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소방재난본부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15′ 17″ 동경 127° 02′ 12″ / 북위 37.254613° 동경 127.036669°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수원소방서 남부119안전센터 | |
![]()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의 상징그림 | |
기본정보 | |
---|---|
설치년도 | 1992년 |
주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동수원로 286 |
모토 | 세계최고 경기소방 |
지휘체계 | |
국가 | ![]() |
상급기관 | 경기도청 |
소방서 | 35 |
산하 기관 | 2 |
본부장 | 이형철[1] |
관할구역 | 경기도 일원 |
함께 읽기 | |
웹사이트 |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 공식 웹사이트 |
경기도 소방재난본부(京畿道 災難安全本部, Gyeonggi Disaster and Safety Headquarters)는 경기도에서 필요로하는 소방, 방재의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경기도지사의 소속으로 설치된 기관이다.
연혁[편집]
- 1946년 4월 경기도 소방위원회 설치
- 1946년 8월 경기도 소방청 설치
- 1948년 9월 경기도 소방청 폐지, 경기도 경찰국에 흡수
- 1975년 11월 경기도 민방위국 소방과 설치
- 1981년 10월 인천직할시 승격으로 소방관할 변경
- 1991년 12월 소방업무를 기초자치업무에서 광역자치업무로 변경
- 1992년 4월 경기도 소방본부 설치
- 1997년 6월 소방항공대, 소방학교 설치
- 1998년 9월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로 변경
- 2006년 9월 경기도 제2소방재난본부 설치
- 2014년 9월 경기도 재난안전본부로 변경
- 2018년 10월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로 변경
역대 본부장[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대수 | 이름 | 임기 |
---|---|---|
1대 | 최재홍 | 1992년 4월 10일 ~ 1994년 3월 30일 |
2대 | 고재모 | 1993년 7월 23일 ~ 1994년 3월 31일 |
3대 | 홍순구 | 1994년 4월 1일 ~ 1996년 6월 4일 |
4대 | 김광수 | 1996년 6월 5일 ~ 1999년 4월 7일 |
5대 | 이범진 | 1999년 4월 8일 ~ 2001년 2월 13일 |
6대 | 한기성 | 2001년 2월 14일 ~2002년 5월 19일 |
7대 | 박용호 | 2002년 5월 20일 ~ 2004년 1월 12일 |
8대 | 박권섭 | 2004년 1월 13일 ~ 2004년 12월 31일 |
9대 | 제진주 | 2005년 1월 24일 ~ 2006년 3월 7일 |
10대 | 김한용 | 2006년 3월 8일 ~ 2007년 2월 12일 |
11대 | 최진종 | 2007년 2월 13일 ~ 2009년 1월 1일 |
12대 | 최웅길 | 2009년 1월 2일 ~ 2009년 11월 5일 |
13대 | 변상호 | 2009년 11월 6일 ~ 2011년 4월 27일 |
14대 | 이양형 | 2011년 4월 28일 ~ 2015년 5월 31일 |
15대 | 강태석 | 2015년 6월 1일 ~ 2017년 7월 25일 |
16대 | 이재열 | 2017년 7월 26일[3] ~ 2019년 1월 3일 |
17대 | 이형철 | 2019년 1월 4일[1] ~ |
조직[편집]
|
|
|
주요 업무[편집]
소방감사담당관[편집]
- 소방업무 감사·감찰 등에 관한 사항
- 공직자재산등록, 공직윤리 및 청렴도 향상 등에 관한 사항
- 소방특별사법경찰 운영 및 소송 등 법무 업무 지원 등에 관한 사항
- 소방서ᐧ지방소방학교 정기종합감사 및 부분감사 등에 관한 사항
소방행정과[편집]
- 소방정책 기획, 성과분석·평가·관리 및 의회대응협력 등에 관한 사항
- 소방공무원 임용, 정원관리, 채용, 상훈, 복무관리 및 교육훈련 등에 관한 사항
- 소방공무원 후생복지 및 공무직, 보조인력 관리 등에 관한 사항
- 관인관수‧문서통제‧보안관리‧상훈‧의전 및 행사 등에 관한 사항
회계장비과[편집]
- 소방청사의 공사, 예산확보, 시설물 유지관리 등에 관한 사항
- 특별회계 운영, 예산편성 및 결산, 세입세출 외 현금관리 등에 관한 사항
- 화재구조구급 등 소방장비 및 물품 등 구매, 현황관리 등에 관한 사항
- 소방장비 확인전검 및 중장기 보강계획 수립 등에 관한 사항
안전복지과[편집]
- 직장협의회, 두드림활동 등 조직문화 개선 등에 관한 사항
- 소방공무원 특수건강검진 및 체력측정, 관리 등에 관한 사항
- 소방공무원 공사상 방지대책 등 보건, 복지 및 안전관리 등에 관한 사항
- 안전사고 조사·재발방지 및 안전관리 점검·평가 등에 관한 사항
화재대응조사과[편집]
- 화재진압대책, 재난매뉴얼 개발, 의소대 및 소방용수 유지관리 등에 관한 사항
- 풍수해 자연재해 대비대응, 소방활동 종합대책 등에 관한 사항
- 화재원인의 조사·분석·감식 및 화재 통계관리 등에 관한 사항
- 주요행사장 안전관리 및 대책 수립 등에 관한 사항
구조구급과[편집]
- 구조·구급행정의 법령 재·개정, 기본계획 수립·조정 등에 관한 사항
- 구조구급대원 품질관리, 분석ᐧ평가 및 안전관리 등에 관한 사항
- 구조구급활동 통계관리분석 및 구조구급 정책 수립 등에 관한 사항
- 구조·구급활동 관련 기관 및 단체와의 협력 등에 관한 사항
예방안전과[편집]
- 소방시설 설계·감리·점검업 및 공사업 지도·감독 등에 관한 사항
- 특별조사, 안전관리자 지도감독 및 소방홍보 등에 관한 사항
- 위험물 시설 안전관리 및 지도·감독·단속 등에 관한 사항
- 119소년단, 체험관 관리, 어린이, 청소년 소방안전교육 등에 관한 사항
특수대응단[편집]
- 지진·테러·화생방·국지도발 등 특수재난 대응대책 등에 관한 사항
- 소방항공대 운항ᐧ관리 및 소방헬기의 유지관리 등에 관한 사항
- 테러·CBRNE 사고위험정보 수집관리, 초동대응 및 인명구조 활동 등에 관한 사항
- 특수·대형 재난 발생시 구조 활동 및 지휘·통제 등에 관한 사항
종합상황실[편집]
- 화재·구조·구급 등 신고접수·지령 및 상황 관제 등에 관한 사항
- 재난상황 총괄 정보수집·전파 및 상황보고 등에 관한 사항
- 긴급구조시스템, 소방정보화시스템 및 소방통신망 구축유지관리 등에 관한 사항
- 의료상담 등 구급상황관리 등에 관한 사항
산하기관[편집]
동·서·남·북부 지역으로 나누어 지역별 출동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동부지역은 본부 소방행정과장, 서부지역은 재난안전과장, 남부지역은 재난대응과장, 북부지역은 북부소방재난본부장이 지역현장지휘본부장을 겸한다.[4]
- 직할대
|
|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정부인사발령통지” (PDF). 대한민국 소방청. 2020년 1월 4일. 2020년 2월 10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경기도청 (2014년 9월 25일).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시행규칙 제17조”. 2014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정부인사발령통지” (PDF). 국민안전처. 2017년 7월 26일. 2020년 2월 12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경기도청 (2014년 10월 2일). “경기도 재난대응 소방력 운용 규칙”.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5년 8월 3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