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
![]() 국무총리비서실 청사 | |
설립일 | 2013년 3월 23일 |
---|---|
설립 근거 | 「정부조직법」 §21① |
전신 | 국무총리실, 특임장관실 |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다솜로 261 |
직원 수 | 97명[1] |
예산 | 세입: 2300만 원[2][3] 세출: 6558억 7600만 원[4][5][6] |
실장 | 박성근 |
상급기관 | 국무총리 |
산하기관 | #조직 |
웹사이트 | [7] 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 - 공식 웹사이트 |
국무총리비서실(國務總理秘書室, Prime Minister's Secretariat, 약칭: 총리비서실, PMS[8])은 국무총리의 직무를 보좌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2013년 3월 23일 국무총리실을 개편하여 발족하였으며, 세종특별자치시 다솜로 261 정부세종청사 1동에 위치하고 있다. 실장은 차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소관 사무[편집]
- 국무총리의 대국회활동 보좌에 관한 사항
- 당정협조업무에 관한 사항
- 국무총리의 국정자문업무에 관한 사항
- 국내외 주요 정보 및 상황에 관한 사항
- 민원업무 처리 및 조정에 관한 사항
- 시민단체 지원 및 협력에 관한 사항
- 국무총리의 국정활동홍보에 관한 사항
- 국무총리의 연설문·담화문 등 작성에 관한 사항
- 국무조정실 업무의 홍보지원에 관한 사항
- 국무총리의 의전·경호 및 귀빈의 영접에 관한 사항
- 국무총리공관의 유지관리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국무총리의 지시사항의 처리에 관한 사항
연혁[편집]
- 1960년 8월 19일: 국무총리 소속으로 국무총리비서실 설치.[9]
- 1962년 4월 20일: 내각수반비서실로 개편.[10]
- 1963년 12월 17일: 국무총리비서실로 개편.[11]
- 2008년 2월 29일: 국무총리비서실과 국무조정실을 국무총리실로 통합.[12]
- 2012년 9월 17일: 정부세종청사로 이전.[13]
- 2013년 3월 23일: 국무총리비서실과 국무조정실로 분리. 특임장관실을 폐지하고 소관사무를 이관받음.[14]
조직[편집]
실 | 비서관실 |
---|---|
실장 산하 하부조직 | |
정무실 | 정무기획비서관실ㆍ정무협력비서관실 |
민정실 | 민정민원비서관실ㆍ시민사회비서관실 |
공보실 | 소통총괄비서관실ㆍ디지털소통비서관실ㆍ소통메시지비서관실 |
의전비서관실 |
정원[편집]
국무총리비서실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1]
총계 | 97명 | |
---|---|---|
정무직 계 | 1명 | |
실장 | 1명 | |
별정직 계 | 2명 | |
6급 상당 이하 | 2명 | |
일반직 계 | 94명 | |
고위공무원단 | 11명 | |
3급 이하 5급 이상 | 46명 | |
6급 이하 | 37명 |
재정[편집]
총수입·총지출 기준 2022년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3][5][6]
|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국무총리비서실 직제 별표
- ↑ 2022년 총수입 기준
- ↑ 가 나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 ↑ 2022년 총지출 기준
- ↑ 가 나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 ↑ 가 나 국무조정실과 합산한 예산.
- ↑ 국무조정실 홈페이지와 동일.
- ↑ 「정부조직 영어명칭에 관한 규칙」 별표
- ↑ 국무원령 제67호
- ↑ 각령 제668호
- ↑ 법률 제1506호
- ↑ 법률 제8852호
- ↑ 이선형 (2012년 9월 15일). “국무총리실 세종시 이전, 정부세종청사 시대 '개막'”. 《뉴스1》 (세종). 2017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법률 제11690호
외부 링크[편집]
- 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 - 공식 웹사이트
- 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 - 공식 블로그
- 대한민국 국무총리비서실 -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