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 청양군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479.67 km2 | |
세대 | 16,147 가구 (2017.12) | |
총인구 | 33,426 명 (2017.12) | |
인구밀도 | 70 명/km2 | |
읍 | 1개 | |
면 | 9개 | |
군수 | 김돈곤(더불어민주당) | |
국회의원 | 정진석(자유한국당)(공주시·부여군·청양군) | |
군청 | ||
소재지 | 청양읍 문화예술로 222 (송방리 100) | |
홈페이지 | 청양군청 | |
상징 | ||
군목 | 느티나무 | |
군화 | 철쭉 | |
군조 | 원앙 | |
상징동물 | 푸르미와 발그미 |
청양군(靑陽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앙에 있는 군이다. 동쪽으로 공주시, 서쪽으로 보령시, 홍성군, 남쪽으로 부여군, 북쪽으로는 예산군과 접한다. 서천공주고속도로가 지나고, 칠갑산 도립공원이 있다. 농특산물로는 구기자와 청양고추가 유명하다. 군청은 청양읍에 있고, 행정구역은 1읍 9면이다.
목차
역사[편집]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청양군 북상면(北上面), 북하면(北下面) 운곡면 일원 동상면(東上面), 동하면(東下面) 대치면 일원 서상면(西上面), 서하면(西下面) 비봉면 일원 남상면(南上面) 읍내면 일부 남하면(南下面) 사양면(斜陽面) 일원 홍주군 상전면(上田面) 여구향면(興口香面) 화성면 일부 정산군 읍면(邑面), 잉면(仍面), 대면(大面) 정산면 일원 목면(木面) 목면 일원 청면(靑面), 장면(場面) 청장면(靑場面) 일원 적면(赤面), 관면(冠面) 적곡면(赤谷面) 일원
- 1917년 10월 1일 읍내면(邑內面)을 청양면(靑陽面)으로 개칭하였다.[2]
- 1942년 10월 1일 청장면이 청남면으로 개칭되었다.
- 1973년 7월 1일 비봉면의 청수리, 학당리가 청양면에 편입되었다.
- 1979년 5월 1일 청양면이 청양읍으로 승격하였다.[3]
- 1987년 1월 1일 적곡면이 장평면으로, 사양면이 남양면으로 개칭되었다.
지리[편집]
충청남도의 정 중앙에 자리잡고 있으며, 동쪽으로 공주시, 서쪽으로 보령시, 홍성군, 남쪽으로 부여군, 북쪽으로는 예산군과 접한다. 비교적 산지가 많으며, 칠갑산이 유명하다.
산업[편집]
지역내 총생산[편집]
청양군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1조9133억원으로 충청남도 지역내 총생산의 0.7%을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2206억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1억005억원으로 52.53%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6877억원으로 35.94%의 비중을 차지한다.3차산업 부문에서는 특히 사업서비스업(2.12%)과 공공행정(7.06%), 건설업(6.67%)과 도소매업(1.86%)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4]
상주인구와 주간인구[편집]
청양군의 2017년 12월 기준 상주인구는 33,426명이고 주간인구는 30,700명 주간인구지수가 105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972명, 유출인구는 542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320명, 유출인구는 297명으로 전체 유입인구가 1,453명 더 많은데, 이는 충청남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5]
행정 구역[편집]
청양군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의 하위 행정구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군청은 청양읍에 있다. 면적은 479.30km2이며, 인구는 2015년을 기준으로 충청남도내에서 가장 적은 32,191명으로, 인구의 32.2%가 청양읍에 거주하고 있다. 1966년에는 105,354명이 청양군에 살고 있었다.[6]
|
|
문화·관광[편집]
- 칠갑산 : 청양의 관광자원으로는 칠갑산이 손꼽힌다. 칠갑산 도립공원으로 지정되고, 경치가 좋아 등산하기에도 좋으며, 장곡사, 장승공원, 칠갑산자연휴양림 등 가볼 만한 곳이 많다.
- 장곡사 : 신라시대에 지어졌다는 절로, 국보 2점, 보물 4점 등 귀중한 문화재가 많은 명찰이다.
-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국보 제 58호)
- 장곡사 미륵불괘불탱(국보 제 300호)
- 칠갑산천문대 : 국내 최대급 구경의 304mm 굴절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교육[편집]
대학교[편집]
교통[편집]
- 시외버스[7] : 청양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대전, 보령(대천), 부여, 아산(온양), 천안, 홍성, 서산, 태안, 광천, 서울(강남), 동서울, 남서울, 인천으로 향하는 시외버스에, 예산, 광천, 홍성, 보령으로 향하는 시내버스에 탑승할 수 있다. 정산정류소에서는 대전, 보령(대천), 아산(온양), 서울(강남)로 향하는 시외버스에 탑승할 수 있다.
- 기차 : 청양군청에서 열차예매를 할 수 있다.
- 칠갑산순환버스 : https://web.archive.org/web/20140719234826/http://tour.cheongyang.go.kr/html/kr/tour/tour_050204.html
- 서천공주고속도로
- 국도 제29호선
- 국도 제36호선
- 국도 제39호선
- 지방도 제606호선
- 지방도 제610호선
- 지방도 제619호선
- 지방도 제645호선
- 지방도 제723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출신인물[편집]
- 정종환 - 15대 국토해양부장관
- 이장우 - 전 16대 대전광역시 동구청장, 전 19대 국회의원
- 이해찬 - 대한민국 제36대 총리, 현 20대 국회의원
- 홍석천
- 이완구 - 전 15·16대 국회의원, 제35대 충청남도지사, 전 19대 국회의원
역대 군수[편집]
대수 | 군수 | 임기 | 비고 |
---|---|---|---|
36 ~ 37대 | 정원영 | 1995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민선 1•2기 |
38 ~ 39대 | 김시환 | 2002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민선 3•4기 |
40 ~ 41대 | 이석화 | 2010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민선 5•6기 |
42대 ~ | 김돈곤 | 2018년 7월 1일 ~ | 민선 7기 |
자매 도시[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청양군청 (공식)
![]() |
충청남도 예산군 | ![]() | ||
충청남도 홍성군 | ![]() |
충청남도 공주시 | ||
![]() ![]() | ||||
![]() | ||||
충청남도 보령시 | 충청남도 부여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