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

좌표: 북위 37° 52′ 동경 126° 48′ / 북위 37.867° 동경 126.800°
파주시청 | ||
![]() 파주시(坡州市,Paju)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672.78 km2 | |
세대 | 200,270 가구 (2020[1]) | |
총인구 | 465,617 명 (2020[2]) | |
인구밀도 | 692 명/km2 | |
읍 | 4개 | |
면 | 9개 | |
행정동 | 7개 | |
법정동 | 22개 | |
시장 | 최종환(더불어민주당) | |
국회의원 | 갑: 윤후덕(더불어민주당) 을: 박정(더불어민주당) | |
시청 | ||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시청로 50 | |
홈페이지 | http://www.paju.go.kr/ | |
상징 | ||
시목 | 은행나무 | |
시화 | 코스모스 | |
시조 | 비둘기 |

파주시(坡州市, 영어: Paju)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서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다. 서북쪽으로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특별시 및 장풍군과 접한다. 휴전 협정이 조인된 판문점이 있으며, 통일로·자유로 등의 도로가 있다. 남서쪽으로는 한강을 경계로 김포시가 있고, 남쪽으로는 고양시, 동쪽으로는 양주시, 동북쪽으로는 연천군과 경계를 이룬다. 한국 전쟁 이후 의정부시, 양주시와 함께, 경기도 최전방의 군사도시로, 수도권 북부 지역의 군사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1996년 3월 파주군에서 도농복합시 형태의 파주시로 승격하여 금촌읍이 분동되었다. 2003년부터 시작된 운정신도시 개발로 시의 남부 지역의 모습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2009년 7월 1일에 기존 경의선 선로를 활용한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었고 용산선 직결 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변경되었다. 2020년 3월 28일에는 임진강역 - 문산역 셔틀 전철이 추가됐다.
행정구역은 4읍 9면 7동이다.
역사[편집]
파주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증보문헌비고'라는 책에서 언급되는데, 원래 고조선 땅이었다가 삼한 시대에는 마한에 속했고 초기엔 백제의 땅이었으나, 475년 고구려가 파주의 영토를 흡수함으로써 파주는 고구려의 땅이 되었다. 그 뒤 신라 진흥왕이 파주를 차지 하였다.
1170년 정중부의 난이 반란을 일으킨 곳이 바로 옛 장단군 지역이다. 파주라는 이름은 1459년 세조에 의해 목으로 승격되면서 제정되었는데, 파주라는 지명은 파주의 옛 지명 파해평사의 파(坡)와 고을이라는 뜻의 주(州)자를 합하여 이루어졌다.[3][4]
- 475년 고구려 장수왕 63년 때 : 술이홀현(述爾忽縣)
- 고려 명종 때 : 서원현(瑞原縣)
- 1393년(조선 태조 2년) : 서원군(瑞原郡)으로 승격
- 1398년(태조 7년) : 파평현(坡平縣)을 병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라고 함.
- 1459년(세조 5년) : 파주목으로 승격[5]
- 1895년(고종 32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한성부 파주군[6]
- 1896년(건양 원년) 8월 4일 : 경기도 파주군[7]
- 1914년 4월 1일 : 교하군이 파주군에 편입되었다.[8](11면)
- 1934년 4월 1일 : 와석면(瓦石面), 청석면(靑石面)을 교하면으로 합면하였다.[9] (10면)
- 1945년 11월 4일 38선 이남의 연천군을 파주군에 편입하였다.[10] (12면)
- 1946년 2월 5일 남면을 양주군에 편입하였다. (11면)
- 1972년 12월 28일 : 장단군 장단면, 진동면, 진서면을 편입하고, 구 군내면을 면으로 복구하였다.[11] (15면)
- 1973년 7월 1일 : 아동면(衙洞面)을 금촌읍으로 승격하고, 임진면 일원과 월롱면 내포리를 합하여 문산읍으로 승격하였다.[12] 적성면 장파리가 파평면에 편입되었다.[13](2읍 13면)
- 1979년 5월 1일 : 군내면에 군내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80년 12월 1일 : 주내면을 주내읍으로 승격하였다.[14] (3읍 12면)
- 1983년 2월 15일 : 양주군 백석면 영장리·기산리를 파주군 광탄면에 편입하여 영장출장소를 설치하였고, 파평면 이천리를 문산읍으로 편입하고, 주내읍을 파주읍으로 개칭하였다.[15]
- 1987년 1월 1일 : 광탄면 기산리 일부를 양주군 백석면에 편입하였다.
- 1989년 4월 1일 : 천현면을 법원읍으로 승격하였다. 교하면 상지석리가 조리면에 편입되었다. (4읍 11면)
- 1996년 3월 1일 : 파주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파주시가 설치되었고, 금촌읍을 폐지하고, 금촌1동·금촌2동을 설치하였다.[16] (3읍 11면 2행정동)
- 2002년 4월 1일 : 교하면과 조리면을 교하읍과 조리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 (5읍 9면 2행정동)
- 2003년 교하읍 일대에 파주 운정신도시가 착공되었다.
- 2011년 5월 1일 : 군내출장소를 장단출장소로 개칭하였다.[17]
- 2011년 7월 25일 : 금촌1동을 금촌1·3동으로 분동, 교하읍을 폐지하고 교하동·운정1·2·3동 설치(4읍 9면 7행정동)
지리[편집]
경기도의 중앙에서 약간 북서에 위치하고 북경에는 임진강, 서경에는 한강이 흐르며 지질은 석회암지대로 되어 있어서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여 있다. 광주산맥과 그 지맥의 반은 대체로 저평하고, 특히 임진강 하류와 한강 연안은 기름진 평야가 펼쳐져 농경지가 넓다.[18]
기후[편집]
도내에서 보기 드문 온화한 지역으로 4계의 격변이 적다. 연평균 기온은 11.8℃ , 1월 평균 -4 ℃, 8월 평균 24.777℃ , 연평균 강수량 1,290mm이다.[19]
파주의 기후 도표 | |||||||||||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7.8
3
-9
|
20
6
-5
|
5.1
13
-1
|
19
20
6
|
71
24
10
|
59
27
18
|
165
30
21
|
120
29
20
|
64
26
15
|
57
21
7
|
44
13
0
|
13
1
-11
|
기온 단위: 섭씨(℃) / 강수량 단위: 밀리미터(mm) 출처: [20] |
행정 구역[편집]
파주시의 행정 구역은 4읍 9면 7동 380통리로 구성되어 있고, 면적은 672.78 km²이다.[21] 2016년 12월 31일 파주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430,781명, 175,089가구이다.[22]
읍 · 면 · 동 | 한자 | 면적 | 인구 | 세대 |
---|---|---|---|---|
문산읍 | 文山邑 | 47.23 | 50,553 | 21,161 |
조리읍 | 條里邑 | 27.42 | 31,341 | 12,466 |
파주읍 | 坡州邑 | 32.26 | 13,548 | 7,067 |
법원읍 | 法院邑 | 71.30 | 12,014 | 5,600 |
탄현면 | 炭縣面 | 61.72 | 13,953 | 6,835 |
광탄면 | 廣灘面 | 65.51 | 12,432 | 5,899 |
월롱면 | 月籠面 | 27.14 | 12,265 | 9,276 |
파평면 | 坡平面 | 41.85 | 4,102 | 2,000 |
적성면 | 積城面 | 88.88 | 7,968 | 3,560 |
군내면 | 郡內面 | 43.23 | 626 | 228 |
장단면 | 長湍面 | 33.96 | 0 | 0 |
진동면 | 津東面 | 43.16 | 172 | 73 |
진서면 | 津西面 | 9.16 | 0 | 0 |
금촌1동 | 金村1洞 | 4.52 | 23,443 | 11,493 |
금촌2동 | 金村2洞 | 2.72 | 35,930 | 13,022 |
금촌3동 | 金村3洞 | 17.01 | 29,031 | 11,173 |
교하동 | 交河洞 | 36.88 | 42,703 | 15,991 |
운정1동 | 雲井1洞 | 9.69 | 44,510 | 15,557 |
운정2동 | 雲井2洞 | 3.23 | 38,033 | 13,005 |
운정3동 | 雲井3洞 | 5.91 | 58,157 | 20,683 |
파주시 | 坡州市 | 672.78 | 430,781 | 175,089 |
파주시 인구추이[23]
연도 | 총인구 | |
---|---|---|
1960년 | 146,995명 | ![]() ![]() ![]() ![]() ![]() |
1966년 | 194,441명 | ![]() ![]() |
1970년 | 188,212명 | ![]() ![]() ![]() |
1975년 | 166,080명 | ![]() ![]() ![]() |
1980년 | 165,098명 | ![]() ![]() |
1985년 | 164,804명 | ![]() ![]() ![]() |
1990년 | 185,028명 | ![]() ![]() ![]() ![]() |
1995년 | 163,379명 | ![]() ![]() |
2000년 | 178,434명 | ![]() ![]() ![]() |
2005년 | 242,241명 | ![]() ![]() ![]() ![]() ![]() |
2010년 | 328,128명 | ![]() ![]() ![]() ![]() ![]() |
2015년 | 422,037명 | ![]() ![]() |
산업[편집]
산업별 종사자 현황[편집]
2014년 파주시 총 종사자수는 154,813 으로 경기도 총 종사자 수의 3.5%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 (1차 산업)은 177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69,585명으로 44.9%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 (3차 산업)은 85,051명으로 54.9%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 (27.1%)보다 높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비중(72.9%)보다 낮다. 3차 산업 부분에서는 도소매업(11.5%), 숙박 및 음식점업(8.2%)과, 교육서비스업(6.0%), 운수업(6,0%)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4]
사업소 및 출장소[편집]
- 환경수도사업단
- 차량등록사업소
- 도로관리사업소
- 공원관리사업소
- 관광사업소
- 장단출장소
역대 시장[편집]

대수 | 군수 | 임기 | 비고 |
---|---|---|---|
초대 | 강해승(姜海昇) | 1945년 8월 10일 ~ 1945년 10월 2일 | 경기도 파주군수 |
2대 | 오명근(吳明根) | 1945년 10월 2일 ~ 1946년 9월 18일[25] | |
3대 | 정계열 | 1946년 9월 19일[25] ~ 1947년 2월 28일 | |
4대 | 오명근 | 1947년 3월 1일 ~ 1948년 2월 14일 | |
5대 | 민태정 | 1948년 2월 15일 ~ 1948년 7월 4일 | |
6대 | 김건열 | 1948년 7월 5일 ~ 1949년 3월 9일 | |
7대 | 이동환 | 1949년 3월 10일 ~ 1950년 5월 11일 | |
8대 | 이석구 | 1950년 5월 12일 ~ 1953년 1월 14일 | |
9대 | 이종상 | 1953년 1월 15일 ~ 1954년 3월 14일 | |
10대 | 이의종 | 1954년 3월 15일 ~ 1956년 7월 18일 | |
11대 | 박유진 | 1956년 7월 19일 ~ 1960년 5월 22일 | |
12대 | 홍순항 | 1960년 5월 23일 ~ 1961년 11월 4일 | |
13대 | 이재덕 | 1961년 11월 5일 ~ 1962년 11월 1일 | |
14대 | 조남인 | 1962년 11월 2일 ~ 1963년 11월 21일 | |
15대 | 손수익 | 1963년 11월 22일 ~ 1964년 11월 30일 | |
16대 | 안제징 | 1964년 12월 1일 ~ 1966년 3월 18일 | |
17대 | 남상집 | 1966년 3월 19일 ~ 1967년 12월 9일 | |
18대 | 윤석범 | 1967년 12월 10일 ~ 1968년 9월 25일 | |
19대 | 윤기영 | 1968년 9월 26일 ~ 1970년 3월 2일 | |
20대 | 윤자순 | 1970년 3월 3일 ~ 1970년 8월 18일 | |
21대 | 박상필 | 1970년 8월 19일 ~ 1971년 8월 20일 | |
22대 | 우광선 | 1971년 8월 21일 ~ 1975년 9월 2일 | |
23대 | 강도희 | 1975년 9월 3일 ~ 1978년 8월 1일 | |
24대 | 민충근 | 1978년 8월 2일 ~ 1980년 4월 3일 | |
25대 | 권귀태 | 1980년 4월 4일 ~ 1981년 7월 5일 | |
26대 | 이승철 | 1981년 7월 6일 ~ 1982년 9월 17일 | |
27대 | 박계민 | 1982년 9월 18일 ~ 1983년 12월 26일 | |
28대 | 한인석 | 1983년 12월 27일 ~ 1986년 4월 6일 | |
29대 | 송은복 | 1986년 4월 7일 ~ 1986년 6월 24일 | |
30대 | 신중대 | 1986년 6월 25일 ~ 1987년 9월 1일 | |
31대 | 이동우 | 1987년 9월 2일 ~ 1988년 6월 1일 | |
32대 | 송달용 | 1988년 6월 2일 ~ 1988년 12월 3일 | |
33대 | 이찬영 | 1988년 12월 4일 ~ 1991년 7월 1일 | |
34대 | 홍종대 | 1991년 7월 2일 ~ 1993년 3월 2일 | |
35대 | 이무광 | 1993년 3월 3일 ~ 1994년 3월 2일 | |
36대 | 유희두 | 1994년 3월 3일 ~ 1994년 12월 31일 | |
37대 | 권두현 | 1995년 1월 1일 ~ 1995년 6월 30일 | |
38대 | 송달용 | 1995년 7월 1일 ~ 1996년 2월 29일 | 민선1기 |
대수 | 시장 | 임기 | 비고 |
---|---|---|---|
39대 | 송달용 | 1996년 3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경기도 파주시장 |
40대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민선2기 | |
41대 | 이준원 | 2002년 7월 1일 ~ 2004년 6월 4일 | 민선3기 |
권한대행 | 이우형 | 2004년 6월 5일 ~ 2004년 10월 31일 | |
42대 | 류화선 | 2004년 11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43대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민선4기 | |
44대 | 이인재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선5기 |
45대 | 이재홍 | 2014년 7월 1일 ~ 2017년 12월 12일 | 민선6기 |
권한대행 | 김준태 | 2017년 12월 13일 ~ 2018년 6월 12일 | |
46대 | 최종환 | 2018년 7월 1일 ~ 현재 | 민선7기 |
문화·관광[편집]
- 파주 삼릉
- 황보인 선생묘
- 감악산 산림공원
- 율곡 관광지
- 황희 관광지
- 허준 선생 묘
- 파주 용미리 석불입상 (보물 제93호)
- 교하 김씨, 파평 윤씨 묘역
- 술이홀 통일박물관
- 두루뫼 박물관
- 영집궁시 박물관
- 판문점
- 제3땅굴
- 도라전망대
- 통일동산
- 심학산 산림공원
- 금강산랜드
- 공릉 유원지
- 하니랜드
- 보광사
- 유일레저타운
- 파주출판도시
- 운정호수공원
- 경의선 임진강역, 도라산역
- 장단면 독수리월동지
교육[편집]
파주시는 고등학교 비평준화 지역으로, 고등학교 간에 서열이 존재한다.
|
|
- 특수학교
시립도서관[편집]
교통[편집]
철도[편집]
버스[편집]
- 시내버스 : 파주시의 시내버스, 파주시의 마을버스
- 시외버스 :
문산시외버스터미널,금촌역시외버스정류장, 운정역시외버스정류장
도로[편집]
- 고속도로
- 국도
-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 지방도 : 지방도 제357호선 (제2자유로), 지방도 제359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지방도 제363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지방도 제367호선, 지방도 제371호선, 지방도 제372호선
- 주요 도로
자매 우호도시 현황[편집]
대한민국[편집]
기타 국가[편집]
출신 인물[편집]

기타[편집]
파주시는 말라리아 위험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파주 주민들은 성분 헌혈 외의 헌혈에는 참여할 수 없다.[28]
자유의 마을로 알려진 대성동이, 행정 구역 상으로는 파주시 군내면 조산리에 위치되어 있다.
스포츠[편집]
야구[편집]
리그명 | 구단명 | 창단연도 | 홈경기장 |
---|---|---|---|
코리아 드림 리그 | 파주 챌린저스 | 2017년 | 익사이팅 챌린저스 파크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https://www.paju.go.kr/www/intropaju/intropaju_06/intropaju_06_06/intropaju_06_06_01.jsp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64722&cid=43740&categoryId=44178
-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파주의 연혁〉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1896년 8월 4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경기도령 제4호
- ↑ 군정법률 제22호 시도직제 (1945년 11월 3일)
- ↑ 법률 제2395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72년 12월 28일)
- ↑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 ↑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제정.
- ↑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년 10월 21일)
- ↑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 ↑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년 12월 6일)
- ↑ 파주시 조례 제939호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2011년 4월 15일)
-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파주의 자연〉
-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기후〉
- ↑ [1]. 대한민국 기상청.
- ↑ 행정구역 현황 파주시 홈페이지, 2017년 3월 26일 확인.
- ↑ 주민등록 인구통계 Archived 2011년 3월 3일 - 웨이백 머신 행정자치부, 2017년 3월 26일 확인.
-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 ↑ 경기도 사업체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 가 나 "京畿道辭令 九月一日부", 공업신문 1946년 09월 19일자, 1면 10단
- ↑ https://www.paju.go.kr/www/intropaju/intropaju_04/intropaju_04_01/intropaju_04_01_01.jsp
- ↑ https://www.paju.go.kr/www/intropaju/intropaju_04/intropaju_04_02/intropaju_04_02_01.jsp
- ↑ https://www.bloodinfo.net/donating_promotion_intro.do?action=list&introno=4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파주시청 (공식)
- 파주시의회
- 파주교육지원청
- 파주시립도서관(5개 도서관 통합 사이트)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특별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장풍군 |
경기도 연천군 | ![]() |
![]() |
경기도 양주시 | |||
![]() ![]() | ||||
![]() | ||||
경기도 김포시 | 경기도 고양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