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는 1960년 7월 29일 시행된 대한민국 최초의 양원제 국회의원 선거이다. 민의원(하원)은 1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택해 13개 선거구에서 실시되었다. 참의원(상원)은 대선거구제와 제한 연기명 투표방식을 택해 1선거구에서 4인을 선출하였다. 선거인 646,631명(부재자선거인수 : 31,748명)인 이번 선거에 민의원선거는 562,470명(부재자투표수: 24,468명)이 투표를 하여 87.0%의 투표율을, 참의원선거는 566,536명이 투표를 하여 87.61%의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선거구[편집]
민의원[편집]
선거구 | 선거구역 |
---|---|
제1선거구 | 청주시 일원 |
제2선거구 | 충주시 일원 |
제3선거구 | 청원군 사주면 낭성면 미원면 가덕면 남일면 남이면 문의면 현도면 부용면 |
제4선거구 | 청원군 강서면 강내면 강외면 옥산면 오창면 북이면 북일면 |
제5선거구 | 보은군 일원 |
제6선거구 | 옥천군 일원 |
제7선거구 | 영동군 일원 |
제8선거구 | 진천군 일원 |
제9선거구 | 괴산군 일원 |
제10선거구 | 음성군 일원 |
제11선거구 | 중원군 일원 |
제12선거구 | 제천군 일원 |
제13선거구 | 단양군 일원 |
참의원[편집]
선거구 | 선거구역 |
---|---|
충청북도 | 충청북도 일원 |
후보자별 득표[편집]
민의원[편집]
제1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북 제1선거구에서 민주당 이민우 후보가 2,806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김춘성 | 사회대중당 | 5,652표 |
|
||||
2 | 이민우 | 민주당 | 12,695표 |
|
![]() | |||
3 | 최병길 | 무소속 | 9,889표 |
|
||||
4 | 최순용 | 무소속 | 2,218표 |
|
||||
5 | 홍원길 | 무소속 | 2,207표 |
|
||||
6 | 김상순 | 무소속 | 639표 |
|
||||
계 | 33,300표 | 투표율_??.?% | ||||||
선거구_충북 제1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3,300표 | 무효투표수_???표 |
제2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북 제2선거구에서 민주당 김기철 후보가 2,360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김기철 | 민주당 | 14,196표 |
|
![]() | |||
2 | 정운근 | 무소속 | 11,836표 |
|
||||
계 | 26,032표 | 투표율_??.?% | ||||||
선거구_충북 제2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26,032표 | 무효투표수_???표 |
제3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북 제3선거구에서 민주당 신정호 후보가 6,686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이관우 | 무소속 | 3,774표 |
|
||||
2 | 박승완 | 무소속 | 8,951표 |
|
||||
3 | 오병숙 | 무소속 | 6,969표 |
|
||||
4 | 한상대 | 무소속 | 4,829표 |
|
||||
5 | 임봉학 | 무소속 | 1,984표 |
|
||||
6 | 신정호 | 민주당 | 15,637표 |
|
![]() | |||
7 | 오문식 | 무소속 | - | - | 사퇴 | |||
계 | 42,144표 | 투표율_??.?% | ||||||
선거구_충북 제3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42,144표 | 무효투표수_???표 |
제4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북 제4선거구에서 민주당 김창수 후보가 1,551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민종식 | 무소속 | 4,655표 |
|
||||
2 | 이형복 | 무소속 | 7,505표 |
|
||||
3 | 이흥세 | 무소속 | 7,377표 |
|
||||
4 | 김창수 | 민주당 | 9,056표 |
|
![]() | |||
5 | 김병수 | 무소속 | 7,415표 |
|
||||
6 | 박노식 | 무소속 | 5,670표 |
|
||||
7 | 윤두병 | 무소속 | 1,771표 |
|
||||
계 | 43,449표 | 투표율_??.?% | ||||||
선거구_충북 제4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43,449표 | 무효투표수_???표 |
제5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북 제5선거구에서 민주당 박기종 후보가 12,201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김선우 | 자유당 | 6,767표 |
|
||||
2 | 박기종 | 민주당 | 19,963표 |
|
![]() | |||
3 | 김주일 | 무소속 | 5,155표 |
|
||||
4 | 조만제 | 무소속 | 7,762표 |
|
||||
계 | 39,647표 | 투표율_??.?% | ||||||
선거구_충북 제5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9,647표 | 무효투표수_???표 |
제6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북 제6선거구에서 민주당 신각휴 후보가 6,730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이용희 | 무소속 | 7,702표 |
|
||||
2 | 조용구 | 자유당 | 5,733표 |
|
||||
3 | 홍종한 | 민주당 | 5,365표 |
|
||||
4 | 장용호 | 무소속 | 3,288표 |
|
||||
5 | 강병익 | 한국사회당 | 847표 |
|
||||
6 | 김범성 | 사회대중당 | 1,637표 |
|
||||
7 | 신각휴 | 민주당 | 14,432표 |
|
![]() | |||
계 | 39,004표 | 투표율_??.?% | ||||||
선거구_충북 제6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9,004표 | 무효투표수_???표 |
제7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북 제7선거구에서 민주당 민장식 후보가 3,109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여운복 | 사회대중당 | 3,493표 |
|
||||
2 | 김기형 | 무소속 | 9,877표 |
|
||||
3 | 이진홍 | 무소속 | 3,885표 |
|
||||
4 | 박용하 | 무소속 | 7,561표 |
|
||||
5 | 민장식 | 민주당 | 12,986표 |
|
![]() | |||
6 | 홍기철 | 무소속 | 2,618표 |
|
||||
7 | 손영주 | 무소속 | 4,655표 |
|
||||
계 | 45,075표 | 투표율_??.?% | ||||||
선거구_충북 제7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45,075표 | 무효투표수_???표 |
제8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북 제8선거구에서 민주당 이충환 후보가 2,358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이충환 | 민주당 | 17,783표 |
|
![]() | |||
2 | 정운갑 | 무소속 | 15,425표 |
|
||||
계 | 33,208표 | 투표율_??.?% | ||||||
선거구_충북 제8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3,208표 | 무효투표수_???표 |
제9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북 제9선거구에서 무소속 안동준 후보가 13,088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안동준 | 무소속 | 23,332표 |
|
![]() | |||
2 | 심상렬 | 무소속 | 2,200표 |
|
||||
3 | 이화종 | 무소속 | 2,846표 |
|
||||
4 | 김기탁 | 무소속 | 10,013표 |
|
||||
5 | 김사만 | 민주당 | 0표 |
|
||||
6 | 김원태 | 무소속 | 10,244표 |
|
||||
계 | 48,635표 | 투표율_??.?% | ||||||
선거구_충북 제9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48,635표 | 무효투표수_???표 |
제10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북 제10선거구에서 무소속 이정석 후보가 676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고용식 | 무소속 | 1,719표 |
|
||||
2 | 신창균 | 사회대중당 | 1,952표 |
|
||||
3 | 신이철 | 무소속 | 6,218표 |
|
||||
4 | 심석홍 | 무소속 | 5,706표 |
|
||||
5 | 정석헌 | 무소속 | 6,305표 |
|
||||
6 | 이정석 | 무소속 | 6,981표 |
|
![]() | |||
7 | 정인승 | 무소속 | 1,239표 |
|
||||
8 | 김홍관 | 자유법조단 | 2,529표 |
|
||||
9 | 오병호 | 무소속 | 677표 |
|
||||
10 | 구철회 | 민주당 | 4,663표 |
|
||||
11 | 권영중 | 무소속 | 1,264표 |
|
||||
12 | 남영우 | 무소속 | 3,932표 |
|
||||
13 | 이학림 | 무소속 | 2,863표 |
|
||||
계 | 46,048표 | 투표율_??.?% | ||||||
선거구_충북 제10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46,048표 | 무효투표수_???표 |
제11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북 제11선거구에서 무소속 정상희 후보가 136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최용희 | 무소속 | 2,689표 |
|
||||
2 | 정상희 | 무소속 | 12,369표 |
|
![]() | |||
3 | 현원덕 | 무소속 | 4,805표 |
|
||||
4 | 홍성태 | 무소속 | 2,285표 |
|
||||
5 | 민영수 | 민주당 | 12,233표 |
|
||||
6 | 이희승 | 무소속 | 10,330표 |
|
||||
7 | 홍규선 | 무소속 | 3,760표 |
|
||||
계 | 48,471표 | 투표율_??.?% | ||||||
선거구_충북 제11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48,471표 | 무효투표수_???표 |
제12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북 제12선거구에서 민주당 이태용 후보가 25,183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이태용 | 민주당 | 31,100표 |
|
![]() | |||
2 | 류홍렬 | 무소속 | 5,917표 |
|
||||
3 | 김경 | 무소속 | 4,192표 |
|
||||
4 | 유건목 | 무소속 | 1,710표 |
|
||||
5 | 이태수 | 자유법조단 | 5,251표 |
|
||||
계 | 48,170표 | 투표율_??.?% | ||||||
선거구_충북 제12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48,170표 | 무효투표수_???표 |
제13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북 제13선거구에서 헌정동지회 조종호 후보가 4,822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오기창 | 무소속 | 3,924표 |
|
||||
2 | 배동학 | 민주당 | 3,438표 |
|
||||
3 | 정운동 | 무소속 | 1,790표 |
|
||||
4 | 장영근 | 무소속 | 2,959표 |
|
||||
5 | 권태근 | 사회대중당 | 403표 |
|
||||
6 | 지덕구 | 무소속 | 1,452표 |
|
||||
7 | 조종호 | 헌정동지회 | 8,746표 |
|
![]() | |||
8 | 경태호 | 무소속 | 3,407표 |
|
||||
9 | 김화경 | 한국사회당 | 1,551표 |
|
||||
계 | 27,670표 | 투표율_??.?% | ||||||
선거구_충북 제13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27,670표 | 무효투표수_???표 |
참의원[편집]
충청북도는 당선자가 4명인 선거구입니다.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박기운 | 민주당 | 113,859표 |
|
![]() | |||
2 | 김진악 | 무소속 | 77,908표 |
|
||||
3 | 조대연 | 민주당 | 75,937표 |
|
||||
4 | 이광 | 무소속 | 70,427표 |
|
||||
5 | 박찬희 | 민주당 | 106,783표 |
|
![]() | |||
6 | 이명구 | 국민회 | 45,052표 |
|
||||
7 | 연정희 | 무소속 | 61,148표 |
|
||||
8 | 권희준 | 무소속 | 37,254표 |
|
||||
9 | 성득환 | 무소속 | 55,849표 |
|
||||
10 | 최동선 | 무소속 | 30,490표 |
|
||||
11 | 송필만 | 민주당 | 109,725표 |
|
![]() | |||
12 | 오범수 | 자유당 | 105,346표 |
|
![]() | |||
계 | 566,536표 | 투표율_ 87.61% | ||||||
강원도 | 선거인수_646,631명 | 기권수_80,095명 | 유효투표수_547,885표 | 무효투표수_18,651표 |
- 헌법 부칙에 따라 제1부과 제2부로 당선자를 균분하였다.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선거된 참의원의원은 각선거구마다 그 득표수의 순차에 따라 제1부와 제2부로 균분하고 제1부의 의원의 임기는 6년, 제2부의 의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한다. 득표수가 같은때에는 연령순에 의한다.
당선자 명부[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선거통계[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같이 보기[편집]
참고자료[편집]
< | ![]() |
의원명부 | 선거구별 | 정당별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