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는 1963년 11월 26일 시행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이다. 1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택해 총 11개의 선거구에서 치러진 이번 선거는 선거인 1,146,772명 중 837,663명이 투표를 하여 73.05%의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선거구[편집]
선거구명 | 선거구 | 선거구역 |
---|---|---|
제1지역구 | 전주시 | 전주시 일원 |
제2지역구 | 군산시·옥구군 | 군산시·옥구군 일원 |
제3지역구 | 이리시·익산군 | 이리시·익산군 일원 |
제4지역구 | 완주군 | 완주군 일원 |
제5지역구 | 진안군·장수군·무주군 | 진안군·장수군·무주군 일원 |
제6지역구 | 임실군·순창군 | 임실군·순창군 일원 |
제7지역구 | 남원군 | 남원군 일원 |
제8지역구 | 정읍군 | 정읍군 일원 |
제9지역구 | 고창군 | 고창군 일원 |
제10지역구 | 부안군 | 부안군 일원 |
제11지역구 | 김제군 | 김제군 일원 |
후보자별 득표[편집]
제1지역구[편집]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1지역구에서 민정당 유청 후보가 5,982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김영석 | 자유당 | 935표 |
|
||||
3 | 이주상 | 자유민주당 | 6,952표 |
|
||||
4 | 이우상 | 신흥당 | 1,305표 |
|
||||
6 | 김영곤 | 국민의당 | 3,865표 |
|
||||
7 | 신동길 | 보수당 | 768표 |
|
||||
8 | 정규헌 | 민주당 | 5,644표 |
|
||||
9 | 유청 | 민정당 | 22,924표 |
|
![]() | |||
10 | 강민석 | 정민회 | 1,512표 |
|
||||
12 | 이동욱 | 민주공화당 | 16,942표 |
|
||||
계 | 60,847표 | 투표율_68.22% | ||||||
선거구_제1지역구 | 선거인수_94,812명 | 기권수_30,133명 | 투표수_64,679표 | 무효투표수_3,832표 |
제2지역구[편집]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2지역구에서 민정당 고형곤 후보가 303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3 | 이원석 | 자유민주당 | 1,499표 |
|
||||
6 | 김봉욱 | 국민의당 | 7,149표 |
|
||||
7 | 박동근 | 보수당 | 1,779표 |
|
||||
8 | 김판술 | 민주당 | 17,366표 |
|
||||
9 | 고형곤 | 민정당 | 21,024표 |
|
![]() | |||
12 | 김용택 | 민주공화당 | 20,721표 |
|
||||
계 | 69,538표 | 투표율_69.62% | ||||||
선거구_제2지역구 | 선거인수_114,156명 | 기권수_34,683명 | 투표수_79,473표 | 무효투표수_9,935표 |
제3지역구[편집]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3지역구에서 민주공화당 김성철 후보가 13,381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강내규 | 자유당 | 2,389표 |
|
||||
3 | 성범용 | 자유민주당 | 11,131표 |
|
||||
8 | 윤택중 | 민주당 | 17,919표 |
|
||||
9 | 조규완 | 민정당 | 14,509표 |
|
||||
10 | 조성준 | 정민회 | 3,104표 |
|
||||
12 | 김성철 | 민주공화당 | 31,300표 |
|
![]() | |||
계 | 80,352표 | 투표율_68.85% | ||||||
선거구_제3지역구 | 선거인수_132,742명 | 기권수_41,355명 | 투표수_91,387표 | 무효투표수_11,035표 |
제4지역구[편집]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4지역구에서 민주공화당 최영두 후보가 12,224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3 | 소중영 | 자유민주당 | 9,535표 |
|
||||
6 | 이석조 | 국민의당 | 4,535표 |
|
||||
8 | 배성기 | 민주당 | 9,673표 |
|
||||
9 | 황호면 | 민정당 | 6,147표 |
|
||||
12 | 최영두 | 민주공화당 | 21,897표 |
|
![]() | |||
계 | 51,787표 | 투표율_74.4% | ||||||
선거구_제4지역구 | 선거인수_85,602명 | 기권수_21,915명 | 투표수_63,687표 | 무효투표수_11,900표 |
제5지역구[편집]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5지역구에서 민주공화당 전휴상 후보가 20,522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2 | 김진원 | 신민회 | 11,610표 |
|
||||
7 | 김봉두 | 보수당 | 2,316표 |
|
||||
8 | 최성석 | 민주당 | 10,076표 |
|
||||
9 | 오치황 | 민정당 | 11,551표 |
|
||||
10 | 이옥동 | 정민회 | 9,952표 |
|
||||
12 | 전휴상 | 민주공화당 | 32,132표 |
|
![]() | |||
계 | 77,637표 | 투표율_80.7% | ||||||
선거구_제5지역구 | 선거인수_116,395명 | 기권수_22,461명 | 투표수_93,934표 | 무효투표수_16,297표 |
제6지역구[편집]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6지역구에서 민주공화당 한상준 후보가 8,330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3 | 김기동 | 자유민주당 | 3,232표 |
|
||||
6 | 박두성 | 국민의당 | 1,715표 |
|
||||
8 | 홍영기 | 민주당 | 16,932표 |
|
||||
9 | 엄병학 | 민정당 | 17,402표 |
|
||||
10 | 김판산 | 정민회 | 2,980표 |
|
||||
11 | 오환묵 | 추풍회 | - | - | 사퇴 | |||
12 | 한상준 | 민주공화당 | 25,732표 |
|
![]() | |||
계 | 67,993표 | 투표율_79.11% | ||||||
선거구_제6지역구 | 선거인수_103,866명 | 기권수_21,696명 | 투표수_82,170표 | 무효투표수_14,177표 |
제7지역구[편집]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7지역구에서 민주공화당 유광현 후보가 6,767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2 | 유종환 | 신민회 | 1,451표 |
|
||||
3 | 양춘근 | 자유민주당 | 5,067표 |
|
||||
6 | 인균섭 | 국민의당 | 9,374표 |
|
||||
7 | 주광준 | 보수당 | 1,986표 |
|
||||
8 | 양해준 | 민주당 | 11,735표 |
|
||||
9 | 정선수 | 민정당 | 9,176표 |
|
||||
11 | 송중현 | 추풍회 | 687표 |
|
||||
12 | 유광현 | 민주공화당 | 18,502표 |
|
![]() | |||
계 | 57,978표 | 투표율_76.62% | ||||||
선거구_제7지역구 | 선거인수_87,018명 | 기권수_20,348명 | 투표수_66,670표 | 무효투표수_8,692표 |
제8지역구[편집]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8지역구에서 민정당 나용균 후보가 1,135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3 | 송상섭 | 자유민주당 | 15,205표 |
|
||||
6 | 전공우 | 국민의당 | 3,264표 |
|
||||
8 | 김상술 | 민주당 | 14,515표 |
|
||||
9 | 나용균 | 민정당 | 20,876표 |
|
![]() | |||
12 | 김성환 | 민주공화당 | 19,741표 |
|
||||
계 | 73,601표 | 투표율_68.38% | ||||||
선거구_제8지역구 | 선거인수_127,103명 | 기권수_40,196명 | 투표수_86,907표 | 무효투표수_13,306표 |
제9지역구[편집]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9지역구에서 민정당 김상흠 후보가 149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3 | 김수학 | 자유민주당 | 3,241표 |
|
||||
4 | 손명섭 | 신흥당 | 1,524표 |
|
||||
6 | 이형연 | 국민의당 | 9,382표 |
|
||||
7 | 진두은 | 보수당 | 2,181표 |
|
||||
8 | 강택수 | 민주당 | 7,357표 |
|
||||
9 | 김상흠 | 민정당 | 16,680표 |
|
![]() | |||
11 | 안판동 | 추풍회 | 1,361표 |
|
||||
12 | 성정기 | 민주공화당 | 16,531표 |
|
||||
계 | 58,257표 | 투표율_73.46% | ||||||
선거구_제9지역구 | 선거인수_89,827명 | 기권수_23,840명 | 투표수_65,987표 | 무효투표수_7,730표 |
제10지역구[편집]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10지역구에서 민주공화당 이병옥 후보가 31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7 | 박용기 | 보수당 | 7,000표 |
|
||||
8 | 김완규 | 민주당 | 6,184표 |
|
||||
9 | 김용대 | 민정당 | 15,275표 |
|
||||
10 | 임균석 | 정민회 | 1,631표 |
|
||||
11 | 조기승 | 추풍회 | 1,510표 |
|
||||
12 | 이병옥 | 민주공화당 | 15,306표 |
|
![]() | |||
계 | 46,906표 | 투표율_72.13% | ||||||
선거구_제10지역구 | 선거인수_76,667명 | 기권수_21,367명 | 투표수_55,300표 | 무효투표수_8,394표 |
제11지역구[편집]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11지역구에서 민주공화당 장경순 후보가 27,850표차로 당선됨. | ||||||||
![]()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7 | 곽탁 | 보수당 | 898표 |
|
||||
9 | 조한백 | 민정당 | 20,945표 |
|
||||
10 | 장이규 | 정민회 | 2,737표 |
|
||||
12 | 장경순 | 민주공화당 | 48,795표 |
|
![]() | |||
계 | 73,375표 | 투표율_73.76% | ||||||
선거구_제11지역구 | 선거인수_118,584명 | 기권수_31,115명 | 투표수_87,469표 | 무효투표수_14,094표 |
당선자 명부[편집]
전라북도 | 선거구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표차 | ||
---|---|---|---|---|---|---|---|---|---|
제1(전주시) | 7 | 유청 | 민정당 | 22,924표 |
|
5,982표 | |||
제2(군산시.옥구군) | 5 | 고형곤 | 민정당 | 21,024표 |
|
303표 | |||
제3(이리시.익산군) | 6 | 김성철 | 민주공화당 | 31,300표 |
|
13,381표 | |||
제4(완주군) | 5 | 최영두 | 민주공화당 | 21,897표 |
|
12,224표 | |||
제5(진안군.장수군.무주군) | 6 | 전휴상 | 민주공화당 | 32,132표 |
|
20,522표 | |||
제6(임실군.순창군) | 7 | 한상준 | 민주공화당 | 25,732표 |
|
8,330표 | |||
제7(남원군) | 8 | 유광현 | 민주공화당 | 18,502표 |
|
6,767표 | |||
제8(정읍군) | 4 | 나용균 | 민주당 | 20,876표 |
|
1,135표 | |||
제9(고창군) | 6 | 김상흠 | 민정당 | 16,680표 |
|
149표 | |||
제10(부안군) | 6 | 이병옥 | 민주공화당 | 15,306표 |
|
31표 | |||
제11(김제군) | 4 | 장경순 | 민주공화당 | 48,795표 |
|
27,850표 | |||
선거인수 | 1,146,772명 | 총투표자수 | 837,663명 | 투표율 |
|
선거통계[편집]
- 최고령 당선자 : 53세 (1906년생), 고형곤(민정당), 제2(군산시.옥구군)
- 최연소 당선자 : 25세 (1934년생), 전휴상(민주공화당), 제5(진안군.장수군.무주군)
- 최다득표 당선자 : 48,795표, 장경순(민주공화당), 제11(김제군)
- 최소득표 당선자 : 15,306표, 이병옥(민주공화당), 제10(부안군)
- 최다득표차 당선자 : 27,850표, 장경순(민주공화당) ,제11(김제군)
- 최소득표차 당선자 : 31표, 이병옥(민주공화당) ,제10(부안군)
- 최다득표율 당선자 : 66.50%, 장경순(민주공화당), 제11(김제군)
- 최소득표율 당선자 : 28.40%, 나용균(민주당), 제8(정읍군)
같이 보기[편집]
참고자료[편집]
- 국회의원선거법 [일부개정 1963.8.6 법률 제1383호]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대국회의원선거상황 제1대-제11대》, 1989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 | ![]() |
의원명부 | 선거구별 | 정당별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