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인사혁신처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세부 조직에 대해서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 조직#인사혁신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인사혁신처 소속 위원회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좌표: 북위 36° 30′ 30″ 동경 127° 15′ 40″ / 북위 36.508346° 동경 127.261185°
![]() 인사혁신처 상징 | |
![]() 인사혁신처 건물 | |
설립일 | 2014년 11월 19일 |
---|---|
설립 근거 | 「정부조직법」 제22조의3제2항[1] |
전신 | 안전행정부 |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절재로 180 세종미디어프라자 6층~12층 |
직원 수 | 361명[2] |
예산 | 세입: 15조 5196억 9000만 원[3][4] 세출: 18조 9342억 1800만 원[5][6] |
모토 | 국민을 위한 혁신, 미래를 여는 공무원 |
상급기관 | 국무총리 |
산하기관 | 소속기관 2 |
웹사이트 | 대한민국 인사혁신처 - 공식 웹사이트 |
인사혁신처(人事革新處, Ministry of Personnel Management, 약칭: 인사처, MPM[7])는 행정부 소속 공무원의 인사행정에 관한 기본정책의 수립, 인사행정분야의 혁신, 인재채용, 인사관리, 인재개발, 윤리, 복무, 연금 및 소청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8] 2014년 11월 19일 발족하였으며,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499(어진동) 세종포스트빌딩에 위치하고 있다. 처장은 차관급 정무직공무원[9]으로, 차장은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10]으로 보한다.
소관 사무[편집]
- 행정부 소속 공무원의 인사행정에 관한 기본정책의 수립
- 인사행정분야의 혁신에 관한 사무
- 인재채용
- 인사관리
- 인재개발
- 윤리에 관한 사무
- 복무
- 연금에 관한 사무
- 소청에 관한 사무
연혁[편집]
- 1948년 07월 17일: 총무처에 인사국을 설치.[11]
- 1955년 02월 17일: 국무원사무국 인사과로 개편.[12]
- 1960년 07월 01일: 국무원사무처 인사국으로 개편.[13]
- 1963년 12월 17일: 총무처 소속으로 변경.[14]
- 1998년 02월 28일: 행정자치부 인사복무국으로 개편.[15]
- 1998년 07월 22일: 인사복무국을 인사국으로 개편하고, 공무원복무에 관한 사무를 감사관실로 이관하여 복무감사관실로 개편.[16]
- 1999년 05월 24일: 행정자치부로부터 인사행정에 관한 사무를 이관받아 대통령 직속 중앙인사위원회로 독립.[17]
- 2001년 12월 31일: 복무감사관실을 감사관실로 개편하고, 공무원복무에 관한 사무를 인사국에 이관.[18]
- 2004년 03월 11일: 행정자치부로부터 공무원의 인사관리 및 후생복지(복무 및 연금관리에 관한 사항은 제외)에 관한 사무를 이관받음.[19]
- 2006년 07월 01일: 행정자치부 정책홍보관리실에 윤리복지정책관실을 설치.[20]
- 2008년 02월 29일: 중앙인사위원회를 폐지하고, 행정안전부에 인사실을 설치. 정책홍보관리실 윤리복지정책관실을 윤리복무관실로 개편.[21]
- 2013년 03월 23일: 안전행정부 소속으로 변경.[22]
- 2014년 11월 19일: 안전행정부 인사실과 윤리복무관실을 폐지하고 공무원의 인사·윤리·복무·연금에 관한 사무를 이관받아 국무총리 직속 인사혁신처를 설치.[23]
- 2016년 4월 15일 세종시 신청사 개청식.
조직[편집]

소속기관[편집]
소속 위원회[편집]

정원[편집]
인사혁신처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으며, 이 중 정원에서 1명(6급 1명)은 금융위원회, 1명(6급 1명)은 국세청 소속 공무원으로 각각 충원한다.[2]
총계 | 361명 | |
---|---|---|
정무직 계 | 1명 | |
처장 | 1명 | |
일반직 계 | 360명 | |
고위공무원단 | 9명 | |
3급 이하 5급 이상 | 167명[24] | |
6급 이하 | 169명[25] | |
전문직공무원 | 9명 | |
전문경력관 | 6명 |
재정[편집]
총수입·총지출 기준 2019년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4][6]
|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공무원의 인사·윤리·복무 및 연금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으로 인사혁신처를 둔다.
- ↑ 가 나 인사혁신처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1
- ↑ 2019년 총수입 기준
- ↑ 가 나 기획재정부 열린재정 > 세입/수입 예산편성현황(총수입, 순계)
- ↑ 2019년 총지출 기준
- ↑ 가 나 기획재정부 열린재정 > 세출/수출 예산편성현황(총지출, 순계)
- ↑ 대한민국 행정자치부 (2015년 9월 15일). “정부조직 영어명칭에 관한 규칙 - 중앙행정기관의 약칭과 영어명칭”.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7년 2월 5일에 확인함.
- ↑ 인사혁신처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3조
- ↑ 정부조직법 제22조의3제2항 및 인사혁신처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1
- ↑ 정부조직법 제22조의3제2항 및 인사혁신처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2조
- ↑ 대통령령 제14호
- ↑ 대통령령 제1012호
- ↑ 국무원령 제13호
- ↑ 각령 제1586호
- ↑ 대통령령 제15715호
- ↑ 대통령령 제15841호
- ↑ 대통령령 제16317호
- ↑ 대통령령 제17437호
- ↑ 대통령령 제18310호
- ↑ 대통령령 제19596호
- ↑ 대통령령 제20741호
- ↑ 대통령령 제24425호
- ↑ 법률 제12844호
- ↑ 시간선택제채용공무원 1.0명 포함
- ↑ 시간선택제채용공무원 2.0명 포함.
외부 링크[편집]
- 대한민국 인사혁신처 - 공식 웹사이트
- 대한민국 인사혁신처 - 공식 블로그
- 대한민국 인사혁신처 -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