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장시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08년 6월) |
약자: 黑C | |
![]() 베이산 공원에서 본 무단장시 풍경 | |
![]() | |
행정 단위 | 지급시 |
---|---|
청사소재지 | 둥안 구 |
면적 | 40,435km² |
인구 (2007년) 인구밀도 |
2,700,000 67/km² |
지역전화 | 453 |
우편번호 | 157000 |
시차 | UTC+8 |
웹사이트: www.mudanjiang.gov.cn |
무단장 시(모단강시, 모란강시, 목단강시, 중국어: 牡丹江市, 병음: Mǔ‧danjiāng)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정부직속의 한 지급시로, 중국 국경 무역도시이고, 북방의 저명한 여행도시이다.
개요[편집]
무단장 시는 헤이룽장 성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고, 또한 헤이룽장 성 동부의 가장 큰 도시로 정치, 문화, 교통, 과학기술, 경제의 중심 지역이다. 총면적은 4.06만km2, 인구는 280만 명이고, 그중 시가지역의 인구는 82만 명이다. 시의 인민정부는 강남신구에 주재하고 있다.
지리[편집]
헤이룽장성의 동남부의 지린성 경계지구에 위치하며 러시아와 인접하여 경내의 쑤이펀허 시와 둥닝 현은 중국과 러시아가 진행하고 있는 무역의 중요 항구이다.
동쪽은 러시아 연방 연해주 지방과 접하며, 남쪽은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와 접한다. 북부는 헤이룽장성 지시 시 (鶏西市), 서부는 성도인 하얼빈 시와 접한다.
쑹화 강(松花江)의 가장 큰 지류인 무단 강(牡丹江)은 시가지를 가로로 걸치고 있기 때문에 이름을 떨칠 수 있었다.
기후[편집]
냉대 동계 소우 기후로 겨울은 매우 춥고 최저 기온이 영하 30도에 이르는 날도 적지 않다. 연평균 기온은 3.9도이다.
Mudanjiang (1971−2000)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 최고 기온 °C (°F) | −10.5 (13.1) |
−5.4 (22.3) |
3.2 (37.8) |
13.7 (56.7) |
20.9 (69.6) |
25.1 (77.2) |
27.9 (82.2) |
26.6 (79.9) |
21.0 (69.8) |
12.6 (54.7) |
1.1 (34.0) |
−8 (18) |
10.7 (51.2) |
평균 최저 기온 °C (°F) | −22.6 (−8.7) |
−18.4 (−1.1) |
−9 (16) |
0.4 (32.7) |
7.3 (45.1) |
13.6 (56.5) |
17.6 (63.7) |
16.5 (61.7) |
8.7 (47.7) |
0.0 (32.0) |
−9.7 (14.5) |
−18.8 (−1.8) |
−1.2 (29.8)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4.7 (0.19) |
5.5 (0.22) |
10.5 (0.41) |
25.6 (1.01) |
53.8 (2.12) |
90.6 (3.57) |
121.4 (4.78) |
108.9 (4.29) |
59.7 (2.35) |
35.2 (1.39) |
13.2 (0.52) |
7.9 (0.31) |
537.0 (21.14)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5.0 | 5.5 | 6.5 | 8.5 | 12.9 | 15.9 | 14.8 | 13.9 | 11.0 | 8.5 | 6.8 | 5.8 | 115.1 |
평균 상대 습도 (%) | 69 | 64 | 55 | 53 | 56 | 69 | 75 | 77 | 73 | 65 | 65 | 70 | 66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62.4 | 180.2 | 228.4 | 218.2 | 237.3 | 221.1 | 215.8 | 208.3 | 206.6 | 195.6 | 156.8 | 136.8 | 2,367.5 |
가능 일조율 | 57 | 62 | 62 | 54 | 52 | 48 | 46 | 48 | 55 | 58 | 55 | 50 | 53 |
출처: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1] |
역사[편집]
고대 발해의 영역으로 닝안 시 보하이 진에는 발해의 수도 상경용천부의 유적이 남아 있고, 시역 전체에 많은 발해 무덤이 발굴되고있다. 또한 닝안 시의 구시가지(구칭 : 영고탑)에 청나라 초에 영고탑 장군이 두어져, 청의 만주 지배의 거점이 되었다.
무단장은 만주에서 무단우라(穆丹烏拉, '구불구불한 강')로 불리며 무단장(牡丹江)으로 표기되었다.
무단장의 도시로의 역사는 짧아 약 70년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일대는 무단 강 연안 습지대이자 원주민의 삼림 지대로 인가가 없는 황무지였다. 러시아가 둥칭 철도를 부설할 때 (구) 무단장 역이 설치되었고 청나라의 붕괴와 함께 많은 중국인이나 조선인이 이주하여 농업 등을 시작했다.
만주 사변 이후 만주국이 탄생하면서, 만주 동부의 광산자원과 산림자원 개발 및 연해주, 소련에 대한 장래의 군사 작전을 위해 많은 철도가 부설되었다.
1934년 투먼과 닝안을 잇는 투닝 선(図寧線)의 전 노선이 개통하면서 닝베이 역 부근에는 수천 명의 일본인과 조선인들이 정착했고, 역 주변에 바둑판 모양의 도시 계획이 이루어졌다. 1937년 12월, 무단장 성이 분리되면서, 닝베이 역 부근의 도시는 그 성도인 무단장 시가 되었다. 무단장 시는 동만주의 거점으로서 관동군이 기지를 두고 일본의 다양한 회사가 목재, 화학 식품 등의 공장이 진출해 공업 도시로서 인구가 급증했다. 한편, 산지는 중국인이나 조선인이 항일 부대의 거점을 두고 활동하고 있었다.
무단장은 1945년 8월에 소련이 점령했다가 이후 중국 공산당군이 점령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무단장 성의 일부였다가 헤이룽장 성 관할로 재편되었다. 무단장 시는 둥베이 최고의 공업 도시로 많은 공장과 이민자들이 모여 들었다.
인구와 민족[편집]
무단장 시의 총인구는 280만 명(2006년)인데, 그중 대부분의 인구 및 후대 모두 1930년대부터 1960년대에서 온 것으로, 촹관둥(중국어 간체자: 闯关东, 병음: Chuǎngguāndōng)[2]시기의 산둥성과 허베이성의 민중 및 그 후대이다. 1930년대 전의 원주민은 거의 만주족이었다. 현재 도시에는 38개의 소수민족이 있고, 그 인구는 24만 명에 도달하며, 시 전체 총인구의 8.7%를 차지하고 있다. 그중 조선족 시민이 다수를 차지하는데, 대부분 시안 구에 분포해 있고, 또한 “조선 민족 풍정가”등 한민족의 색채가 강한 시설도 건설하였다.
경제[편집]
무단장 시의 경제수입은 주로 관광업과 경공업에서 오는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국경무역 분야가 확장되어 새로운 경제 증장 점을 이룩하였고, 경제대외무역 헤이룽장 성의 모든 무역 중 75%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러시아와 무역하는 최대의 무역도시가 되었다.
교통[편집]
민항[편집]
- 무단장 하이랑 공항(牡丹江海浪机场)
철도[편집]
행정구역[편집]
무단장 시는 4개의 시할구, 5개의 시, 1개의 현으로 구성되어있다.
시할구[편집]
- 아이민 구(중국어 간체자: 爱民区, 정체자: 愛民區 애민구[*])
- 둥안 구(중국어 간체자: 东安区, 정체자: 東安區 동안구[*])
- 양밍 구(중국어 간체자: 阳明区, 정체자: 陽明區 양명구[*])
- 시안 구(중국어 간체자: 西安区, 정체자: 西安區 서안구[*])
현급시[편집]
- 쑤이펀허 시(중국어 간체자: 绥芬河市, 정체자: 綏芬河市 수분하시[*])
- 닝안 시(중국어 간체자: 宁安市, 정체자: 寧安市 영안시[*])
- 하이린 시(중국어: 海林市 해림시[*])
- 무링 시(중국어 간체자: 穆棱市 목릉시t=穆稜市[*])
- 둥닝 시(중국어 간체자: 东宁市, 정체자: 東寧市 동녕현[*])
현[편집]
자매 도시[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年) (중국어).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3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20일에 확인함.
- ↑ '타향에서 근근이 생계(生計)를 이어 가다.'라는 뜻 본래는 산둥(山東)·허베이(河北) 일대의 사람이 관동(關東) 땅으로 생계를 위해 떠난다는 뜻으로, 정처없이 떠돌아다니며 살아감을 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