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령군
부령군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면적 | 790 km2 |
총인구 | 48,958[1] 명 (2008) |
읍 | 1개 |
리 | 5개 |
지리
[편집]지형은 대부분 산악 지대이며, 해발 1,754m인 고성산이 가장 높다. 강으로는 청진시로 흘러드는 수성천이 있다.
북쪽은 회령시, 동쪽과 남쪽은 청진시, 서쪽은 무산군과 접한다. 한때 청진시의 일부였으나, 1985년에 청진시 부령구역을 부령군으로 개편했다.
군 면적의 약 90%가 삼림 지대로, 담비, 불곰, 아무르 표범과 같은 희귀종 동물이 서식한다. 기후는 해양성 기후와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모두 받고 있다.
역사
[편집]일제강점기까지의 부령군은 현재의 청진시의 대부분을 포함해 바다로 접한 큰 군이었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영역이었고 이후 발해가 이 곳을 통치했다.
발해의 멸망 후에는 여진족의 영역이 되었고 고려·조선과 여진족간의 세력 다툼의 장이 되었다. 고려말에는 석막성으로 불렸다. 조선의 세종은 이 곳에 6진의 하나인 녕북진을 두었다. 대한제국 때 부령군의 일부였던 청진이 개항지가 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함경북도에 속했다.
- 1398년 - 석막성으로 불렸다.
- 1431년 - 석막성에 녕북진이 설치되어 절제사가 경성군을 겸했다.
- 1449년 - 부거현을 폐지하고 민호를 석막성으로 옮겨, 부령으로 개칭하였다. 이후 도호부로 승격했다.
- 1895년 - 부령군이 되었다.
- 1908년 - 청진이 개항지가 되었다.
- 1910년 - 청진부로 승격되었다.
- 1914년 - 청진부 중 개항장 외 지역을 관할로 부령군이 설치, 분리되었다.
- 1949년 - 련천면·부거면·삼해면·관해면이 신설된 나진군에 편입되었다.
- 1952년 12월 - 부령군이 재편되었다(1읍 18리).
- 1960년 10월 - 부령군이 청진시에 편입되어 부령구역·송평구역이 되었다.
- 1970년 7월 - 부령구역이 함경북도 소속으로 돌아와 부령군이 되었다.
- 1972년 7월 - 부령군이 다시 청진시에 편입되어 부령구역이 되었고 일부 지역은 청암구역이 되었다.
- 1985년 12월 - 부령구역이 다시 함경북도 소속으로 돌아와 부령군이 되었다.
경제
[편집]철공업, 광공업, 전기 발전이 주요 산업이다. 금과 구리, 석회석 등이 매장되어 있다. 밭농사를 중심으로 한 농업과 양잠업도 행해진다. 특산물로 송이버섯이 많이 난다.
교통
[편집]철도 교통은 함북선과 무산선이 지나며, 도로 교통도 이용된다.
문학 속의 부령군
[편집]조선 후기 학자인 김려가 부령에 유배되어 4년간 머무르면서 그곳 여러 사람들과 나눈 우정을 기억하며 지은 〈사유악부〉가 있다. 그가 남긴 《담정유고》(潭庭遺藁)에 실려 있으며, 악부 290수를 모은 책이다. 박혜숙이 1996년에 그 가운데 165수를 뽑아 번역해 책으로 펴냈다.[2]
모든 악부는 “問汝何所思 所思北海湄”하는 구절로 시작하여 7언 10구가 이어진다. 시작 구절을 한국어로 옮기면 “그대 무엇을 생각하는가? 북쪽 바닷가를 생각하네”이다.
행정 구역
[편집]1985년 청진시에서 분할될 때, 부령1동과 부령2동이 합해져 부령읍이 되었고, 고무산동은 고무산로동자구로 개편되었으며, 현재는 부령읍, 고무산로동자구, 무수로동자구, 석막로동자구, 창평리, 최현리, 형제리, 금강리, 사하리가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조선중앙통계국,2008년 인구 조사,2009년.
- ↑ 《부령을 그리며》, 돌베개. ISBN 89-7199-0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