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섭
이만섭 李萬燮 | |
---|---|
![]() | |
출생 | 1932년 2월 25일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대구부 |
사망 | 2015년 12월 14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1] | (83세)
본관 | 합천 |
학력 | 연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
직업 | 정치가, 언론인 |
배우자 | 有 |
자녀 | 슬하 1남 2녀 |
종교 | 천주교(세례명: 요셉) |
의원 선수 | 8 |
의원 대수 | 6·7·10·11·12·14·15·16 |
정당 | 무소속 |
지역구 | 前 비례대표 |
이만섭(李萬燮, 1932년 2월 25일 ~ 2015년 12월 14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가이다. 호(號)는 청강(靑江)이다.
생애[편집]
이만섭은 1932년 2월 25일에 대구에서 태어났다. 1951년에 연희대 정치외교학과에 진학하여 졸업한 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정치부 기자로 활약했다. 이후 동아일보 기자로 재직하며 주일 특파원과 주미 특파원 등으로 활동한 뒤 5.16 군사 정변이 일어난 직후 발탁되어 1963년 10월에 공화당에 입당, 대선 후보 박정희의 지지 유세와 찬조연설을 다녔다.[2]
그 해 11월에는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6대 국회의원에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고,[3] 그 후 제7·1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4][5] 1968년에 개최된 국제의원연맹 제5차 총회에 한국 대표로 참석하였다. 국회에 사사건건 간섭하던 중앙정보부장 김형욱과 갈등을 겪었고 제4공화국 후반 중앙정보부장으로 권력을 휘두른 이후락과 김형욱을 연이어 탄핵하였고 박정희가 그의 의견을 수용하여 이들을 낙마시키기도 했다. 1979년 제10대 총선에서 대구시 중구·서구·북구에서 당선되었고 그해 민주공화당의 당무위원이 되었다.
1980년 민주공화당이 신군부에 의해 강제로 해산당하자 과거 민주공화당 출신과 유신정우회 출신 인사들을 주축으로 한 한국국민당의 창당에 참여하였다. 제11·12대 국회의원에 연속으로 당선되었고 1985년에 한국국민당의 총재를 지냈다.
하지만 한국국민당은 1987년 10월부터 소속 의원들이 대거 탈당하여 신민주공화당에 입당하며 점차 와해되기 시작했고 다음 해 제13대 총선에서 본인을 비롯하여 모두 낙마하였다. 이후 3당합당으로 탄생한 민주자유당에 합류하였고 이후 제14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국회의장을 지내기도 하였으며, 그 후 민자당의 상임고문을 거쳐 신한국당의 제15대 국회의원으로 다시 당선되었다.
신한국당의 총재서리로 임명되었고, 1997년에 이인제를 지지하면서 신한국당을 탈당하고 국민신당의 총재가 되었으며, 김대중의 새정치국민회의와 합당을 추진하고 새정치국민회의 총재권한대행을 지내기도 했다.
그 뒤 새천년민주당 창당준비위원장을 지냈고, 창당 후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제16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다시 국회의장을 지냈다. 이 시기부터 국회법이 개정되어 국회의장은 당적을 가질 수 없게 되었으며 이만섭은 최초로 무당적 국회의장이 되었고 이는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4년 제17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정계를 은퇴하였다. 2015년 12월 14일에 향년 84세의 나이로 타계하였다.[6]
비판[편집]
8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이 중 4번은 전국구로 당선되었고, 3번은 2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중대선거구 제도로 당선되었으며, 3번의 중대선거구 당선 중 2번은 2위로 당선되었다. 즉 8번의 국회의원 당선 중 대부분은 유권자의 직접적인 정치적 의사를 반영하지 않은 결과로, 전국구 및 중대선거구의 문제점을 지적할 때 이만섭의 사례가 인용되기도 하였다.[7]
저서[편집]
- 《혈육을 만나게 하자》
- 《제2의 정치인》
- 《증언대》
- 《불꺼지지 않는 의사당》
- 《날치기는 없다》
- 《의회외교실록》
- 《정치는 가슴으로》
상훈[편집]
학력[편집]
명예 박사 학위[편집]
이만섭을 연기한 배우[편집]
- 박칠용 - 1989년 (제2공화국), MBC 드라마
- 김봉근 - 1993년 (제3공화국), MBC 드라마
- 한규희 - 1995년 (제4공화국), MBC 드라마
- 김봉근 - 1998년 (삼김시대), SBS 드라마
- 정국진 - 2003년 (야인시대), SBS 드라마
- 오협 - 2005년 (영웅시대), MBC 드라마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제6대 총선 | 국회의원(전국구) | 6대 | 민주공화당 | ![]() ![]() |
3,112,985표 | 전국구 17번 | ![]() |
제7대 총선 | 국회의원(경북 대구시 중구) | 7대 | 민주공화당 | ![]() |
24,562표 | 1위 | ![]() |
제8대 총선 | 국회의원(경북 대구시 중구) | 8대 | 민주공화당 | ![]() ![]() ![]() |
20,265표 | 2위 | 낙선 |
제10대 총선 | 국회의원(경북 대구시 중구·서구·북구) | 10대 | 민주공화당 | ![]() ![]() ![]() ![]() |
38,826표 | 2위 | ![]() |
제11대 총선 | 국회의원(경북 대구시 중구·서구) | 11대 | 한국국민당 | ![]() |
74,176표 | 1위 | ![]() |
제12대 총선 | 국회의원(대구 중구·서구) | 12대 | 한국국민당 | ![]() ![]() ![]() |
78,305표 | 2위 | ![]() |
제13대 총선 | 국회의원(대구 달서구) | 13대 | 한국국민당 | ![]() ![]() |
44,742표 | 2위 | 낙선 |
제14대 총선 | 국회의원(전국구) | 14대 | 민주자유당 | ![]() ![]() ![]() |
7,923,718표 | 전국구 6번 | ![]() |
제15대 총선 | 국회의원(전국구) | 15대 | 신한국당 | ![]() ![]() ![]() |
6,783,730표 | 전국구 3번 | ![]() |
제16대 총선 | 국회의원(전국구) | 16대 | 새천년민주당 | ![]() ![]() |
6,780,359표 | 전국구 4번 | ![]() |
각주[편집]
- ↑ '한국정치 산 증인' 이만섭 전 국회의장 별세...향년 83세
- ↑ 民主共和黨에入黨 東亞日報李萬燮씨, 《경향신문》, 1963.10.3
- ↑ 共和黨,過半數線넘어, 《경향신문》, 1963.11.27
- ↑ 當選確定者, 《동아일보》, 1967.6.9
- ↑ 10代總選당선154人의얼굴들, 《경향신문》, 1978.12.13
- ↑ 이만섭 전 국회의장 별세…향년 83세, 2015.12.14
- ↑ 비사·全國區 39년, 《신동아》, 2001.9.
참고 자료[편집]
전임 김종철 |
제3대 한국국민당 총재 1985년 3월 23일 ~ 1987년 12월 16일 |
후임 (해산) |
전임 이회창 |
신한국당 대표권한대행 1997년 7월 1일 ~ 1997년 7월 20일 |
후임 이회창 |
전임 (초대) |
국민신당 총재 1997년 10월 10일 ~ 1998년 6월 28일 |
후임 (해산) |
전임 김영배 |
제3대 새정치국민회의 총재권한대행 1999년 7월 9일 ~ 2000년 1월 20일 |
후임 (해산) |
전임 박준규 |
제14대 전반기 국회의장 1993년 4월 27일 ~ 1994년 6월 28일 |
후임 황낙주 |
전임 박준규 |
제16대 전반기 국회의장 2000년 6월 5일 ~ 2002년 5월 29일 |
후임 박관용 |
![]() |
전 임 송관수 |
제7대 국회의원(경북 대구시 중구)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민주공화당 |
후 임 한병채 |
![]() |
![]() |
전 임 박찬·한병채 |
제10대 국회의원(경북 대구시 중구·서구·북구)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민주공화당 → 무소속 한병채 |
후 임 (중구·서구)이만섭·한병채 (동구·북구)김용태·목요상 |
![]() |
![]() |
전 임 (중구·서구·북구)한병채·이만섭 |
제11대 국회의원(경북 대구시 중구·서구)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한국국민당 한병채 |
후 임 유성환·이만섭 |
![]() |
![]() |
전 임 이만섭·한병채 |
제12대 국회의원(대구 중구·서구)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한국국민당 → 무소속 → 신민주공화당 유성환 |
후 임 (중구)유수호 (서구 갑)정호용 (서구 을)최운지 |
![]() |
- 대한민국의 제7대 국회의원
- 대한민국의 제10대 국회의원
- 대한민국의 제11대 국회의원
- 대한민국의 제12대 국회의원
- 대한민국의 제6대 국회의원
- 대한민국의 제14대 국회의원
- 대한민국의 제15대 국회의원
- 대한민국의 제16대 국회의원
- 대한민국의 국회의장
- 대한민국의 신문 기자
- 대한민국의 작가
- 대한민국의 저술가
- 대한민국 제3공화국
- 대한민국 제4공화국
- 최규하 정부
- 대한민국 제5공화국
- 김영삼 정부
- 20세기 대한민국 사람
- 21세기 대한민국 사람
- 김대중 정부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
- 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
- 대륜중학교 동문
- 한국국민당 (1981년) 당원
- 민주자유당 당원
- 신한국당 당원
- 국민신당
- 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당원
- 열린우리당 당원
- 자유민주연합 당원
- 대통합민주신당 당원
- 동아일보
- 대구광역시 출신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1932년 태어남
- 2015년 죽음
- 합천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