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북도 (대한민국)
| |||
![]() 평안북도 지도 | |||
현황 | |||
---|---|---|---|
국가 | ![]() | ||
면적 | 28,442.9 km2 | ||
인구 | 1,930,987→ 4,049,700명 (1943→ 2008년 기준) | ||
인구밀도 | 67.9→ 142.38명/km2 (1943→ 2008년 기준) | ||
하위 행정구역 | 1시 19군 | ||
도청 | |||
도지사 | 第15代 양종광(梁宗光) | ||
소재지 | 신의주시 앵동 (이북5도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
평안북도(平安北道)는 한반도의 북서부에 위치한 명목상 대한민국의 도(道)로, 함경남도에 이어 두 번째로 면적이 넓다.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실효 지배하는 영토로,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는 구역은 없다. 명목상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소속의 이북5도위원회가 이 지역을 관할하고 있다. 1950년 한국 전쟁 당시에 일시적으로 대한민국이 일부 지역을 점령한 적이 있었다.
지리[편집]
북쪽과 북서쪽, 서쪽, 북동쪽으로는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국경을 접하는 지역이며, 남서쪽으로는 황해와 접하고 있었다. 남동쪽과 남쪽으로는 평안남도, 동쪽으로는 함경남도와 접하고 있었다.
기후[편집]
건조한 대륙성 기후이기에, 여름과 겨울의 최저-최고 기온의 차이가 많이 난다. 여름에는 영상 38도를 기록할 정도로 더우며, 겨울에는 영하 40도 전후를 오간다.
특히 겨울철이 아주 매서우며, 함경북도(현 북한 행정구역 상 함경, 량강) 다음으로 가장 추운 도이다. 겨울철 평균때보다 기온이 낮을 때에는 압록강에 얼음층이 형성, 한랭성 수증기가 나타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는가 하면, 신도군과 철산군과 곽산군 등 평북해안 서한만에는 때때로 얼음층이 형성된다.
인구[편집]
2008년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상에서, 평안북도와 자강도(랑림군 제외), 량강도 김형직군을 합한 인구 수는 총 404만 9700명이다.[1]
행정 구역[편집]
신의주시[편집]
도청 소재지인 신의주시(新義州市)는 면적 약 106km2이며, 시청은 상반동4가에 위치한다. 광복 당시 86개 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북5도청에서는 명예동장 10명을 임명한다. 신의주시의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빈동(濱洞)·본동(本洞)·상반동1~8가(常盤洞1~8街)·대화동(大和洞)·욱동(旭洞)·앵동(櫻洞)·운정동(雲井洞)·압천동(鴨川洞)·진사동1~7가(眞沙洞1~7街)·노송동(老松洞)·약죽동(若竹洞)·하동(霞洞)·초음동(初音洞)·매지동(梅枝洞)·영동1~7가(榮洞1~7街)·녹동(綠洞)·미륵동(彌勒洞)·남미륵동(南彌勒洞)·마전동(麻田洞)·동마전동(東麻田洞)·서마전동(西麻田洞)·민포동(敏浦洞)·남민동(南敏洞)·화평동(化坪洞)·유초동(柳草洞)·동초동(東草洞)·수문동(水門洞)·토성동(土城洞)·성외동(城外洞)·신평동(新坪洞)·연상동(蓮上洞)·서당동(書堂洞)·연대동(烟臺洞)·풍하동(豊下洞)·풍서동(豊西洞)·백토동(白土洞)·와이동(瓦耳洞)·정심동(正心洞)·창포동(倉浦洞)·탑상동(塔上洞)·탑중동(塔中洞)·탑하동(塔下洞)·선상동(仙上洞)·선하동(仙下洞)·유동(柳洞)·석하동(石上洞)·석중동(石中洞)·석하동(石下洞)·동린동(東麟洞)·서린동(西麟洞)·서재동(西齋洞)·동재동(東齋洞)·중재동(中齋洞)·남재동(南齋洞)·낙원동(樂元洞)·낙청동(樂淸洞)·대석동(大石洞)·용연동(龍淵洞)·연저동(煙渚洞)·용상동(龍上洞)·용하동(龍下洞)·송한동(送鷼洞)·부당동(富堂洞)·상교동(上橋洞)·창동(倉洞)·향교동(鄕校洞) 등이고, 이를 관할하는 행정동들의 명칭은 아래와 같다.
동 | 동 숫자 | 법정동 | 비고 |
---|---|---|---|
낙화동(樂化洞) | 10 | 낙원(樂園) 낙청(樂淸) 미륵(彌勒) 연상(蓮上) 창포(倉浦) 토교(土橋) 풍서(豊西) 풍하(豊下) 하(霞) 화평(化坪) | |
남산동(南山洞) | 7 | 남재(南齋) 대화(大和) 동재(東齋) 서재(西齋) 석상(石上) 석중(石中) 석하(石下) | |
마본동(麻本洞) | 7 | 남민(南敏) 동마전(東麻田) 마전(麻田) 민포(敏浦) 본부(本部) 서마전(西麻田) 욱(旭) | |
상반동(上攀洞) | 10 | 상반동1가(上攀洞1街) 상반동2가(上攀洞2街) 상반동3가(上攀洞3街) 상반동4가(上攀洞4街) 상반동5가(上攀洞5街) 상반동6가(上攀洞6街) 상반동7가(上攀洞7街) 상반동8가(上攀洞8街) 상반동9가(上攀洞9街) 연제동(煙諸洞) | 신의주시청 소재 (상반동4가) |
서연동(書煙洞) | 9 | 남미륵(南彌勒) 동초(東草) 백사(白砂) 서당(書堂) 성외(城外) 수문(水門) 연대(煙臺) 정심(正心) 토성(土城) | |
신탑동(新塔洞) | 7 | 동중(東中) 송한(送鷴) 신평(新坪) 유초(柳草) 탑상(塔上) 탑중(塔中) 탑하(塔下) | |
약초동(若草洞) | 7 | 매지(梅池) 약죽(若竹) 와이(瓦耳) 운정(雲亭) 창(倉) 초음(草陰) 향교(鄕校) | |
영빈동(榮濱洞) | 10 | 빈(濱) 앵동(櫻) 영동1가(榮洞1街) 영동2가(榮洞2街) 영동3가(榮洞3街) 영동4가(榮洞4街) 영동5가(榮洞5街) 영동6가(榮洞6街) 영동7가(榮洞7街) 채하(彩霞) | 평안북도청 소재 |
용서동(龍西洞) | 8 | 대석(大石) 서린(西麟) 선상(仙上) 선하(仙下) 용상(龍上) 용연(龍淵) 용하(龍下) 중재(中齋) | |
진사동(津沙洞) | 10 | 노송(老松) 녹(麓) 압천(鴨川) 진사동1가(津沙洞1街) 진사동2가(津沙洞2街) 진사동3가(津沙洞3街) 진사동4가(津沙洞4街) 진사동5가(津沙洞5街) 진사동6가(津沙洞6街) 진사동7가(津沙洞7街) |
의주군[편집]
의주군(義州郡)의 면적은 1,677km2이며, 1읍 12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청은 의주읍 향교동에 있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의주읍(義州邑) | 3.82 | 14 | 동부(東部) 향교(鄕校) 남문(南門) 서부(西部) 구성(舊城) 홍서(弘西) 동외(東外) 원화(元化) 홍북(弘北) 홍남(弘南) 청전(靑田) 다지(多智) 서호(西湖) 어적(於赤) |
가산면(加山面) | 124.30 | 6 | 옥강(玉江) 추(楸) 천감(泉甘) 도령(都嶺) 이송(梨松) 방산(方山) |
고관면(古館面) | 151.09 | 16 | 관(館) 춘곡(春谷) 상단(上端) 중단(中端) 노(蘆) 남창(南昌) 용화(龍化) 이화(梨花) 남산(藍山) 중고(中古) 동상(東上) 서하(西下) 상고(上古) 관북(館北) 하단(下端) 동(東) |
고령삭면(古寧朔面) | 270.42 | 10 | 구창(舊倉) 구북(舊北) 서고(西古) 동고(東古) 천마(天摩) 대하(大鰕) 원봉(圓峰) 동암(東巖) 삼봉(三峰) 일녕(一寧) |
고성면(古城面) | 72.44 | 8 | 인하(烟下, 연하) 용산(龍山) 대산(臺山) 가로(加老) 정주(正州) 신도(新島) 인상(烟上, 연상) 용문(龍門) |
광평면(廣坪面) | 133.35 | 6 | 청성(淸城) 상광(上廣) 하광(下廣) 창정(敞汀) 부평(富坪) 판막(板幕) |
비현면(枇峴面, 피현면) | 71.60 | 18 | 체마(替馬) 도봉(道峰) 마산(馬山) 정산(亭山) 노남(蘆南) 노중(蘆中) 노북(蘆北) 영평(永平) 장생(長生) 홍희(弘希) 당후(堂後) 원(院) 광상(廣上) 광중(廣中) 광하(廣下) 구룡(龜龍) 삼대(三臺) 기봉(岐峰) |
송장면(松長面) | 85.29 | 12 | 금광(金光) 송산(松山) 대문(大門) 설매(雪梅) 소수(小水) 연무(燕武) 남산(南山) 사산(社山) 창원(昌元) 운천(雲川) 영달(永達) 강정(江井) |
수진면(水鎭面) | 135.51 | 11 | 운천(雲川) 와룡(臥龍) 덕현(德峴) 미산(美山) 송천(松川) 용문(龍門) 용운(龍雲) 석계(石溪) 수구(水口) 대수(大水) 이화(梨花) |
옥상면(玉尙面) | 266.27 | 11 | 당목(棠木) 삼상(三上) 삼하(三下) 내옥(內玉) 북사(北社) 남사(南社) 하경(下庚) 상경(上庚) 좌(佐) 어중(於中) 어상(於上) |
월화면(月華面) | 137.44 | 15 | 취봉(鷲峰) 회상(檜上) 화하(化下) 화합상(化合上) 화합하(化合下) 우천(牛川) 운천(雲川) 월하(月下) 마룡(馬龍) 마흥(麻興) 정산(亭山) 장무(長武) 회하(檜下) 추(楸) 주음(奏音) |
위원면(威遠面) | 51.26 | 11 | 서하(西下) 동상(東上) 서(西) 상단(上端) 사하(四下) 사상(四上) 정심(正心) 성내(城內) 삼하(三下) 동린(東麟) 구장(九嶂) |
위화면(威化面) | 20.52 | 2 | 하단(下端) 상단(上端) |
용천군[편집]
용천군(龍川郡)은 평안북도 최서단에 있는 군(郡)이다. 또한 군의 최서단인 신도면 동주동 마안도(馬鞍島: 현재는 간척사업으로 신도(薪島)와 이어짐)는 국토 최서단지역이다. 황금평(황초평)은 동주동의 일부이다. 면적 570km2로,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청소재지는 용암포읍 용암동이다.(북한 행정구역상 용천읍과 염주읍은 광복 당시에는 각각 동하면과 외상면이었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용암포읍(龍巖浦邑) | 11 | 용암(龍巖) 운흥(雲興) 신전(新田) 중흥(中興) 석성(石城) 신흥(新興) 진천(辰串) 소의(昭義) 서호(西湖) 소흥(昭興) 덕봉(德峰) | |
동하면(東下面) | 11 | 대산(臺山) 원서(元西) 덕흥(德興) 고령(古寧) 용산(龍山) 법흥(法興) 삼인(三仁) 대인(大仁) 사흥(社興) 학령(鶴嶺) 쌍학(雙鶴) | |
내중면(內中面) | 21 | 동당(東堂) 당북(堂北) 남흥(南興) 사직(社稷) 도봉(道峰) 향봉(香峰) 대성(大成) 연곡(蓮谷) 동흥(東興) 동산(東山) 봉모(鳳毛) 당령(堂嶺) 모고(慕古) 명오(明五) 성곡(盛谷) 수정(壽亭) 동성(東城) 냉정(冷井) 구암(鳩巖) 응산(鷹山) 송산(松山) | |
동상면(東上面) | 13 | 동부(東部) 서부(西部) 성동(城東) 쌍송(雙松) 봉곡(鳳谷) 태흥(泰興) 상북(上北) 대평(臺坪) 입석(立石) 동산(銅山) 건룡(乾龍) 사악(沙岳) 양책(良策) | |
부라면(府羅面) | 14 | 중단(中端) 백송봉(栢松峰) 덕천(德川) 덕암(德巖) 동단(東端) 용승(龍升) 운룡(雲龍) 원성(元城) 서겸(西兼) 남겸(南兼) 북겸(北兼) 삼룡(三龍) 선리(船里) 백현(柏峴) | |
북중면(北中面) | 17 | 북현(北峴) 매장(梅長) 수봉(秀峰) 중성(中城) 서룡(西龍) 쌍성(雙城) 백암(白巖) 가성(加省) 동양(東陽) 진흥(眞興) 추정(楸亭) 하장(下長) 인고(仁古) 원송(元松) 동송(東松) 원봉(元峰) 용주(龍洲) | |
양광면(楊光面) | 13 | 충렬(忠烈) 용유(龍遊) 선화(善和) 용계(龍溪) 용덕(龍德) 학현(鶴峴) 충무(忠武) 미륵(彌勒) 송정(松亭) 현가(絃歌) 산두(山斗) 망양(望洋) 봉덕(鳳德) | |
양서면(楊西面) | 11 | 용연(龍淵) 용봉(龍峰) 견일(見一) 팽량(彭梁) 동상(東上) 신성(新城) 북성(北城) 동평(東坪) 북평(北坪) 서망(西望) 동망(東望) | |
양하면(楊下面) | 13 | 시동(市東) 시서(市西) 시남(市南) 시북(市北) 안심(安心) 오송(五松) 신안(新安) 구송(九松) 수송(秀松) 장송(長松) 신창(新倉) 신서(新西) 입암(立巖) | |
외상면(外上面) | 14 | 정차(停車) 신룡(新龍) 남시(南市) 동석(東石) 서석(西石) 송하(松下) 백하(栢下) 동발(東鉢) 서발(西鉢) 해현(海峴) 학무(鶴舞) 봉황(鳳凰) 학소(鶴巢) 안평(安平) | |
외하면(外下面) | 13 | 율곡(栗谷) 상호(上虎) 중호(中虎) 하호(下虎) 인봉(仁峰) 송흥(松興) 고의(做義) 청룡(靑龍) 순천(順川) 쌍기(雙機) 남기(南機) 남압(南鴨) 반궁(盤弓) | |
신도면(薪島面) | 2 | 동주(東洲) 남주(南洲) |
철산군[편집]
철산군(鐵山郡)은 6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 455.5km2이다. 군청소재지는 철산면 중부동이다. 참면은 북한 행정구역상 동림군의 중심지이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철산면(鐵山面) | 13 | 중부(中部) 동부(東部) 서부(西部) 부영(富永) 동수(東壽) 동천(東川) 용모(龍帽) 송교(松橋) 신학(新鶴) 월봉(月峰) 동평(東平) 영산(令山) 도대(道臺) | |
백량면(柏梁面) | 23 | 근천(根川) 풍천(豊川) 도암(道巖) 명암(明巖) 삼금(三錦) 수부(壽富) 용암(龍巖) 검암(儉巖) 쌍암(雙巖) 동문(東門) 신암(新巖) 내암(內巖) 선암(仙巖) 산대(山垈) 동창(東倉) 장야(長野) 장평(長平) 가도(椵島) 대화(大和) 영(嶺) 자작(自作) 보산(保山) 기봉(起鳳) | |
부서면(扶西面) | 22 | 고암(高巖) 인흥(仁興) 선리(善里) 이복(梨福) 신곶(薪串) 성암(星巖) 학산(鶴山) 인평(仁平) 석산(石山) 장좌(長佐) 부평(富平) 등곶(登串) 장송(長松) 월암(月巖) 어산(於山) 강하(江河) 인송(仁松) 수유(水踰) 학암(鶴巖) 탑현(塔峴) 육성(六星) 오봉(梧峰) | |
서림면(西林面) | 16 | 회당(檜城) 강암(江巖) 천석(川石) 인송(仁松) 내산(內山) 연산(蓮山) 원옥(元玉) 일신(日新) 인수(仁水) 서림(西林) 작현(柞峴) 향봉(香峰) 사송(四松) 화탄(化炭) 광봉(光峰) 다정(多井) | |
여한면(餘閑面) | 16 | 가산(佳山) 원세평(元世平) 동덕(東德) 조양(朝陽) 연수(蓮水) 가봉(加峰) 쌍신(雙新) 추남(秋南) 서봉(西峰) 추암(秋巖) 상석(常石) 덕화(德化) 문봉(文峰) 도덕(道德) 임천(林川) 덕산(德山) | |
참면(站面) | 14 | 동부(東部) 월안(月安) 이응(二鷹) 잠봉(蠶峰) 용당(龍堂) 풍천(豊川) 동천(東川) 장덕(長德) 용산(龍山) 신곡(新谷) 봉현(鳳峴) 서부(西部) 유정(柳亭) 오봉(五峰) |
선천군[편집]
선천군(宣川郡)은 면적 672.88km2에,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제가 패망한 순간에는 1읍 8면으로 되어 있으나,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광복 직후 건국준비위원회의 건국 준비 과정에서 승격된 운종면을 선천군의 행정구역으로 인정하고, 운종면장을 포함하여 임명하고 있다.[2] 군청소재지는 선천읍 창동이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선천읍(宣川邑) | 18.26 | 18 | 창(倉) 일출(日出) 대화(大和) 남산(南山) 황금(黃金) 본(本) 영(榮) 욱(旭) 대목(大睦) 명치(明治) 명륜(明倫) 소화(昭和) 수(壽) 북(北) 금(錦) 유(柳) 동운(東雲) 월천(越川) |
군산면(郡山面) | 62.05 | 8 | 사교(沙橋) 고부(古府) 장공(長公) 봉산(蓬山) 대목(大睦) 연봉(延峰) 진석(眞石) 용(龍) |
남면(南面) 운종면(雲從面) |
82.84 | 8 | 삼봉(三峰) 건산(建山) 석호(石湖) 삼성(三省) 석화(石和) 신미(身彌) 문사(文泗) 동담(東潭) |
동면(東面) | 73.04 | 6 | 노하(路下) 인곡(仁谷) 노상(路上) 송현(松峴) 일봉(日峰) 월영(月影) |
수청면(水淸面) | 43.07 | 5 | 가물남(嘉物南) 고읍(古邑) 안산(雁山) 학현(鶴峴) 목사대(牧使垈) |
신부면(新府面) | 87.28 | 8 | 원(院) 청강(淸江) 대목(大睦) 농건(農建) 안상(安上) 백현(白峴) 산성(山城) 승지(承旨) |
심천면(深川面) | 85.55 | 6 | 고군영(古軍營) 동림(東林) 마성(磨星) 인두(仁豆) 부황(付皇) 월곡(月谷) |
용연면(龍淵面) | 186.81 | 11 | 색담(色淡) 보암(保巖) 용경(龍耕) 향산(香山) 은봉(殷峰) 응봉(鷹峰) 신풍(新豊) 하단(下端) 상단(上端) 인봉(仁峰) 성적(聖蹟) |
태산면(台山面) | 30.62 | 5 | 원봉(圓峰) 인암(仁巖) 길성(吉星) 오성(五星) 칠성(七星) |
정주군[편집]
정주군(定州郡)의 면적은 827.71km2로, 1읍 12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군청소재지는 정주읍 성내동이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정주읍(定州邑) | 16.26 | 4 | 성내(城內) 서주(西州) 성외(城外) 덕산(德山) |
갈산면(葛山面) | 48.44 | 8 | 정양(鼎陽) 익성(益城) 광동(光東) 용흥(龍興) 흥록(興麓) 일해(逸海) 서남(瑞南) 애도(艾島) |
고덕면(古德面) | 48.79 | 6 | 월훈(月暈) 덕원(德元) 관해(觀海) 갈현(葛峴) 일신(日新) 운평(雲坪) |
고안면(高案面) | 193.04 | 12 | 소암(小巖) 안흥(安興) 송정(松亭) 대양(大陽) 연봉(延鳳) 어호(漁湖) 송포(松浦) 탄우(灘隅) 용포(龍浦) 심천(深川) 봉명(鳳鳴) 독장(獨將) |
곽산면(郭山面) | 16.82 | 4 | 염호(鹽湖) 남단(南端) 조산(造山) 석(石) |
관주면(觀舟面) | 4 | 초장(草庄) 근담(近潭) 주학(舟鶴) 관삽(觀揷) | |
남서면(南西面) | 66.34 | 7 | 남양(南陽) 화산(華山) 남호(南湖) 보산(寶山) 상단(上端) 하단(下端) 서호(西湖) |
대전면(大田面) | 32.82 | 6 | 운전(雲田) 운학(雲鶴) 운흥(雲興) 강서(江西) 대흥(大興) 운산(雲山) |
덕언면(德彦面) | 82.28 | 10 | 대성(大成) 원봉(圓峰) 덕성(德星) 육성(六星) 석산(石山) 대산(大山) 신창(新倉) 증봉(甑峰) 방천(防川) 침향(沈香) |
마산면(馬山面) | 64.39 | 7 | 청정(淸亭) 동창(東倉) 원서(院西) 원동(院東) 옥야(玉野) 춘산(春山) 신오(新五) |
안흥면(安興面) | 32.9 | 5 | 안의(安義) 호현(好峴) 암죽(巖竹) 임암(林巖) 삼단(三端) |
옥천면(玉泉面) | 128.23 | 5 | 문인(文仁) 군산(君山) 월옥(月玉) 상단(上端) 당하(堂下) |
임포면(臨浦面) | 64.45 | 8 | 원단(元端) 염호(濂湖) 원포(遠浦) 천태(天台) 장도(獐島) 고성(古盛) 동로(東路) 원하(元下) |
박천군[편집]
박천군(博川郡)의 면적은 528.9km2이며, 1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청소재지는 박천읍 북부동이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박천읍(博川邑) | 91.99 | 17 | 미력(未力) 동부(東部) 서부(西部) 남부(南部) 북부(北部) 남호(南湖) 봉상(鳳上) 봉하(鳳下) 병천(丙川) 송덕(松德) 등산(燈山) 삼안(三安) 추호(楸湖) 남하(南下) 사직(社稷) 원남(元南) 용흥(龍興) |
가산면(嘉山面) | 64.12 | 7 | 동문(東文) 남신(南新) 대성(大成) 봉소(鳳巢) 봉서(鳳西) 신사(新沙) 용탄(龍灘) |
덕안면(德安面) | 38.47 | 12 | 동사(東四) 구룡(九龍) 하칠(下七) 이봉(二峰) 사륙(四六) 남오(南五) 동팔(東八) 망우(望隅) 북일(北一) 유초(柳草) 서공(西公) 가흥(加興) |
동남면(東南面) | 86.21 | 15 | 맹중(孟中) 동남(東南) 서송(西松) 동이(東二) 송봉(松峰) 상강(上講) 대양(大楊) 일원(一院) 당상(堂上) 도남(都南) 진석(眞石) 학등(鶴登) 석화(石花) 동하(東下) 남송(南松) |
서면(西面) | 31.73 | 8 | 송담(松潭) 와현(瓦峴) 성산(聖山) 근장(芹場) 하양(河陽) 용진(龍津) 운포(雲浦) 금계(金鷄) |
양가면(兩嘉面) | 63.31 | 13 | 영미(嶺美) 연지(蓮池) 구정(九井) 연담(蓮潭) 봉산(鳳山) 자하(紫霞) 덕달(德達) 선사(善士) 덕인(德仁) 심태(深台) 서동(瑞東) 어의(於義) 보석(寶石) |
용계면(龍溪面) | 90.58 | 7 | 오룡(五龍) 원산(元山) 하단(下端) 은봉(隱鳳) 삼광(三光) 인봉(仁峰) 고창(古倉) |
청룡면(靑龍面) | 62.57 | 12 | 응봉(鷹峰) 위령(威靈) 노전(蘆田) 운흥(雲興) 봉지(鳳之) 광성(光星) 인덕(仁德) 만수(萬壽) 대화(大化) 장신(長新) 일화(一和) 은룡(隱龍) |
영변군[편집]
영변군(寧邊郡)의 면적은 1,709.1km2이며, 1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청소재지는 영변면 동부동이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영변면(寧邊面) | 7 | 서부(西部) 동부(東部) 동외성(東外城) 남외성(南外城) 서외성(西外城) 용추(龍湫) 용포(龍浦) | |
고성면(古城面) | 8 | 남산(南山) 사오(沙塢) 마전(麻田) 하초(下草) 봉덕(鳳德) 구항(龜項) 신풍(新豊) 상초(上草) | |
남송면(南松面) | 7 | 천수(天水) 사천(沙川) 마상(馬尙) 봉지(鳳至) 불무(佛舞) 입석(立石) 구두(龜頭) | |
남신현면(南薪峴面) | 8 | 도관(都館) 운룡(雲龍) 하장(下長) 상구(上九) 하구(下九) 상장(上長) 귀상(貴祥) 상이(上耳) | |
독산면(獨山面) | 9 | 용흥(龍興) 수우(修隅) 송성(松城) 성흥(聖興) 기성(箕城) 화죽(花竹) 용전(龍田) 남평(南坪) 덕성(德星) | |
백령면(百嶺面) | 8 | 대풍(大豊) 중초(中草) 상초(上草) 용연(龍淵) 하초(下草) 조산(造山) 개화(開華) 우현(牛峴) | |
봉산면(鳳山面) | 8 | 고성(古城) 수유(水踰) 관하(館下) 조양(朝陽) 구산(龜山) 양지(陽地) 망일(望日) 용흥(龍興) | |
북신현면(北薪峴面) | 7 | 노하(蘆下) 화산(華山) 상행(上杏) 상로(上蘆) 가좌(加佐) 용응(龍應) 하행(下杏) | |
소림면(少林面) | 8 | 남등(南燈) 원등(元燈) 상추(上秋) 용추(龍秋) 등산(燈山) 용강(龍江) 각추(角秋) 서위(西位) | |
연산면(延山面) | 8 | 화연(花硯) 대성(大成) 용연(龍淵) 입석(立石) 문봉(文峰) 화천(花川) 신천(新泉) 언무(偃武) | |
오리면(梧里面) | 7 | 문봉(文峯) 봉무(鳳舞) 봉소(鳳巢) 묵시(墨時) 송호(松湖) 송강(松江) 세죽(細竹) | |
용산면(龍山面) | 13 | 구장(球場) 신흥(新興) 요성(耀城) 수구(水口) 용등(龍登) 용암(龍巖) 운봉(雲峯) 용문(龍門) 소민(蘇民) 노(蘆) 봉무(鳳舞) 용연(龍淵) 용현(龍峴) | |
태평면(泰平面) | 6 | 관하(館下) 관상(館上) 관북(館北) 조산(造山) 상서(上西) 하서(下西) | |
팔원면(八院面) | 10 | 천양(天陽) 용산(龍山) 화평(和平) 송현(松峴) 석성(石城) 소장(少長) 용두(龍頭) 용성(龍城) 가덕(加德) 명당(明堂) |
운산군[편집]
운산군(雲山郡)의 면적은 819.67km2이며, 1읍 4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군청소재지는 운산면 읍내동이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운산면(雲山面) | 136.82 | 12 | 읍내(邑內) 송현(松峴) 화옹(化翁) 조양(朝陽) 입석상(立石上) 입석하(立石下) 제인상(諸仁上) 제인하(諸仁下) 계림(桂林) 용흥(龍興) 용포(龍浦) 용연(龍淵) |
북진읍(北鎭邑) | 160.98 | 9 | 진(鎭) 대암(大巖) 교(橋) 삼산(三山) 초리(草里) 월양(月陽) 흥대(興臺) 어자(於自) 월은(月隱) |
동신면(東新面) | 103.38 | 7 | 이(利) 성지(聖旨) 용호(龍湖) 마장(馬場) 이답(泥踏) 가(加) 좌(佐) |
성면(城面) | 183.28 | 9 | 초하(草下) 고성상(古城上) 고성하(古城下) 남산상(南山上) 남산하(南山下) 응봉(鷹峰) 초상(草上) 연봉상(延峰上) 연봉하(延峰下) |
위연면(委延面) | 235.02 | 13 | 답하(畓下) 용두(龍頭) 상원(上院) 답상(畓上) 우상(牛上) 우중(牛中) 우간(牛間) 우하(牛下) 풍하(豊下) 풍중(豊中) 엄상(嚴上) 풍상(豊上) 엄하(嚴下) |
태천군[편집]
태천군(泰川郡)의 면적은 620.09km2이며, 9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군청소재지는 태천면 북부동이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태천면(泰川面) | 7 | 북부(北部) 동부(東部) 서부(西部) 남부(南部) 북안(北安) 왕정(旺井) 남흥(南興) | |
강동면(江東面) | 10 | 용성(龍城) 신봉(新峰) 송남(松南) 송북(松北) 천계(天溪) 덕산(德山) 풍림(豊林) 구성(舊城) 덕화(德化) 약성(若城) | |
강서면(江西面) | 7 | 마장(馬場) 봉천(鳳川) 용봉(龍鳳) 덕림(德林) 덕평(德坪) 상평(上坪) 은창(銀倉) | |
남면(南面) | 10 | 송우(松隅) 학림(鶴林) 선암(仙巖) 신암(新巖) 삼봉(三峯) 은곡(銀谷) 가덕(加德) 부흥(富興) 대흥(大興) 용두(龍頭) | |
동면(東面) | 15 | 학당(鶴塘) 선화(宣化) 고암(古巖) 풍산(豊山) 학봉(鶴峰) 선덕(宣德) 연중(延中) 상단(上丹) 원흥(院興) 연흥(延興) 흥평(興平) 송천(松川) 송현(松峴) 광성(光城) 상풍(上豊) | |
서면(西面) | 10 | 내하(來賀) 월봉(月峯) 관봉(觀鳳) 대흥(垈興) 신송(新松) 청계(淸溪) 덕흥(德興) 덕상(德祥) 운룡(雲龍) 임천 (林泉) | |
서성면(西城面) | 6 | 송귀(松貴) 용상(龍祥) 산성(山城) 강북(江北) 송곡(松谷) 관룡(觀龍) | |
원면(院面) | 7 | 안심(安心) 속흥(俗興) 임광(林光) 덕산(德山) 신흥(新興) 송백(松栢) 원풍(院豊) | |
장림면(長林面) | 10 | 환현(還峴) 환하(還賀) 첩남(帖南) 태흥(泰興) 마평(馬坪) 운석(雲石) 진남(鎭南) 신상(新上) 장흥(長興) 취흥(取興) |
구성군[편집]
구성군(龜城郡)의 면적은 1,241.6km2이며, 10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군청소재지는 구성면 좌부동이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구성면(龜城面) | 10 | 우부(右部) 좌부(左部) 하단(下端) 상단(上端) 이구(犂邱) 고양(高陽) 청룡(靑龍) 백운(白雲) 차유(車踰) 원흥(院興) | |
관서면(館西面) | 8 | 소관(昭關) 신풍(新豊) 북남송(北南松) 서고성(西古城) 대우(大牛) 송림(松林) 어궁(御宮) 조악(造岳) | |
노동면(蘆洞面) | 8 | 중방(中坊) 백석(白石) 내장(內場) 운계(雲溪) 청룡(靑龍) 상승(上勝) 풍산(豊山) 운흥(雲興) | |
동산면(東山面) | 12 | 차복(車福) 용풍(龍豊) 용퇴(龍退) 남산(南山) 선흥(仙興) 양지(陽地) 덕화(德化) 백석(白石) 풍덕(豊德) 부풍(富風) 금곡(金谷) 용덕(龍德) | |
방현면(方峴面) | 7 | 하단(下丹) 창(滄) 와룡(臥龍) 청송(靑松) 발산(鉢山) 변산(辨山) 길하(吉下) | |
사기면(沙器面) | 11 | 향산(香山) 신시(新市) 왕당(旺堂) 구암(九巖) 독송(獨松) 석현(石峴) 송백(松栢) 지경(地境) 인곡(寅谷) 은봉(殷峰) 화암(花巖) | |
서산면(西山面) | 7 | 입석(立石) 염잠(廉岑) 평지(坪地) 옥인(玉仁) 신덕(新德) 대성(大星) 남평(南坪) | |
오봉면(五峰面) | 10 | 양지(陽地) 조양(朝陽) 인봉(仁鳳) 남양(南陽) 선모(仙帽) 내양(內陽) 봉덕(鳳德) 사기(士氣) 용연(龍淵) 엄교(嚴橋) | |
이현면(梨峴面) | 8 | 원창(院倉) 택인(擇仁) 대안(大安) 길상(吉祥) 하단(下丹) 용산(龍山) 진조(眞鳥) 마성(磨星) | |
천마면(天摩面) | 10 | 탑(塔) 대성(大城) 안창(安倉) 송수(松水) 노곡(蘆谷) 동암(東巖) 신음(新音) 연창(延昌) 신두(新頭) 관(館) |
삭주군[편집]
삭주군(朔州郡)의 면적은 1,151.8km2이며, 1읍 7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군청소재지는 삭주면 동부동이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삭주면(朔州面) | 9 | 동부(東部) 서부(西部) 남평(南坪) 온풍(溫豊) 대대(大垈) 광성(廣城) 소덕(蘇德) 용영(龍泳) 금오(金五) | |
청수읍(靑水邑) | 4 | 청수(靑水) 옥토(沃土) 신포(新浦) 노토탄(老土炭) | |
구곡면(九曲面) | 5 | 신안(新安) 연삼(延三) 송정(松亭) 판막(板幕) 인풍(仁豊) | |
남서면(南西面) | 7 | 송평(松坪) 창신(昌新) 주남(州南) 운림(雲林) 명상(明上) 신온(新溫) 오성(五城) | |
수동면(水東面) | 9 | 인풍(仁豊) 신상(新上) 봉현(鳳峴) 용흥(龍興) 안풍(安豊) 용성(龍城) 덕유(德楡) 이풍(梨豊) 양부(兩富) | |
수풍면(水豊面) | 3 | 수풍(水豊) 신풍(新豊) 연포(延浦) | |
양산면(兩山面) | 10 | 원풍(院豊) 용산(龍山) 금풍(金豊) 용창(龍昌) 답풍(畓風) 덕상(德上) 요대(料大) 장하(庄下) 서흥(書興) 장토(庄土) | |
외남면(外南面) | 9 | 대관(大館) 남장(南長) 만석(萬石) 청계(淸溪) 은창(銀倉) 대안(大安) 태평(泰坪) 수룡(水龍) 송남(松南) |
창성군[편집]
창성군(昌城郡)의 면적은 1,322.56km2이며, 5면 36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군청소재지는 창성면 임산동이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창성면(昌城面) | 13 | 옥계(玉溪) 간암(間巖) 중(中) 상(上) 봉천(峰泉) 신평(新坪) 유평(楡坪) 낙성(洛城) 금야(錦野) 임산(琳山) 달산(達山) 인산(仁山) 의산(義山) | |
대창면(大倉面) | 4 | 봉룡(鳳龍) 창서(倉西) 학성(鶴城) 고직(高直) | |
동창면(東倉面) | 4 | 대유(大楡) 이천(梨川) 두룡(頭龍) 대(大) | |
신창면(新倉面) | 5 | 화풍(和豊) 연풍(鉛豊) 회덕(檜德) 완풍(完豊) 신안(新安) | |
청산면(靑山面) | 10 | 학송(鶴松) 용두(龍頭) 상수양(上水陽) 봉명(鳳鳴) 학봉(鶴峰) 양덕(陽德) 용전(龍田) 금성(錦城) 청룡(靑龍) 율곡(栗谷) |
벽동군[편집]
벽동군(碧潼郡)은 평안북도 중부에 위치한 군이다. 면적은 1,217.14km2이며, 7면 46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군청소재지는 벽동면 이동이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벽동면(碧潼面) | 205.17 | 10 | 일(一) 이(二) 상평(上平) 하평(下平) 평내(平內) 평외(平外) 동상(東上) 동하(東下) 상서(上西) 하서(下西) |
가별면(加別面) | 224.32 | 5 | 별하(別下) 별상(別上) 가상(加上) 가중(加中) 가하(加下) |
권회면(鸛會面) | 231.52 | 6 | 권하(鸛下) 사상(社上) 사하(社下) 권상(鸛上) 회하(會下) 회상(會上) |
성남면(城南面) | 172.64 | 6 | 남상(南上) 성상(城上) 성중(城中) 성하(城下) 남중(南中) 남하(南下) |
송서면(松西面) | 163.3 | 7 | 송일(松一) 송이(松二) 송삼(松三) 송사(松四) 이서(二西) 연수(連水) 남(南) |
오북면(吾北面) | 96.39 | 4 | 북하(北下) 북상(北上) 오상(吾上) 오하(吾下) |
우시면(雩時面) | 123.8 | 8 | 우하(雩下) 우상(雩上) 우중(雩中) 시상(時上) 시하(時下) 성남(城南) 성북(城北) 발은(發銀) |
초산군[편집]
초산군(楚山郡)의 면적은 2,327.63km2이며, 9면 6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군청소재지는 초산면 성동동이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초산면(楚山面) | 14 | 성서(城西) 성동(城東) 운해천(雲海川) 앙토(央土) 평강(坪江) 사기덕(沙器德) 와인(瓦仁) 수침(水砧) 직(直) 모단(慕段) 연무(蓮舞) 용암(龍巖) 안찬(安贊) 삼상(三上) | |
강면(江面) | 5 | 동도(東島) 석상(石桑) 신풍(新豊) 풍덕(豊德) 용성(龍星) | |
고면(古面) | 7 | 부평(富坪) 월악(月岳) 영풍(永豊) 문덕(文德) 소수(小水) 대수(大水) 구아(舊衙) | |
남면(南面) | 8 | 구평(龜坪) 창평(倉坪) 신막(新幕) 충상(忠上) 송묘(松廟) 부평(富坪) 충하(忠下) 용상(龍上) | |
도원면(桃源面) | 4 | 관대(館垈) 동창(東倉) 회목(檜木) 희창(熙倉) | |
동면(東面) | 6 | 구룡(龜龍) 양덕(陽德) 신장송(新場松) 화신(花薪) 건양(建陽) 화풍(化豊) | |
송면(松面) | 8 | 양강(兩江) 송수(松水) 송파(松坡) 송평(松坪) 송정(松亭) 송성(松城) 차령(車嶺) 원대(元垈) | |
판면(板面) | 5 | 판평(板坪) 판막(板幕) 판하(板下) 삼거(三巨) 부숭(富崇) | |
풍면(豊面) | 5 | 용암(龍巖) 용흥(龍興) 용당(龍塘) 용연(龍淵) 용곡(龍谷) |
위원군[편집]
위원군(渭原郡)은 평안북도 중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면적 1,234km2에 7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청소재지는 위원면 구읍동이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위원면(渭原面) | 197.41 | 12 | 구읍(舊邑) 성내(城內) 고성(古城) 덕암(德巖) 만호(萬戶) 송진(松榛) 남파(南坡) 월평(越坪) 송상(松上) 도봉(刀峰) 낙민(樂民) 상소(上所) |
대덕면(大德面) | 201.88 | 6 | 독산(獨山) 어곡(漁谷) 광천(廣川) 도원(桃源) 독상(獨上) 축포(杻浦) |
봉산면(鳳山面) | 88.2 | 5 | 고보(古堡) 향양(向陽) 호안(湖安) 개곡(開谷) 용봉(龍鳳) |
서태면(西泰面) | 115.16 | 6 | 용문(龍門) 인덕(仁德) 이산(梨山) 신천(新川) 송계(松溪) 봉풍(蓬豊) |
숭정면(崇正面) | 333.07 | 7 | 용연(龍淵) 삼기(三機) 신명(新明) 백림(栢林) 삼락(三樂) 지산(只山) 부흥(復興) |
위송면(渭松面) | 142.31 | 7 | 용탄(龍灘) 학암(鶴巖) 마평(麻坪) 갑령(甲嶺) 석포(石浦) 신풍(新豊) 개원(開元) |
화창면(和昌面) | 155.76 | 7 | 대안(大安) 월현(月峴) 대야(大野) 합천(合川) 양강(兩江) 신흥(新興) 문명(文明) |
희천군[편집]
해당 항목 참조.
강계군[편집]
해당 항목 참조.
자성군[편집]
자성군(慈城郡)은 평안북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6면 30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806km2이며, 군청소재지는 자성면 읍내동이다.
- 굵은 글씨로 된 동 이름은 면사무소 소재지이다.
읍면 | 면적(km2) | 동 숫자 | 동(洞) |
---|---|---|---|
자성면(慈城面) | 4 | 읍내(邑內) 상평(常坪) 화전(花田) 호례(浩禮) | |
삼풍면(三豊面) | 6 | 인풍(仁豊) 영풍(永豊) 신풍(新豊) 신흥(新興) 조아(照牙) 운봉(雲峰) | |
이평면(梨坪面) | 4 | 진송(榛松) 이평(梨坪) 평상(坪上) 회중(檜中) | |
자하면(慈下面) | 4 | 법(法) 서해(西海) 송암(松巖) 연풍(延豊) | |
장토면(長土面) | 6 | 토성(土城) 호상(湖上) 호하(湖下) 호서(湖西) 장성(長城) 벌(伐) | |
중강면(中江面) | 6 | 중평(中坪) 상장(上長) 중덕(中德) 중상(中上) 건하(乾下) 만흥(晩興) |
후창군[편집]
후창군은 면적 2,428.17km2에 5개 면 18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청소재지는 후창면 군내리이다. 북한 정권에 의해 김형직군으로 개칭되었다.
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
후창면(厚昌面) | 508.47 | 5 | 군내(郡內) 회(檜) 금창(金昌) 부흥(富興) 장흥(章興) |
남신면(南新面) | 463.97 | 4 | 유화(裕和) 가산(佳山) 부흥(富興) 만흥(晩興) |
동신면(東新面) | 257.2 | 3 | 포삼(葡三) 두지(杜芝) 무창(茂昌) |
동흥면(東興面) | 824.49 | 3 | 고읍(古邑) 나죽(羅竹) 쌍남(雙南) |
칠평면(七坪面) | 374.04 | 3 | 중흥(中興) 대흥(大興) 소북(小北) |
도지사[편집]
현직 第 15代 도지사는 양종광(梁宗光)이다.
각주[편집]
- ↑ 조선중앙통계국,2008년 인구 조사 Archived 2010년 3월 31일 - 웨이백 머신,2009년.
- ↑ 이북5도위원회 - 평안북도 선천군 기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