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농촌진흥청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세부 조직에 대해서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 조직#농촌진흥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농촌진흥청 소속 위원회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좌표: 북위 35° 49′ 53″ 동경 127° 03′ 22″ / 북위 35.831413° 동경 127.056121°
설립일 | 1962년 4월 1일 |
---|---|
설립 근거 | 「정부조직법」 제36조제3항[1] |
전신 | 농사원 |
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농생명로 300 |
직원 수 | 353명[2] |
예산 | 세입: 189억 9500만 원[3][4] 세출: 9404억 5800만 원[5][6] |
모토 | 농업생명기술 혁신으로 국민의 풍요로운 미래를 선도 |
청장 | 허태웅 |
차장 | 이용범 |
상급기관 | 농림축산식품부 |
산하기관 | 소속기관 4 |
웹사이트 |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 공식 웹사이트 |
농촌진흥청(農村振興廳,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약칭: 농진청, RDA[7])은 농촌진흥을 위한 시험·연구개발 및 보급, 농식품산업 발전 연구지원 및 농업인의 지도·양성과 농촌지도자의 훈련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8] 1962년 4월 1일 농사원을 개편하여 발족하였으며,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농생명로 300에 위치하고 있다. 청장은 차관급 정무직공무원[9]으로, 차장은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10]으로 보한다.
소관 사무[편집]
- 농촌진흥을 위한 시험·연구개발 및 보급
- 농식품산업 발전 연구지원
- 농업인의 지도·양성과 농촌지도자의 훈련에 관한 사무
연혁[편집]
- 1949년 01월 06일: 농림부에 중앙농업기술원 설치.[11]
- 1949년 10월 07일: 중앙농업기술원으로부터 토양 및 토성에 관한 사무를 이관받아 농림부 소속으로 중앙토양연구소 설치.[12] 농림부 소속으로 중앙가축위생연구소 설치.[13]
- 1952년 05월 10일: 중앙농업기술원으로부터 축산에 관한 사무를 이관받아 농림부 소속으로 중앙축산기술원 설치.[14]
- 1953년 05월 20일: 중앙농업기술원으로부터 원예에 관한 사무를 이관받아 농림부 소속으로 중앙원예기술원 설치.[15]
- 1957년 05월 28일: 중앙토양연구소, 중앙농업기술원, 중앙원예기술원, 중앙축산기술원 및 중앙가축위생연구소를 통합하여 농사원 설치.[16]
- 1961년 12월 26일: 농림부 소속으로 농림부훈련원 설치.[17]
- 1962년 04월 01일: 농사원과 농림부훈련원을 통합하여 농림부의 외청으로 농촌진흥청을 설치.[18]
- 1973년 03월 03일: 농수산부의 외청으로 소속 변경.[19]
- 1987년 01월 01일: 농림수산부의 외청으로 소속 변경.[20]
- 1996년 08월 08일: 농림부의 외청으로 소속 변경.[21]
- 2008년 02월 29일: 농림수산식품부의 외청으로 소속 변경.[22]
- 2013년 03월 23일: 농림축산식품부의 외청으로 소속 변경.[23]
- 2014년 07월 25일: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소재 전북혁신도시로 이전.[24]
- 2018년 07월 01일: 전라북도 전주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전북혁신도시 지역인, 덕진구 장동 일부, 만성동 일부와 완산구에서 편입된 중동을 관할로 덕진구 혁신동이 신설되어, 덕진구로 주소 변경
조직[편집]

소속기관[편집]
소속 위원회[편집]

정원[편집]
농촌진흥청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2]
총계 | 333명 | |
---|---|---|
정무직 계 | 1명 | |
청장 | 1명 | |
별정직 계 | 2명 | |
6급 상당 이하 | 2명 | |
일반직 계 | 330명 | |
고위공무원단 | 5명 | |
3급 이하 5급 이상 | 124명 | |
6급 이하 | 194명[25] | |
전문경력관 | 7명 |
재정[편집]
총수입·총지출 기준 2019년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4][6]
|
|
정책[편집]
1960년대에 동독에서 보관하던 토종 종자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에 돌아왔다.[26] 국산 난 팔레놉시스도 공개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농촌진흥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소속으로 농촌진흥청을 둔다.
- ↑ 가 나 농촌진흥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1 및 별표4
- ↑ 2019년 총수입 기준
- ↑ 가 나 기획재정부 열린재정 > 세입/수입 예산편성현황(총수입, 순계)
- ↑ 2019년 총지출 기준
- ↑ 가 나 기획재정부 열린재정 > 세출/수출 예산편성현황(총지출, 순계)
- ↑ 대한민국 행정자치부 (2015년 9월 15일). “정부조직 영어명칭에 관한 규칙 - 중앙행정기관의 약칭과 영어명칭”.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7년 2월 5일에 확인함.
- ↑ 농촌진흥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제3조
- ↑ 정부조직법 제36조제4항 및 농촌진흥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1
- ↑ 정부조직법 제36조제4항 및 농촌진흥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2조
- ↑ 대통령령 제45호
- ↑ 대통령령 제192호
- ↑ 대통령령 제193호
- ↑ 대통령령 제640호
- ↑ 대통령령 제790호
- ↑ 대통령령 제1274호
- ↑ 각령 제316호
- ↑ 법률 제1038호
- ↑ 법률 제2557호
- ↑ 법률 제3854호
- ↑ 법률 제5153호
- ↑ 법률 제8852호
- ↑ 법률 제11690호
- ↑ 홍용덕 (2014년 7월 24일). “농진청 '수원 시대' 막내렸다”. 《한겨레》. 2017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한시정원 1명 포함.
- ↑ 박병률 (2009년 5월 3일). “獨서 한반도 토종 종자 돌려받는다”. 《경향신문》. 2010년 8월 16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 공식 웹사이트
-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 공식 블로그
-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