2
2 국민의힘 871,581표
75.43%
4
3 정의당 37,475표
3.24%
0
4 기본소득당 10,933표
0.94%
0
5 진보당 10,164표
0.87%
0

2023년 7월 군위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면서 군위군에서 선출한 경상북도의회의원은 대구광역시의회의원으로 편입되었다. 이에 2023년 7월 1일을 기해 경상북도의원 의석 수가 60명으로 재조정되었다.

정당별 의석 수[편집]

2 1 57
더불어민주당 무소속 국민의힘

교섭단체[편집]

경상북도의회는 6석 이상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6명의 의원으로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2.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3. “경상북도의회 교섭단체 구성과 운영에 관한 조례”.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