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인천광역시)
| |||
인천광역시 동구청 청사 입구 | |||
동구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7.19 km2 | ||
세대 | 27,618 가구(2022년 12월[1]) | ||
총인구 | 58,999 명(2022년 12월[1]) | ||
인구밀도 | 8,206 명/km2 | ||
행정동 | 11개 | ||
법정동 | 7개 | ||
구청장 | 김찬진(국민의힘) | ||
국회의원 | 허종식(더불어민주당, 동구·미추홀구 갑) | ||
구청 | |||
소재지 | 인천광역시 동구 금곡로 67(송림동 109-2) | ||
웹사이트 | http://www.icdonggu.go.kr/ | ||
상징 | |||
구목 | 소나무 | ||
구화 | 철쭉 | ||
구조 | 갈매기 |
동구(東區)는 인천광역시의 구이다. 동구는 1883년 인천항 개항 때부터 중구와 함께 도심을 이룬 인천광역시의 원도심으로, 인천광역시의 10개 기초자치단체 중 면적이 가장 작고 자치구 중에서 인구가 가장 적다.
역사[편집]
- 백제 시대: 미추홀(동국여지승람의 백제건국 건설에 의함)로 칭함
- 475년: 매소홀현(고구려 남부)
- 신라 경덕왕: 소성현으로 개칭
- 1018년: 수주로 개칭(고려 현종 9년)
- 1096년: 경원군으로 승격(고려 숙종)
- 1123년: 인주로 개칭(고려 인종)
- 1390년: 경원부로 승격(고려 공양왕)
조선 시대[편집]
- 1392년(조선 태조 원년): 인주로 환원
- 1413년(조선 태종 13년): 인천군으로 개편
- 1460년(조선 세조 6년): 인천도호부로 승격
- 1883년(조선 고종 20년): 한미수호통상조약(고종19년 화진지에서 체결)에 의거 인천항 개항
- 1910년(대한제국 융희 4년): 인천부 설치
일제 강점기[편집]
해방 후[편집]
- 1947년 4월 1일: 주안지청 설치(→ 후에 주안출장소로 개칭)
- 1949년 8월 15일: 인천시로 개칭[4]
- 1956년 11월 23일: 중부,북부,동부,남부출장소 신설[5]
- 1962년 화수동을 화수1~3동으로, 송현동을 송현1~4동으로 분동하였다.
- 1963년 1월 1일: 작약도 병합(부천군 관할)[6]
인천 동구 출범 후[편집]
- 1968년 1월 1일: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경기도 인천시 동구를 설치하였다.[7]
- 1968년 7월 1일: 송림3동을 송림3동서부동, 송림3동동부동으로, 화수1~3동과 송현4동을 송현4동, 화수1·3동, 화수2동으로 분동하였다.
- 1970년 7월 1일: 송림1·2동을 송림1동, 송림2동으로, 송림4동을 송림4동, 궁현동(弓峴洞)으로 분동하였다.
- 1973년 7월 1일: 월미도가 중구에 편입되었다.[8]
- 1977년 5월 10일: 송림3동서부동을 송림3동으로, 송림3동동부동을 송림5동으로, 궁현동, 화수1·3동을 각각 화수1동, 송림6동으로 개칭하고, 송현4동을 화수2동에 편입하여 폐지하였다.
- 1981년 7월 1일: 인천직할시 동구로 개칭하였다.
- 1985년 9월 19일: 금곡동, 창영동을 금창동으로 합동하였다.
- 1988년 5월 1일: 자치구제가 실시되어 자치구로 승격하였다.
- 1995년 1월 1일: 인천광역시 동구로 개칭하였다.
- 1998년 10월 27일: 화수1동,화평동을 화수1·화평동, 송현1동,송현2동을 송현1·2동으로 합동하였다.
- 1999년 10월 27일: 송림3동,송림5동을 송림3·5동으로 합동하였다.
행정 구역[편집]
인천 동구의 행정 구역은 11행정동 204통 980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천 동구의 면적은 7.19 km2(시 전체의 0.69%)이며, 인구는 2022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5만8,999명, 2만7,618가구이다.[1]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만석동 | 萬石洞 | 1.15 | 6,701 | 3,175 |
화수1.화평동 | 花水1.花平洞 | 0.30 | 5,794 | 2,817 |
화수2동 | 花水2洞 | 0.61 | 7,421 | 3,729 |
송현1.2동 | 松峴1.2洞 | 0.34 | 10,096 | 4,393 |
송현3동 | 松峴3洞 | 2.21 | 3,287 | 1,808 |
송림1동 | 松林1洞 | 0.19 | 3,350 | 1,485 |
송림2동 | 松林2洞 | 0.29 | 2,175 | 1,307 |
송림3.5동 | 松林3.5洞 | 0.55 | 5,801 | 2,573 |
송림4동 | 松林4洞 | 0.79 | 6,091 | 2,537 |
송림6동 | 松林6洞 | 0.56 | 5,902 | 2,497 |
금창동 | 金昌洞 | 0.29 | 2,381 | 1,297 |
동구 | 東區 | 7.19 | 58,999 | 27,618 |
인구[편집]
연도 | 총인구 | ; |
---|---|---|
1985년 | 146,290명 | |
1990년 | 124,163명 | |
1995년 | 100,114명 | |
2000년 | 72,792명 | |
2005년 | 74,285명 | |
2010년 | 72,794명 | |
2015년 | 71,054명 |
구청[편집]
- 현재 인천 동구청은 인천광역시 동구 송림동에 있다.
교육 기관[편집]
박물관[편집]
산업[편집]
교통[편집]
철도[편집]
도로[편집]
- 국도
- 기타 도로
사건·사고[편집]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관내의 중심부인 송현동 삼두1차아파트 구간을 통과하여 이 일대를 중심으로 균열 문제가 계속되면서, 송현동 삼두1차아파트 주민들이 인천시 등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일본어/영어/중국어) 인천 동구청 (공식)
![]() |
인천광역시 서구 | ![]() | ||
황해 | ![]()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
![]() ![]() | ||||
![]() |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천광역시 중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