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청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10′ 47″ 동경 129° 04′ 30″ / 북위 35.1798159° 동경 129.0750224°
![]() | |
![]() 부산광역시청사 | |
설립일 | 1995년 1월 1일 |
---|---|
전신 | 부산직할시청 |
소재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 |
직원 수 | 2,362명[1][2] |
예산 | 10조 610억 3553만 4000원[3] |
모토 | Dynamic Busan |
산하기관 | 직속기관 15, 사업소 24 |
웹사이트 | 부산광역시청 - 공식 웹사이트 |
부산광역시청(釜山廣域市廳, Busan Metropolitan City Hall)은 부산광역시의 행정을 총괄하는 지방행정기관으로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에 위치하고 있다. 시장은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부시장은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이나 별정직 1급상당 지방공무원 또는 지방관리관으로 보한다.
청사[편집]
일제 강점기 당시의 구 청사
부산광역시청의 청사는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부산광역시의 중앙에 위치하는 곳으로 인근에 시의회, 지방경찰청, 고등법원, 지방법원 등이 위치하여 사법, 행정의 중심이 되어 있다. 도시철도 1호선이 지나가며 구 시가지인 남포동, 중앙동에서 20분 가량, 동래나 서면에서 5분 쯤 떨어져 있다.
본래 부산광역시청의 청사는 중구 중앙동에 위치했다. 새 청사는 1997년 12월에 완공되었으며, 이전은 1998년 1월 20일에 이루어졌다. 구청사는 일제시대의 잔재라는 이유로 1998년 10월경 해체되어 사라졌으며, 신청사 바로 앞에 위치한 도시철도 1호선 연제역의 역명은 시청(연제)역으로 변경되었다.
조직[편집]
시장[편집]
- 시정혁신본부[4]
- 대변인실[4]
- 언론홍보담당관실[5]
행정부시장[편집]
|
경제부시장[편집]
|
직속기관[편집]사업소[편집]
|
산하 자치단체[편집]
|
|
|
|
정원[편집]
부산광역시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2][15]
총계 | 2,362명 | |
---|---|---|
정무직 계 | 1명 | |
시장 | 1명 | |
일반직 계 | 2,043명 | |
1급 이하 2급 이상 | 3명 | |
3급 이하 5급 이상 | 486명[16] | |
6급 이하 | 1,547명[17] | |
전문경력관 | 7명 | |
별정직 계 | 12명 | |
1급 상당 이하 2급 상당 이상 | 1명 | |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 | 7명 | |
6급 상당 이하 | 4명 | |
연구직 계 | 5명 | |
연구관 | 1명 | |
연구사 | 4명 | |
소방공무원 계 | 301명 | |
소방준감 | 3명 | |
소방정 | 5명 | |
소방령 이하 | 293명 |
재정[편집]
2018년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7.1% 증가한 10조 610억 3553만 4000원이며, 구체적인 세입·세출은 다음과 같다.[3]
|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국가직 제외.
- ↑ 가 나 부산광역시 지방공무원 정원 규칙 별표1 및 별표2
- ↑ 가 나 부산광역시청 - 예산서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초 코 토 포 호 구 누 두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 ↑ 가 나 다 라 마 바 일반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 ↑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 ↑ 가 나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 ↑ 2018년 8월 2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 ↑ 소방감으로 보한다.
- ↑ 전문임기제공무원 가급으로 보한다.
- ↑ 지방이사관으로 보한다.
- ↑ 부산광역시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별표4 및 부산광역시 지방공무원 정원 규칙 별표2
- ↑ 한시정원 1명 포함.
- ↑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1.5명 미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