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서부소방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52′ 34″ 동경 128° 37′ 31″ / 북위 35.876074° 동경 128.625183°
대구서부소방서 평리119안전센터 | |
기본정보 | |
---|---|
설치년도 | 1984년 |
주소 | 대구광역시 서구 달서천로 186 |
지휘체계 | |
국가 | ![]() |
상급기관 | 대구광역시 소방안전본부 |
관할구역 | 대구광역시 서구, 북구 강북지역[1] |
관할센터 | 평리·읍내·이현·비산·태전·내당·동천·금호·구조대·강북구조대 |
함께 읽기 | |
웹사이트 | 대구서부소방서 - 공식 웹사이트 |
지도 | |
![]() |
대구서부소방서(大邱西部消防署, Daegu Seobu Fire station)는 대구광역시 서구와 북구의 강북지역을 관할하는[1] 대구광역시 소방안전본부 산하의 소방서이다.
연혁[편집]
- 1984년 12월 1일: 대구서부소방서 개서
- 1991년 5월 23일: 대구달서소방서 분리
- 1994년 10월 27일: 대구북부소방서 분리
조직[편집]
|
|
|
관할센터 및 관할구역[편집]
대구서부소방서는 8곳의 119안전센터와 2개의 구조대를 산하에 두고 있다.[3]
명칭 | 사진 | 주소 | 관할구역 | 지역대 |
---|---|---|---|---|
평리119안전센터 | 서구 달서천로 186 | 서구 평리1·3·5·6동, 비산5·7동 | ||
읍내119안전센터 | 북구 칠곡중앙대로 570 | 북구 읍내동, 국우동 일부 | ||
이현119안전센터 | 서구 국채보상로 119 | 서구 상중이동 | ||
비산119안전센터 | 서구 달서로 206 | 서구 비산1·2·3·4·6동, 원대동 | ||
태전119안전센터 | 북구 칠곡중앙대로 184 | 북구 태전1·2동, 관문동 일부 | ||
내당119안전센터 | 서구 서대구로3길 16 | 서구 내당1·2·3·4동, 평리2·4동 | ||
동천119안전센터 | 북구 구암로 155 | 북구 동천동, 구암동, 국우동 일부, 도남동 일부 | ||
금호119안전센터 | 북구 한강로 105 | 북구 금호동 , 사수동 , 팔달동[4] | ||
대구서부소방서 119구조대 | 서구 달서천로 186 | 대구광역시 서구 일원 | ||
대구서부소방서 강북119구조대 | 북구 구암로 155 | 대구광역시 북구 강북지역 |
사건사고[편집]
- 거성관 화재 사고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 : 서부소방서는 소방동원령 1호에 따른 전국 구급차에 대한 소독을 담당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대구광역시의회 (2015년 4월 10일). “대구광역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별표1”. 2015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2013년 2월 22일). “지방소방기관 설치에 관한 규정 별표1”. 201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대구광역시청 (2015년 4월 10일). “대구광역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시행규칙 별표1”. 2015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119뉴스팀 (2018년 12월 21일). “대구서부소방서, 금호119안전센터 개소”. 2019년 1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대구서부소방서
- 공식 웹사이트
![]() |
이 글은 대한민국의 행정기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대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