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구 을
서초구 을 | |
---|---|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 |
현 선거구 | |
신설연도 | 1988년 |
국회의원 | 박성중 (국민의힘) |
의원 수 | 1인 |
이전 선거구 | 강남구 |
중복되는 선거구 |
서울 서초구 을은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일부 지역을 관할한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국민의힘의 박성중(재선, 2016년~)이다.
역사[편집]
선거구[편집]
1988년 제13대 총선부터 신설되었다. 1988년 1월 1일 강남구의 일부를 분리 독립시키면서 서초구를 설치하였기에, 그 이전에는 강남구 지역구에 속하였다.
신설 당시 서초1동, 서초2동, 방배2동, 방배3동, 도곡동, 양재동, 내곡동이 서초구 을로 묶였으며, 나머지 지역인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방배본동, 방배1동은 서초구 갑이 되었다. 이듬해 1989년 도곡동이 강남구로 재편입됨에 따라 해당 지역은 강남구 갑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로는 큰 변화 없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관할 구역[편집]
대수 | 관할 구역 |
---|---|
13대 | 서초구 서초1동, 서초2동, 방배2동, 방배3동, 도곡동, 양재동, 내곡동 |
14대 | 서초구 서초1동, 서초2동, 서초3동, 서초4동, 방배2동, 방배3동, 양재동, 내곡동 |
15대 ~ 현재 | 서초구 서초1동, 서초2동, 서초3동, 서초4동, 방배2동, 방배3동, 양재1동, 양재2동, 내곡동 |
역대 국회의원[편집]
선거 | 의원 | 정당 | 비고 | |
---|---|---|---|---|
1988 | 김덕룡 | 통일민주당 | 정무장관 (1993년, 1996년) 민주자유당 사무총장 (1995년) 한나라당 원내대표 (2004년) | |
1992 | 민주자유당 | |||
1996 | 신한국당 | |||
2000 | 한나라당 | |||
2004 | 한나라당 | |||
2008 | 고승덕 | 한나라당 | 변호사 | |
2012 | 강석훈 | 새누리당 | ||
2016 | 박성중 | 새누리당 | ||
2020 | 미래통합당 |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 선거 결과 | 후보 | 정당 | 득표 | % | ±% | ||
---|---|---|---|---|---|---|---|---|
1988년 제13대 총선 유권자수: 132,004 투표수: 91,252 | 통일민주당 승리 | 김덕룡 | 통일민주당 | 31,377 | 34.57 | |||
한병기 | 신민주공화당 | 19,591 | 21.59 | |||||
이동복 | 민주정의당 | 19,424 | 21.40 | |||||
정완기 | 평화민주당 | 14,715 | 16.21 | |||||
구자호 | 무소속 | 4,296 | 4.73 | |||||
김병욱 | 신한민주당 | 1,335 | 1.47 | |||||
1992년 제14대 총선 유권자수: 136,498 투표수: 98,168 | 민주자유당 승리 | 김덕룡 | 민주자유당 | 31,051 | 31.90 | |||
안동수 | 민주당 | 30,459 | 31.29 | |||||
김용갑 | 무소속 | 21,497 | 22.08 | |||||
왕제광 | 통일국민당 | 10,229 | 10.50 | |||||
정대균 | 신정치개혁당 | 4,101 | 4.21 | |||||
1996년 제15대 총선 유권자수: 146,751 투표수: 92,191 | 신한국당 승리 | 김덕룡 | 신한국당 | 40,530 | 44.68 | |||
안동수 | 민주당 | 26,887 | 29.64 | |||||
정상용 | 새정치국민회의 | 21,112 | 23.27 | |||||
박호성 | 무소속 | 1,423 | 1.56 | |||||
김상태 | 무당파국민연합 | 743 | 0.81 | |||||
안방자 | 21세기한독당 | -[1] | -[1] | |||||
2000년 제16대 총선 유권자수: 152,230 투표수: 86,706 | 한나라당 승리 | 김덕룡 | 한나라당 | 45,484 | 52.94 | |||
안동수 | 새천년민주당 | 37,160 | 43.25 | |||||
조정래 | 청년진보당 | 3,266 | 3.80 | |||||
2004년 제17대 총선 유권자수: 153,739 투표수: 99,493 | 한나라당 승리 | 김덕룡 | 한나라당 | 53,537 | 54.23 | |||
김선배 | 열린우리당 | 35,833 | 36.29 | |||||
장세동 | 무소속 | 3,693 | 3.74 | |||||
권만성 | 새천년민주당 | 3,576 | 3.62 | |||||
장충근 | 무소속 | 719 | 0.72 | |||||
김태곤 | 무소속 | 654 | 0.66 | |||||
차일호 | 자유민주연합 | 556 | 0.56 | |||||
유제화 | 공화당 | 149 | 0.15 | |||||
2008년 제18대 총선 유권자수: 172,290 투표수: 80,623 | 한나라당 승리 | 고승덕 | 한나라당 | 48,224 | 60.26 | |||
조남호 | 무소속 | 15,670 | 19.58 | |||||
김윤 | 통합민주당 | 12,685 | 15.85 | |||||
박천숙 | 민주노동당 | 2,713 | 3.39 | |||||
성순욱 | 평화통일가정당 | 732 | 0.91 | |||||
2012년 제19대 총선 유권자수: 179,331 투표수: 100,859 (56.24%) | 새누리당 승리 | 강석훈 | 새누리당 | 60,213 | 60.1 | |||
임지아 | 민주통합당 | 39,047 | 39.0 | |||||
최우원 | 대한국당 | 887 | 0.9 | |||||
2016년 제20대 총선 유권자수: 200,087 투표수: 120,459 (60.2%) | 새누리당 승리 | 박성중 | 새누리당 | 55,666 | 46.8 | |||
김기영 | 더불어민주당 | 43,303 | 36.4 | |||||
조순형 | 국민의당 | 17,166 | 14.4 | |||||
김수근 | 무소속 | 2,742 | 2.3 | |||||
2020년 제21대 총선 유권자수: 196,164 투표수: 140,056 | 미래통합당 승리 | 박성중 | 미래통합당 | 74,445 | 53.66 | |||
박경미 | 더불어민주당 | 62,442 | 45.01 | |||||
이정호 | 민생당 | 1,105 | 0.79 | |||||
이진호 | 국가혁명배당금당 | 733 | 0.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