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남도 (대한민국)
| |||
![]() 평안남도 지도 | |||
현황 | |||
---|---|---|---|
국가 | ![]() | ||
면적 | 14,944 km2 | ||
인구 | 1,826,441→ 7,307,084명 (1944→ 2008년 기준) | ||
인구밀도 | 115→ 488.96명/km2 (1944→ 2008년 기준) | ||
하위 행정구역 | 2시 14군 | ||
도청 | |||
도지사 | 조명철 | ||
소재지 | 평양시 상수동 (이북5도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
평안남도(平安南道)는 한반도의 북서부에 위치한 명목상 대한민국의 도(道)이다. 전 지역을 북한이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소속의 이북5도위원회가 이 지역을 관할하고 있다. 한국 전쟁 당시에 일시적으로 대한민국이 수복한 적이 있었다.
지리[편집]
북쪽으로는 평안북도, 북동쪽과 동쪽으로는 함경남도, 남쪽과 남동쪽으로는 황해도와 접하고 있었으며, 서쪽과 남서쪽으로는 황해와 접하고 있었다.
인구[편집]
2008년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상에서의 평양직할시와 남포특별시를 포함한 평안남도의 인구 수는 총 730만 7084명이다.[1]
행정 구역[편집]
평양시[편집]
평양시(平壤市)는 평안남도의 도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270.3 km2이며, 시청 소재지는 산수동이다. 91개 법정동·리로 구성되어 있고 또 평양시의 행정동이 관할하는 법정동의 숫자는 모두 7개로 같다. 이북5도위원회는 명예동장 13명을 임명하고 있다.[2]
행정동 | 동 숫자 | 법정동·리 | 비고 |
---|---|---|---|
기림동(箕林洞) | 7 | 경제(鏡齊) 기림(箕林) 능로(陵路) 신창(新倉) 아청(衙廳) 전구(磚九) 진향(眞香) | |
남문동(南門洞) | 7 | 남문(南門) 대화(大和) 산수(山水) 수(壽) 욱(旭) 천(泉) 항(港) | 평양시청 소재 |
남산동(南山洞) | 7 | 교구(橋口) 남(南) 남산(南山) 동(東) 죽원(竹園) 팔천대(八千代) 행(幸) | |
문수동(紋繡洞) | 7 | 대신(大新) 문수(紋繡) 불당(佛堂) 오야(梧野) 율(栗) 의암(衣巖) 장진(將進) | |
미산동(嵋山洞) | 7 | 감북(坎北)내(內)미산(嵋山)상흥(上興)오촌(鰲村)용흥(龍興)청암(淸巖) | |
사동(寺洞) | 7 | 미림(美林) 빈(蘋) 사동(寺洞) 석암(石巖) 정백(貞柏) 조왕(助王) 토성(土城) | |
상수동(上需洞) | 7 | 경상(慶上) 본(本) 상수(上需) 설암(薛巖) 앵(櫻) 진동(賑洞) 창전(倉田) | 평안남도청 소재 |
서성동(西城洞) | 7 | 능라(陵羅) 당산(堂山) 동대원(東大院) 서성(西城) 인흥(仁興) 채관(釵貫) 평천(平川) | 대동군청 소재 |
선교동(船橋洞) | 7 | 구정(九井) 대치령(大馳嶺) 봉수(鳳岫) 서내(西內) 선교(船橋) 신(新) 양각(羊角) | |
신양동(新陽洞) | 7 | 감점(甘店) 경창(景昌) 관후(舘後) 상수구(上水口) 신양(新陽) 이문(里門) 죽전(竹典) | |
수옥동(水玉洞) | 7 | 계(鷄) 대찰(大察) 수옥(水玉) 순영(巡營) 이향(履鄕) 장별(將別) 하수구(下水口) | |
장지동(長池洞) | 7 | 구동창(舊東倉) 송신(松新) 신동창(新東倉) 장지(長池) 장천(將泉) 추을(秋乙) 칠산(七山) | |
황금동(黃金洞) | 7 | 빈(濱) 서(西) 암(巖) 약송(若松 )유(柳) 홍매(紅梅) 황금(黃金) | 평양역 소재 |
진남포시[편집]
진남포시(鎭南浦市)의 면적은 41.3 km2, 시청 소재지는 욱동이다. 27개 법정동·리가 있으나,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명예동장 7명을 임명한다.
행정동 | 동 숫자 | 법정동·리 | 비고 |
---|---|---|---|
대두동(大頭洞) | 6 | 대두(大頭) 문애(文艾) 어호(魚湖) 영곡(靈谷) 유사(柳沙) 천교(泉橋) | |
도학동(島鶴洞) | 4 | 도학(島鶴) 지울(智蔚) 초유(抄鍮) 한학(寒鶴) | |
비석동(碑石洞) | 3 | 비석(碑石) 용정(龍井) 후포(後浦) | |
신흥동(新興洞) | 3 | 마산(馬山) 신흥(新興) 지산(芝山) | |
억량기동(億兩機洞) | 4 | 고정(高井) 마사(麻沙) 억량기(億兩機) 해산(海山) | |
원동(元洞) | 4 | 명협(明峽) 욱(旭) 원(元) 월견(月見) | 진남포시청 소재 |
항동(上需洞) | 3 | 삼화(三和) 한두(漢頭) 항(港) |
대동군[편집]
대동군(大同郡)은 평안남도 중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평양시를 도넛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다. 군청소재지는 평양시 인흥리이다. 14면 223리로 편제되어 있다. ※ 면사무소 소재지는 굵게 표기.
- 대동강 이북
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북한 행정구역상 (대략적으로) |
---|---|---|---|---|
고평면(古平面) | 55.7 | 16 | 광탄(廣灘) 내(內) 서송(西松) 산(山) 남(南) 차(車) 장광(長光) 망일(望日) 추자(楸子) 하단(下端) 중단(中端) 상단(上端) 금천(金泉) 시산(匙山) 일화(日和) 신흥(新興) |
평양직할시 만경대구역 |
용산면(龍山面) | 69.61 | 13 | 전촌(全村) 조전(趙全) 하(下) 상(上) 초담(草潭) 오류(五柳) 용봉(龍峰) 용악(龍岳) 구촌(龜村) 원로(元魯) 하구로(下九老) 소룡(小龍) 상구로(上九老) |
평양직할시 만경대구역 |
김제면(金祭面) | 66.3 | 16 | 원장(院場) 상지(上池) 산수(山水) 가정(加井) 노하(路下) 은적(隱跡) 맥산(麥山) 정(井) 대정(大井) 황용(黃用) 외제(外祭) 부창(孚暢) 목당(木堂) 위전(偉磚) 학림(鶴林) 이인(里仁) |
대동군 (대동읍 부근) |
대보면(大寶面) | 67.82 | 9 | 대평외(大平外) 대평내(大平內) 문현(文峴) 반천(反川) 용인(龍仁) 안정(安靜) 서기(西綺) 용담(龍潭) 팔청(八淸) |
대동군 천리마군 |
남형제산면(南兄弟山面) | 58.8 | 21 | 내(內) 자류(紫柳) 당촌(棠村) 사(寺) 고천(古泉) 이계(二溪) 천남(川南) 하당(下堂) 남교(南橋) 고산(孤山) 자정(紫井) 작산(鵲山) 사포(沙浦) 과로(菓魯) 마흘(麻屹) 승황(承況) 적갈(摘葛) 장산(長山) 와우(臥牛) 학교(鶴橋) 노포(蘆浦) |
대동군 또는 평양직할시 형제산구역 |
재경리면(在京里面) | 57.99 | 16 | 빙장(氷庄) 다원(茶院) 망덕(望德) 천(泉) 천서(川西) 신중(新中) 천동(川東) 간(間) 현암(玄巖) 오금(梧琴) 사당(社堂) 하석화(下石花) 중석화(中石花) 갈산(葛山) 송림(松林) 판교(板橋) |
대동군 또는 평양직할시 형제산구역, 순안구역 |
용악면(龍岳面) | 89.9 | 9 | 동북(東北) 마산(馬山) 동남(東南) 서(西) 상(上) 하(下) 원(元) 하차(下次) 상차(上次) |
평양직할시 용성구역 |
부산면(斧山面) | 85.92 | 18 | 남궁(南宮) 수산(壽山) 화곡(花谷) 용성(龍城) 용궁(龍宮) 삼봉(三峰) 학산(鶴山) 서양(西陽) 신흥(新興) 서산(西山) 신미(新美) 신안(新安) 중(中) 대양(大陽) 하삼(下三) 중이(中二) 상일(上一) 범사(凡沙) |
평양직할시 용성구역 |
시족면(柴足面) | 89.05 | 18 | 노산(魯山) 삼산(三山) 토포(土浦) 남경(南京) 호남(湖南) 연화(蓮花) 철봉(鐵峰) 성문(聖文) 내(內) 청운(靑雲) 송학(松鶴) 대천(大泉) 송화(松花) 지산(芝山) 건지(乾芝) 석삼(石三) 삼석(三石) 성산(聖山) |
평양직할시 삼석구역 |
임원면(林原面) | 74.31 | 16 | 노성(魯聖) 북사(北四) 남사(南四) 고산(高山) 양암(陽巖) 청호(淸湖) 상오(上五) 청계(淸溪) 상동(上東) 서룡(西龍) 동포(東浦) 와산(臥山) 운월(雲月) 화성(和盛) 기암(奇巖) 송암(松巖) |
평양직할시 대성구역, 용성구역 |
- 대동강 이남
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북한 행정구역상 (대략적으로) |
---|---|---|---|---|
청룡면(靑龍面) | 46.26 | 19 | 이현(梨峴) 대원(大園) 회(晦) 산사(山寺) 삼합(三合) 추미(楸美) 대수(大水) 모운(茅雲) 내도(萊島) 기림(岐林) 소오류(小五柳) 양합(兩合) 대오류(大五柳) 양지(陽池) 사도(泗島) 지탄(芝灘) 법수(法水) 이목(梨木) 이천(梨川) |
평양직할시 사동구역, 승호구역 |
율리면(栗里面) | 78.4 | 12 | 무진(戊辰) 남당(藍塘) 추빈(湫斌) 답현(畓峴) 유신(柳新) 현교(絃橋) 원북(院北) 대중(大中) 석정(石井) 중(中) 조촌(趙村) 한간(鷳間) |
평양직할시 역포구역, 사동구역 |
용연면(龍淵面) | 60.08 | 16 | 검포(檢浦) 한정(寒井) 천(泉) 도제(道濟) 파장(坡長) 삼정(三井) 소신(小新) 가작(加鵲) 산음(山陰) 지양(池陽) 냉정(冷井) 소(巢) 유(柳) 당정(堂井) 양지(陽池) 향목(香木) |
평양직할시 역포구역, 낙랑구역 |
남관면(南串面) | 50.25 | 23 | 원암(猿巖) 남정(南井) 유사(柳寺) 석사(石寺) 간(間) 황룡(黃龍) 보성(甫城) 노남(魯南) 월내(月內) 장매(長梅) 두단(斗團) 조왕(助王) 대송(大松) 문발(文發) 용포(龍浦) 효남(孝南) 평호(坪湖) 이신(鯉新) 각금(覺今) 애포(艾浦) 소이도(小耳島) 대이도(大耳島) 벽지도(碧只島) |
평양직할시 낙랑구역 |
순천군[편집]
순천군(順川郡)은 평안남도 중앙에 위치한 군으로, 군청소재지는 순천읍 관상리이다. 1읍 8면 150개리로 편제되어 있다.
- 읍/면사무소 소재지는 굵게 표기.
읍면 | 리 숫자 | 리(里) |
---|---|---|
순천읍(順川邑) | 18 | 관상(館上) 창(倉) 관하(館下) 평(坪) 상(上) 중(中) 성암(城巖) 하(下) 송포(松浦) 추(楸) 초송(初松) 원별(元別) 운봉(雲峰) 마상(馬上) 용소(龍沼) 강포(江浦) 전산(錢山) 서변(西邊) |
선소면(仙沼面) | 11 | 연당(蓮塘) 남포(藍浦) 증산(甑山) 장평(長坪) 모학(慕鶴) 답동(畓洞) 간동(間洞) 동림(東林) 용암(龍巖) 오천(梧泉) 도흥(桃興) |
사인면(舍人面) | 12 | 사인(舍人) 반송(盤松) 봉학(鳳鶴) 안국(安國) 석우(石隅) 사창(社倉) 청옥(靑玉) 옥전(玉田) 군신(君臣) 삼화(三花) 덕산(德山) 송령(松嶺) |
후탄면(厚灘面) | 14 | 후탄(厚灘) 입석(立石) 화오(和五) 양포(兩浦) 오탄(五灘) 용흥(龍興) 석정(石井) 합포(合浦) 월탄(月灘) 고삼(庫三) 득룡(得龍) 학림(鶴林) 반룡(盤龍) 현룡(見龍) |
자산면(慈山面) | 26 | 자산(慈山) 용연(龍淵) 풍덕(豊德) 송림(松林) 청룡(靑龍) 용문(龍文) 신평(申平) 자로(慈老) 덕반(德盤) 신암(新岩) 운흥(雲興) 향봉(香峰) 중평(中坪) 제일(第一) 고읍(古邑) 백전(栢田) 성남(城南) 운곡(雲谷) 부용(芙蓉) 강덕(降德) 신풍(新豊) 인풍(仁豊) 용암(龍岩) 청송(靑松) 계지(桂池) 기탄(岐灘) |
내남면(內南面) | 11 | 중평(中坪) 각암(閣巖) 용천(龍泉) 금평(金坪) 지상(支上) 지하(支下) 사평(沙坪) 금곡(金谷) 원봉(元峰) 신(新) 매남(梅南) |
북창면(北倉面) | 11 | 북창(北倉) 오상(鰲上) 중상(中上) 중하(中下) 구상(舊上) 용하(龍下) 중흥(中興) 용악(龍岳) 한령(汗嶺) 부윤(富潤) 인산(仁山) |
은산면(殷山面) | 23 | 은산(殷山) 진산(鎭山) 이화(伊華) 학천(鶴泉) 마산(馬山) 석교(石橋) 금창(錦窓) 원정(元井) 숭화(崇化) 명덕(明德) 남옥(南玉) 태평(泰坪) 추평(楸坪) 문창(文昌) 안평(安平) 천성(天聖) 송현(松峴) 정산(丁山) 임강(臨江) 서남(西南) 창흥(昌興) 모성(慕聖) 인상(仁上) |
신창면(新倉面) | 24 | 신창(新倉) 귀천(貴泉) 청계(淸溪) 수원(水源) 신이(新二) 신삼(新三) 신사(新四) 마동(馬洞) 용흥(龍興) 숭덕(崇德) 용승(龍昇) 연곡(延谷) 용암(龍巖) 용화(龍化) 망일(望日) 삼중(三中) 월포(月浦) 재동(梓洞) 영대(靈坮) 은천(隱泉) 구정(九井) 원창(院倉) 유상(柳上) 숭산(崇山) |
맹산군[편집]
맹산군(孟山郡)은 면적 1,101 km2이며, 8개면 85개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청 소재지는 맹산면 수정리이다.
- 면사무소 소재지는 굵게 표시한다.
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
맹산면(孟山面) | 92.61 | 11 | 수정(水晶) 당포(堂浦) 학무(鶴舞) 홍문(紅門) 화(花) 다흥(多興) 문로(文蘆) 송계(松界) 상창(上倉) 동매(東梅) 향내(香內) |
동면(東面) | 125.69 | 7 | 노전(蘆田) 소요(逍遙) 평지(坪地) 대흥(大興) 신중(新中) 송수(松水) 방평(芳坪) |
봉인면(封仁面) | 167.38 | 12 | 가창(假倉) 유내(柳內) 송남(松南) 청수(淸水) 팔봉(八峰) 남양(南陽) 은천(銀泉) 남천(南泉) 안하(安下) 덕중(德中) 덕상(德上) 정광(正廣) |
애전면(藹田面) | 204.67 | 9 | 창(倉) 광(廣) 맹주(孟州) 풍림(豊林) 성제(城濟) 초평(草坪) 문곡(文谷) 함온(咸溫) 영운(嶺雲) |
옥천면(玉泉面) | 164.36 | 13 | 북창(北倉) 연(蓮) 수(水) 남양(南陽) 송사(松寺) 매현(梅峴) 신석(新石) 삼(三) 용덕(龍德) 잉포(芿浦) 용하(龍下) 안학(安鶴) 회안(檜安) |
원남면(元南面) | 137.7 | 14 | 향평(香坪) 상계(上界) 신계(新界) 달천(達泉) 수남(水南) 행산(杏山) 중추(中楸) 정인(貞仁) 주포(朱浦) 문와(文瓦) 기양(岐陽) 인안(仁安) 남흥(南興) 시억(柴億) |
지덕면(智德面) | 130.27 | 11 | 용덕(龍德) 와요(臥堯) 양성(陽城) 학포(鶴浦) 효(孝) 덕화(德化) 송암(松巖) 상화(上和) 용산(龍山) 두암(頭巖) 송흥(松興) |
학천면(鶴泉面) | 78.03 | 8 | 소창(召倉) 소하(召下) 함박(咸朴) 고상(古上) 고하(古下) 가(加) 오봉(五峰) 원정(遠井) |
양덕군[편집]
양덕군(陽德郡)은 평안남도 남동부에 위치한다. 1읍 6면 69개리로 편제되어 있으며, 면적 1,345.6 km2이다. 군청소재지는 양덕읍 용계리이다.
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
양덕읍(陽德邑) | 322.2 | 12 | 용계(龍溪) 봉계(鳳溪) 용흥(龍興) 태평(太平) 수덕(樹德) 운니(雲泥) 창(倉) 지수(智水) 인평(仁平) 청송(淸松) 전동(佃洞) 풍전(豊田) |
대륜면(大倫面) | 189.3 | 7 | 사기(士基) 수주(水注) 구룡(九龍) 통동(通洞) 인흥(仁興) 공진(孔眞) 괘송(卦松) |
동양면(東陽面) | 114.4 | 8 | 하석(下石) 성북(城北) 상석(上石) 신흥(新興) 수암(水巖) 지경(地境) 용산(龍山) 흘평(屹坪) |
쌍룡면(雙龍面) | 172 | 10 | 평창(平倉) 관봉(冠峰) 반성(盤城) 화락(化樂) 용반(龍盤) 용전(龍田) 정옥(丁玉) 용봉(龍峰) 북창(北倉) 중(仲) |
오강면(吳江面) | 226.8 | 9 | 창(倉) 월명(月明) 봉암(鳳巖) 신봉(新峰) 신흥(新興) 용담(龍潭) 등암(鄧巖) 연봉(蓮峰) 쌍룡(雙龍) |
온천면(溫泉面) | 263.5 | 12 | 온정(溫井) 일양(日陽) 창(倉) 진석(眞石) 거차(巨次) 상청(上淸) 하청(下淸) 은우(隱牛) 평암(平巖) 상국(上菊) 하국(下菊) 상신(上信) |
화촌면(化村面) | 93.94 | 11 | 백석(白石) 문흥(文興) 평곡(平谷) 장성(長星) 화암(花巖) 풍계(楓溪) 문암(文巖) 용흥(龍興) 여의(如意) 쌍평(雙坪) 창개(昌介) |
성천군[편집]
성천군(成川郡)은 면적 1,554 km2이며, 12면 105개리로 편제되어 있다. 군청소재지는 성천면 상부리이다.
- 면사무소 소재지는 굵게 표시한다.
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
성천면(成川面) | 115.2 | 8 | 상부(上部) 하부(下部) 순덕(順德) 용선(龍仙) 흥덕(興德) 마전(麻田) 대부(大富) 영목(永睦) |
구룡면(九龍面) | 145.8 | 6 | 가평(佳坪) 운전(雲田) 용연(龍淵) 회춘(回春) 운흥(雲興) 고척(高尺) |
능중면(陵中面) | 203.31 | 15 | 남양(南陽) 명덕(明德) 문창(文昌) 숭덕(崇德) 창의(昌義) 대흥(大興) 양춘(陽春) 융중(隆中) 삼고(三顧) 소남(召南) 송산(松山) 이동(梨洞) 덕련(德連) 광덕(廣德) 고익(高益) |
대곡면(大谷面) | 102.77 | 5 | 대곡(大谷) 심진(尋眞) 화평(花坪) 문어(文語) 지동(芝洞) |
대구면(大邱面) | 142.94 | 7 | 별창(別倉) 원평(元坪) 천동(泉洞) 지동(支洞) 화인(化仁) 광산(匡山) 신장(信長) |
사가면(四佳面) | 77.99 | 13 | 장림(長林) 용흥(龍興) 회덕(懷德) 은수(銀水) 성림(成林) 지석(支石) 거흥(巨興) 석우(石隅) 천성(天成) 맥전(麥田) 회원(檜源) 입석(立石) 쌍계(雙溪) |
삼덕면(三德面) | 101.06 | 9 | 신덕(新德) 삼덕(三德) 쌍림(雙林) 운봉(雲峰) 대동(大洞) 문원(文源) 노동(蘆洞) 원덕(元德) 장상(長上) |
삼흥면(三興面) | 95.4 | 6 | 난산(卵山) 일청(一靑) 구빈(九賓) 행단(杏壇) 광탄(廣灘) 창평(昌平) |
숭인면(崇仁面) | 144.39 | 6 | 창인(昌仁) 숭인(崇仁) 흥인(興仁) 삼인(三仁) 거인(居仁) 귀인(歸仁) |
쌍룡면(雙龍面) | 104.96 | 9 | 석전(石田) 삭창(朔倉) 용현(龍峴) 상평(上坪) 하(下) 금성(錦城) 풍평(豊坪) 오동(梧洞) 용문(龍門) |
영천면(靈泉面) | 98.73 | 10 | 요파(了波) 조양(朝陽) 대요파(大了波) 용봉(龍鳳) 대평(大坪) 용암(龍巖) 송강(松江) 용택(龍澤) 노동(蘆洞) 유동(柳洞) |
통선면(通仙面) | 146.92 | 11 | 덕암(德巖) 안택(安宅) 남산(南山) 남원(南源) 군자(君子) 상(上) 하(下) 백원(百源) 용담(龍潭) 문흥(文興) 옥정(玉井) |
강동군[편집]
강동군(江東郡)은 평안남도 중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군청소재지는 승호읍 승호리이다. 1읍 5면 110개리로 편제되어 있다.
- 읍/면사무소 소재지는 굵게 표기.
읍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
승호읍(勝湖邑) | 86.32 | 14 | 승호(勝湖) 괴음(槐陰) 입석(立石) 광청(廣淸) 대성(大成) 운학(雲鶴) 신장(新壯) 화천(貨泉) 동서(東西) 인흥(仁興) 금옥(金玉) 응암(鷹巖) 파릉(巴陵) |
강동면(江東面) | 65.97 | 18 | 아달(阿達) 지례(智禮) 하(下) 숭의(崇義) 효덕(孝德) 화강(花岡) 원효(源孝) 명례(明禮) 명의(明義) 와룡(臥龍) 용복(龍伏) 용흥(龍興) 송학(松鶴) 문평(文坪) 문흥(文興) 지(芝) 칠포(漆浦) 상(上) |
고천면(高泉面) | 45.91 | 17 | 열파(閱波) 수(壽) 맥전(麥田) 명(明) 향교(鄕校) 고성(古城) 도덕(道德) 선광(先光) 구암(龜巖) 광덕(廣德) 용천(龍泉) 반석(盤石) 관학(冠鶴) 삼성(三成) 천답(泉畓) 동서(東西) 마학(馬鶴) |
봉진면(鳳津面) | 74.62 | 19 | 한왕(漢王) 봉호(鳳湖) 고성(姑城) 외단(外端) 중단(中端) 하단(下端) 신(新) 용연(龍淵) 금곡(金谷) 운룡(雲龍) 봉당(鳳塘) 향목(香木) 건천(乾泉) 변희(卞希) 문왕(文旺) 동삼(東三) 북삼(北三) 동(東) 연(蓮) |
삼등면(三登面) | 151.05 | 26 | 봉의(鳳義) 문명(文明) 용연(龍淵) 생금(生金) 고류(古柳) 명학(鳴鶴) 송석(松石) 자양(紫陽) 석문(石門) 태잠(太岑) 고봉(古鳳) 봉서(鳳瑞) 봉오(鳳梧) 석름(石廪) 봉래(鳳來) 옥정(玉井) 상동(上東) 동추(東芻) 반룡(攀龍) 사단(社壇) 대(垈) 영태(靈台) 제령(祭靈) 송가(松街) 청탄(淸灘) 사간(沙艱) |
원탄면(元灘面) | 100.91 | 17 | 상(上) 하(下) 원흥(圓興) 내(內) 신룡(新龍) 원신(元新) 문우(文隅) 남경(南京) 표대(表垈) 마산(馬山) 봉도(鳳島) 송오(松塢) 삼청(三靑) 탑하(塔下) 흑룡(黑龍) 고비(高飛) 훈암(壎巖) |
중화군[편집]
중화군(中和郡)은 평안남도 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면적 909 km2에 11면 203리로 편제되어 있었다. 군청소재지는 중화면 낙민리이다. 북한 행정구역상 대략적으로 중화군+강남군+상원군에 속하는 지역이다.
- 면사무소 소재지는 굵게 표기함.
면 | 리 숫자 | 리(里) |
---|---|---|
중화면(中和面) | 27 | 낙민(樂民) 초현(草峴) 신우(新牛) 갈매(葛梅) 치산(峙山) 진률(眞栗) 당밀(唐密) 금수정(金水井) 석전(石磚) 운봉(雲峰) 관(館) 강로(江老) 산개(山開) 장산(長山) 독산(獨山) 정지(正阯) 회유(回楡) 신유(新楡) 하명월(下明月) 추당(楸唐) 청학(靑鶴) 빙장(氷庄) 사룡(寺眬) 충의(忠義) 묵성(墨成) 장원(長院) 어부산(魚鳧山) |
간동면(看東面) | 16 | 상하(上下) 간동장(看東場) 지석(支石) 조치(棗峙) 광제원(廣濟院) 사기(沙器) 수재(秀才) 간지정(干支井) 유(柳) 노년(老年) 명구(名區) 내동(內洞) 중(中) 오리(梧梨) 부원(府院) 일연(日淵) |
당정면(唐井面) | 15 | 당곡(唐谷) 후장교(後長橋) 송오(松塢) 양라(陽羅) 검암(儉巖) 간(間) 두정(斗井) 적선(積善) 애간(艾間) 당촌(唐村) 석교(石橋) 수구(水龜) 동산(東山) 건산교(乾山橋) 화문(和文) |
동두면(東頭面) | 17 | 협계(峽溪) 흑(黑) 신봉(新鳳) 채송(蔡松) 진파(眞坡) 고정(古井) 설매(雪梅) 대선(大仙) 죽월(竹月) 용산(龍山) 장룡(張龍) 무진장(戊辰場) 대류(大柳) 서옥(書玉) 조양(朝陽) 다기장(多奇障) 서가(書加) |
상원면(祥原面) | 19 | 신읍(新邑) 덕령(德嶺) 장항(獐項) 내입암(內立巖) 외입암(外立巖) 상귀동(上貴洞) 중귀동(中貴洞) 초귀동(初貴洞) 구거비(求去非) 흑우(黑隅) 화봉(樺峰) 직현(直峴) 법화(法樺) 성산(城山) 장전(長田) 대정(大井) 문산(文山) 흥천(興天) 금충(金忠) |
수산면(水山面) | 9 | 노전(蘆田) 병운(竝雲) 용천(龍泉) 동구(洞口) 화전(花田) 은구(銀口) 다목(多木) 건천(乾川) 성재(成才) |
신흥면(新興面) | 20 | 상삼(上三) 심방(沈防) 신포(新蒲) 광산(廣山) 윤산(潤山) 삼응(三鷹) 용하(龍下) 진산(眞山) 용흥(龍興) 윤암(尹巖) 운산(雲山) 성천(城川) 백리(百梨) 고산(古山) 심촌(沈村) 대기암(大奇巖) 신한(新寒) 칭우(秤隅) 칭정(秤井) 경목(鏡睦) |
양정면(楊井面) | 18 | 석양(石陽) 신허(新許) 한교(寒橋) 용해(龍海) 신대(新大) 양지(陽地) 고잔(古棧) 성현(城峴) 신리(新梨) 삼합(三合) 대내(大內) 석정(石井) 간성(澗星) 입석(立石) 음양(陰陽) 문정(文井) 당정(唐井) 정암(亭巖) |
천곡면(天谷面) | 14 | 용곡(龍谷) 개금(開金) 대여(大與) 휴암(鵂岩) 번동(繁洞) 화암(禾岩) 이암(鯉岩) 덕현(德峴) 전산(錢山) 초봉(初峰) 이봉(二峰) 각금(覺金) 귀일(貴逸) 상교(上橋) |
풍동면(楓洞面) | 19 | 능성(綾盛) 덕암(德巖) 고령(高靈) 복정(福井) 노동(蘆洞) 풍정(楓井) 영천(靈泉) 가암(加巖) 남양(南陽) 구읍(舊邑) 내동(內洞) 지동(智洞) 대동(大同) 고암(古巖) 덕동(德洞) 이현(泥峴) 용강(龍江) 가수(佳殊) 벽하(碧霞) |
해압면(海鴨面) | 29 | 요포(瑤浦) 흥문(興文) 용산(龍山) 영삼(永三) 하석담(下石潭) 상신흥(上新興) 하신흥(下新興) 인암(印巖) 황촌(黃村) 애곡(崖谷) 안현(鞍峴) 광석(廣石) 광성(廣城) 성하련(城下蓮) 신안포(新安浦) 죽산(竹山) 유양(柳陽) 화호(花虎) 간곡(間谷) 동천(東川) 포류(浦柳) 신갈(新葛) 이안(二安) 황산(黃山) 삼성(三姓) 목제(睦濟) 매현(梅峴) 동곡(東谷) 삼가(三街) |
용강군[편집]
용강군(龍岡郡)은 평안남도 서남쪽 끝에 위치한 군으로, 군청소재지는 용강면 옥도리이다. 13면 130개리로 편제되어 있다. 북한 행정구역상 용강읍은 이북5도체계 행정구역상으로는 지운면에 해당한다.
- 면사무소 소재지는 굵게 표기.
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
용강면(龍岡面) | 57.3 | 10 | 옥도(玉桃) 서부(西部) 초산(草山) 의산(義山) 오작(烏鵲) 장암(長巖) 난산(卵山) 후산(後山) 반추(盤楸) 방어(芳漁) |
귀성면(貴城面) | 67.57 | 12 | 노상(路上) 대령(大嶺) 석찬(石贊) 감박(甘朴) 원읍(元邑) 노하(路下) 용도(龍島) 석성(石城) 금정(金井) 향곶(香串) 증악(甑岳) 최광(最廣) |
금곡면(金谷面) | 38.67 | 10 | 우등(牛登) 남상(南上) 남하(南下) 석포(石浦) 경전(耕田) 유동(乳洞) 금수(金水) 담부(擔釜) 화도(花島) 내성(內城) |
다미면(多美面) | 77.47 | 13 | 오화(五花) 오정(梧井) 보명(普明) 난마(蘭麻) 치의(幟衣) 서적(瑞赤) 장미(長尾) 한전(閑田) 동전(東箭) 대안(大安) 소안(小安) 지사동(芝沙洞) 우안(牛安) |
대대면(大代面) | 69.73 | 7 | 덕동(德洞) 오산(梧山) 월곡(月谷) 산동(山洞) 매산(梅山) 사천(沙川) 화도(火島) |
삼화면(三和面) | 43.1 | 10 | 옥정(玉井) 학당(學堂) 서정(西亭) 마점(馬岾) 주림(舟林) 내교(內校) 율상(栗上) 율하(栗下) 충흥(忠興) 용문(龍門) |
서화면(瑞和面) | 38.86 | 8 | 자복(自福) 암현(巖峴) 신안(新安) 한현(漢峴) 설암(雪巖) 죽본(竹本) 석치(石峙) 동상(同相) |
신녕면(新寧面) | 86.21 | 9 | 신덕(新德) 연송(延松) 송산(松山) 신암(新巖) 수일(水日) 광암(廣巖) 소강(蘇康) 오학(梧鶴) 마염(馬鹽) |
양곡면(陽谷面) | 46.12 | 11 | 마명(馬明) 주흥(周興) 갈천(葛川) 두찬(杜贊) 신류(新柳) 천교(泉橋) 초축(樵杻) 문애(文艾) 정화(亭花) 하용(河湧) 남동(南桐) |
오신면(吾新面) | 78.23 | 14 | 가룡(佳龍) 석정(石井) 직매(直梅) 가양(葭陽) 구룡(九龍) 유동(楡洞) 송성(松城) 월매(月梅) 도대(桃垈) 인산(麟山) 덕해(德海) 한학(寒鶴) 내덕(內德) 마학(馬鶴) |
용월면(龍月面) | 51.13 | 8 | 갈현(葛峴) 국안(國安) 광덕(廣德) 마동(麻洞) 대영(大永) 계명(桂明) 송석(松石) 주달(周達) |
지운면(池雲面) | 46.29 | 13 | 진지(眞池) 유보(柳保) 안성(安性) 신촌(新村) 입성(立城) 만하(晩荷) 양원(兩院) 두륵(頭勒) 현암(絃巖) 대성(大城) 인포(仁浦) 양화(陽和) 문성(文城) |
해운면(海雲面) | 43.96 | 10 | 온정(溫井) 용반(龍磻) 궁산(弓山) 월지(月池) 연봉(延鳳) 일병(日屛) 갈성(葛城) 성현(城峴) 용정(龍井) 이현(里峴) |
강서군[편집]
강서군(江西郡)은 면적 735.64 km2에 14면 160리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군청소재지는 강서면 덕흥리이다.
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
강서면(江西面) | 45.69 | 9 | 덕흥(德興) 정화(靜和) 거장(巨庄) 암저(岩底) 현봉(賢鳳) 삼묘(三墓) 광향(廣鄕) 학천(鶴泉) 감전(監廛) |
동진면(東津面) | 51.72 | 14 | 기양(岐陽) 탄포(灘浦) 고일(古逸) 추죽(推竹) 신교(新橋) 덕봉(德鳳) 태성(台城) 다필(多必) 어은(於隱) 심정(心貞) 학송(鶴松) 청산(靑山) 용정(龍井) 석현(石峴) |
반석면(班石面) | 39.97 | 7 | 상사(上四) 하사(下四) 반삼 (班三) 반일(班一) 반오(班五) 반이(班二) 반육(班六) |
보림면(普林面) | 50.89 | 11 | 화학(和鶴) 서학(棲鶴) 관포(觀浦) 문천(聞天) 남삼(南三) 학남(鶴南) 유현(柳峴) 우산(羽山) 대화(大和) 간성(肝城) 광포(廣浦) |
성암면(城巖面) | 43.85 | 10 | 남양(南陽) 금산(金山) 대안(大安) 대정(大井) 차제(車堤) 영평(永平) 세죽(細竹) 죽마(竹馬) 주산(舟山) 입송(立松) |
성태면(星台面) | 86.43 | 14 | 원당(元塘) 태일(台一) 태사(台四) 성일(星一) 성이(星二) 성삼(星三) 성사(星四) 성오(星五) 성육(星六) 성칠(星七) 연곡(硯谷) 가장(可庄) 대마(大馬) 금송(金宋) |
수산면(水山面) | 58.46 | 13 | 오이(烏耳) 금천(金泉) 가생(可生) 가현(可峴) 신정(薪井) 가흥(佳興) 백운(白雲) 운북(雲北) 천도(千渡) 어경(於京) 고학(古鶴) 쌍송(雙松) 운남(雲南) |
신정면(新井面) | 12 | 구련(龜蓮) 후현(後縣) 신(新) 진사(進士) 탄현(炭峴) 이(二) 삼(三) 사(四) 연하(烟霞) 하청(河淸) 대흥(大興) 화산(花山) | |
쌍룡면(雙龍面) | 9 | 다족(多足) 기(基) 유명(柳明) 창포(菖蒲) 임성(林城) 봉오(鳳梧) 신경(新慶) 산경(山慶) 운포(雲浦) | |
잉차면(芿次面) | 32.23 | 8 | 오(五) 일(一) 이(二) 삼(三) 팔(八) 화석(花石) 조양(朝陽) 토산(兎山) |
적송면(赤松面) | 64.49 | 10 | 석삼(石三) 석일(石一) 석이(石二) 석사(石四) 석오(石五) 석육(石六) 석칠(石七) 청령(淸嶺) 삼부(三府) 곡신(殼新) |
증산면(甑山面) | 81.65 | 21 | 취룡(聚龍) 이안(利安) 사과(四科) 정양(正養) 화선(化善) 영천(靈泉) 오화(五和) 광제(廣濟) 용덕(龍德) 금탄(金炭) 무본(務本) 가풍(歌豊) 승영(升盈) 두만(斗滿) 정실(鼎實) 오명(杵鳴) 낙생(樂生) 오흥(吳興) 미회(美會) 반룡(蟠龍) 자봉(紫鳳) |
초리면(草里面) | 23.93 | 7 | 강선(降仙) 포(浦) 송호(松湖) 남호(南湖) 이로(伊老) 보봉(寶鳳) 사(沙) |
함종면(咸從面) | 22.84 | 15 | 함종(咸從) 홍범(洪範) 석교(石橋) 송경(松坰) 미석(美石) 계양(桂陽) 계산(鷄山) 안석(安石) 봉황(鳳凰) 달상(達上) 일중(一中) 고경(古京) 여오개(汝吾介) 범오(範五) 발산(鉢山) |
평원군[편집]
평원군(平原郡)의 면적은 985.05 km2, 16개 면 215개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청소재지는 평원면 이화리이다. 평원면은 일명 영유(永柔)라고도 불렸다.
면 | 리 숫자 | 리(里) |
---|---|---|
평원면(平原面) | 14 | 이화(梨花) 괴천(槐泉) 영덕(永德) 월평(月坪) 대부(大夫) 어파(漁坡) 원류(元柳) 어은(漁隱) 부용(芙蓉) 송석(松石) 화림(華林) 자일(紫逸) 월정(月晶) 장림(長林) |
검산면(檢山面) | 9 | 검흥(檢興) 송양(松陽) 터산(攄山) 신지(薪枝) 신성(新成) 검양(檢陽) 용포(龍浦) 학산(鶴山) 검서(檢西) |
공덕면(公德面) | 21 | 흥운(興雲) 원(院) 적암(積巖) 괴전(槐田) 송매(松梅) 향암(香巖) 장재(長財) 간(間) 양수(兩水) 성교(城橋) 산송(傘松) 용흥(龍興) 병상(竝上) 법흥(法興) 상이(上二) 퇴상(退上) 퇴현(退峴) 퇴남(退南) 용암(龍巖) 신교(新郊) 신화(新和) |
노지면(鷺池面) | 10 | 용정(龍井) 용당(龍堂) 정림(旌林) 대송(大松) 용암(龍巖) 쌍암(雙巖) 석소(石蘇) 추흥(楸興) 문명(文明) 대주(大洲) |
덕산면(德山面) | 14 | 삼정(三井) 화산(華山) 검암(劒巖) 주촌(朱村) 봉도(蜂島) 유촌(兪村) 귤(橘) 덕수(德水) 탑(榻) 경하(坰下) 제(齊) 원오(元五) 대포(大浦) 호여(浩呂) |
동송면(東松面) | 10 | 월봉(月峰) 군자(君子) 수암(壽巖) 백석(白石) 백운(白雲) 송현(松峴) 청룡(靑龍) 운평(雲平) 용담(龍潭) 운룡(雲龍) |
동암면(東巖面) | 23 | 산음(山陰) 암적(巖赤) 원화(元和) 조산(造山) 산양(山陽) 상탄(上灘) 용산(龍山) 도전(都田) 신흥(新興) 송석(松石) 서석암(西石巖) 동석암(東石巖) 신평(新坪) 부백(孚白) 용이(龍二) 용우(龍隅) 둔전(屯田) 문암(門巖) 율일(栗一) 율화(栗花) 반송(盤松) 서문(西門) 어중(御重) |
서해면(西海面) | 11 | 사산(蛇山) 연풍(延豊) 보원(補元) 보덕(補德) 당오(唐塢) 광천(廣川) 남포(南浦) 원흥(元興) 중흥(中興) 용산(龍山) 신덕(新德) |
숙천면(肅川面) | 16 | 관전(官前) 사직(社稷) 관동(館東) 당하(堂下) 심정(深井) 성남(城南) 미남(嵋南) 백로(白鷺) 통덕(通德) 도덕(道德) 신흥(新興) 내동(內洞) 덕수(德水) 신남(新南) 송저(松底) 만흥(晩興) |
순안면(順安面) | 21 | 남창(南昌) 군상(郡上) 사직(社稷) 구교(舊校) 포정(蒲井) 관북(館北) 남산(南山) 오산(梧山) 안흥(安興) 수우(水隅) 신상(新上) 담화(曇華) 연산(延山) 성일(星一) 성이(星二) 신안(新安) 구서(九瑞) 양학(陽鶴) 안암(安庵) 상양(上陽) 원일(元一) |
양화면(兩花面) | 12 | 요화(蓼花) 옥정(玉井) 내송(內松) 상송(上松) 금강(金剛) 신정(新井) 평(坪) 용복(龍伏) 신성(新成) 상서(上西) 중흥(中興) 신(新) |
용호면(龍湖面) | 16 | 연교(蓮橋) 운봉(雲鳳) 안연(安淵) 뇌송(雷松) 판교(板橋) 청운(靑雲) 용강(龍岡) 당우(堂隅) 약전(藥田) 관성(館城) 남양(南陽) 장평(獐坪) 응오(鷹烏) 중항(中巷) 매전(梅田) 어당(魚塘) |
조운면(朝雲面) | 8 | 갈산(葛山) 응암(鷹巖) 조운(朝雲) 재정(財井) 송천(松千) 성덕(聖德) 순정(順井) 태평(太平) |
청산면(靑山面) | 11 | 구원(舊院) 계산(桂山) 남흥(南興) 운송(雲松) 보방(寶坊) 금봉(金峰) 교산(橋山) 개수(价水) 용암(龍巖) 송현(松峴) 운탑(雲塔) |
한천면(漢川面) | 11 | 감팔(甘八) 감일(甘一) 감이(甘二) 감삼(甘三) 감사(甘四) 감오(甘五) 감육(甘六) 감칠(甘七) 인의(仁義) 예지(禮智) 신성(信成) |
해소면(海蘇面) | 8 | 금학(金鶴) 용현(龍峴) 송정(松井) 월현(月現) 내덕(內德) 종률(種栗) 난산(爛山) 용교(龍橋) |
안주군[편집]
안주군(安州郡)은 평안북도 서북단에 위치한다. 면적 692.2 km2에 1읍 7면 169개리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군청소재지는 안주읍 북문리이다.
읍면 | 리 숫자 | 리(里) |
---|---|---|
안주읍(安州邑) | 27 | 칠성(七星) 청교(淸橋) 남천(南川) 율산(栗山) 건인(建仁) 북문(北門) 차장(差壯) 신성(新城) 금성(金城) 고성(古城) 원풍(元豊) 북송(北松) 서산(西山) 용연(龍淵) 선흥(船興) 도회(都會) 봉서(鳳棲) 장상(長上) 장천(長川) 신의(信義) 장흥(長興) 미상(彌上) 문봉(文峰) 화양(華陽) 용현(龍峴) 용서(龍西) 용흥(龍興) |
대니면(大尼面) | 22 | 협흥(協興) 봉학(鳳鶴) 용남(龍南) 남계(南溪) 용호(龍湖) 금계(金溪) 쌍계(雙溪) 남상계(南上溪) 용흥(龍興) 문천(文川) 문남(文南) 계림(桂林) 어룡(漁龍) 용포(龍浦) 백학(白鶴) 소니(小尼) 이서(尼西) 봉명(鳳鳴) 용봉(龍奉) 발남(鉢南) 발북(鉢北) 만흥(萬興) |
동면(東面) | 15 | 용흥(龍興) 동맹(東孟) 용계(龍溪) 맹주(孟州) 봉덕(鳳德) 평률(平栗) 명학(鳴鶴) 봉명(鳳鳴) 상서(祥瑞) 봉상(鳳祥) 봉학(鳳鶴) 연풍(延豊) 운흥(雲興) 금천(錦川) 금서(錦西) |
신안주면(新安州面) | 23 | 원흥(元興) 운흥(雲興) 운송(雲松) 창송(蒼松) 신원(新院) 용계(龍溪) 명암(明巖) 청송(靑松) 용운(龍雲) 동칠(東七) 증암(甑巖) 상팔(上八) 남칠(南七) 신성(新成) 송학(松鶴) 봉림(鳳林) 오(五) 낙만(樂萬) 소학(巢鶴) 원일(元一) 운학(雲鶴) 송죽(松竹) 신(新) |
연호면(燕湖面) | 19 | 용흥(龍興) 동서(東西) 내삼(內三) 용삼(龍三) 남이(南二) 남일(南一) 북흥(北興) 남흥(南興) 중흥(中興) 노안(老安) 박비(博飛) 용오(龍五) 동림(東林) 서흥(西興) 신설(新設) 인흥(仁興) 신양(新陽) 상팔(上八) 남사(南四) |
용화면(龍花面) | 15 | 용연(龍淵) 용반(龍盤) 봉학(鳳鶴) 마산(馬山) 삼산(三山) 응암(鷹巖) 상북동(上北洞) 운천(雲川) 약천(藥泉) 용남(龍南) 용담(龍潭) 용중(龍中) 용전(龍田) 용운(龍雲) 용흥(龍興) |
운곡면(雲谷面) | 20 | 용복(龍伏) 용림(龍林) 용천(龍川) 용학(龍鶴) 용전(龍田) 용서(龍西) 재전(在田) 원흥(元興) 용담(龍潭) 용택(龍澤) 중흥(中興) 원룡(元龍) 구룡(九龍) 어룡(漁龍) 용흥(龍興) 반룡(反龍) 운룡(雲龍) 온상(溫上) 입석(立石) 온흥(溫興) |
입석면(立石面) | 28 | 용주(龍珠) 입석(立石) 용운(龍雲) 신명(新明) 용흥(龍興) 왕산(王山) 송산(松山) 용정(龍井) 용지(龍池) 성법(聖法) 동호(銅壺) 신(新) 인풍(仁豊) 내동(內洞) 호남(湖南) 기산(岐山) 남조(南造) 상공삼(上公三) 해서(海西) 서호(西湖) 남단(南端) 원북(元北) 중흥(中興) 남상(南上) 용림(龍林) 용담(龍潭) 연흥(蓮興) 용북(龍北) |
개천군[편집]
개천군(价川郡)은 면적 679.19 km2에 1읍 5면 55리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군청소재지는 개천읍 군우리이다.
면 | 리 숫자 | 리(里) |
---|---|---|
개천읍(价川邑) | 10 | 군우(軍隅) 현룡(見龍) 용성(龍城) 마장(馬場) 송학(松鶴) 신송(新松) 운포(雲浦) 연당(蓮塘) 중흥(中興) 삼포(三浦) |
봉동면(鳳東面) | 8 | 봉창(鳳倉) 중(中) 봉하(鳳下) 오봉(五峰) 상(上) 신흥(新興) 금평(金坪) 기양(岐陽) |
북면(北面) | 8 | 원(院) 용등(龍登) 용연(龍淵) 인흥(仁興) 봉천(鳳泉) 삼봉(三峰) 용담(龍潭) 남전(藍田) |
조양면(朝陽面) | 12 | 봉명(鳳鳴) 용복(龍伏) 승창(承昌) 용현(龍峴) 쌍룡(雙龍) 운양(雲陽) 저(苧) 당아(堂牙) 동림(桐林) 운흥(雲興) 신립(新立) 용봉(龍峰) |
중남면(中南面) | 8 | 삼소(三所) 인곡(仁谷) 청곡(靑谷) 잠계(岑溪) 용원(龍源) 남양(南陽) 답도(畓島) 광덕(光德) |
중서면(中西面) | 9 | 용전(龍田) 신현(新峴) 운룡(雲龍) 용흥(龍興) 용탄(龍灘) 전암(傳巖) 평원(平院) 용화(龍和) 용호(龍湖) |
덕천군[편집]
덕천군(德川郡)은 면적 1,039 km2에 6면 59개리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군청소재지는 덕천면 읍북리이다.
면 | 리 숫자 | 리(里) |
---|---|---|
덕천면(德川面) | 12 | 읍북(邑北) 읍남(邑南) 읍동(邑東) 제남(濟南) 청룡(靑龍) 운송(雲松) 산양(山陽) 장안(長安) 무릉(武陵) 향원(鄕元) 덕동(德洞) 안동(安洞) |
성양면(城陽面) | 10 | 수하(水下) 금성(金城) 연당(蓮塘) 연풍(淵豊) 삼도관(三都官) 운탄(雲灘) 남중(南中) 좌양(左陽) 남하(南下) 남상(南上) |
일하면(日下面) | 11 | 운평(雲坪) 상신(上新) 상심(尙深) 운곡(雲谷) 회둔(檜屯) 전성(錢城) 달하(達下) 흥덕(興德) 구정(九政) 귀상(貴上) 장상(長上) |
잠도면(蠶島面) | 7 | 대평(大坪) 삼동암(三童巖) 양촌(陽村) 용상(龍上) 송림(松林) 잠평(蠶坪) 원동(院洞) |
잠상면(蠶上面) | 8 | 도령(陶令) 번석(番石) 서학(棲鶴) 동평(洞坪) 선가(船街) 내포(內浦) 길상(吉祥) 용소(龍沼) |
풍덕면(豊德面) | 11 | 송정(松亭) 척장(尺長) 추동(楸洞) 신풍(新豊) 옥유(玉踰) 풍덕(豊德) 임하(林下) 신덕(新德) 신평(新坪) 율곡(栗谷) 신흥(新興) |
영원군[편집]
영원군(寧遠郡)은 평안남도 북동부에 있는 군이다. 면적 2,249 km2, 9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청소재지는 영원면 영녕리이다.
면 | 리 숫자 | 리(里) |
---|---|---|
영원면(寧遠面) | 17 | 영녕(永寧) 신율(新栗) 기대(箕垈) 신(新) 대룡(大龍) 덕암(德巖) 성장(城壯) 방산(方山) 남산(南山) 임탄(荏灘) 봉덕(鳳德) 도평(都坪) 문곡(文谷) 마상(馬上) 직(直) 마근담(麻槿潭) 석막(石幕) |
대흥면(大興面) | 11 | 사창(社倉) 인처(仁處) 용암(龍巖) 입석(立石) 복녕(福寧) 흑수(黑水) 중흥(中興) 덕(德) 광통(廣通) 용수(龍水) 월평(月坪) |
덕화면(德化面) | 6 | 교관(敎館) 중흥(中興) 성(城) 횡천(橫川) 신흥(新興) 신덕(新德) |
성룡면(成龍面) | 7 | 구창(舊倉) 평대(坪垈) 길대(吉垈) 청막(淸幕) 장산(長山) 성진(城眞) 만평(萬坪) |
소백면(小白面) | 8 | 와룡(臥龍) 동향(東香) 직(直) 경수(鯨水) 사양(士養) 상남(上南) 신덕(新德) 감덕(甘德) |
신성면(新城面) | 13 | 창의(昌義) 길현(吉峴) 동창(東昌) 장임(壯壬) 대흥(大興) 여운(如雲) 신안(新安) 신흥(新興) 구억(舊億) 진작(陳作) 도흥(都興) 문흥(文興) 하삼(下三) |
영락면(永樂面) | 13 | 중흥(中興) 신흥(新興) 낙포(樂浦) 송평(松坪) 낙창(樂倉) 태평(泰平) 삼포(三浦) 용삼(龍三) 산막(山幕) 창(倉) 문암(門巖) 양성(陽城) 초대(草大) |
온화면(溫和面) | 5 | 온양(溫陽) 회양(回陽) 신답(新沓) 용덕(龍德) 수하(水下) |
태극면(太極面) | 6 | 태극(太極) 영창(永昌) 화순(和順) 송산(松山) 율지(栗枝) 풍전(豊田) |
도지사[편집]
현직 도지사는 조명철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조선중앙통계국,2008년 인구 조사 Archived 2010년 3월 31일 - 웨이백 머신,2009년.
- ↑ 이북5도위원회 - 평안남도 평양시 기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