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현확
申鉉碻
復興部企劃局企劃科長李起鴻.jpg
대한민국제13대 총리
임기 1979년 12월 13일~1980년 5월 21일
대통령 최규하
전임: 최규하(제12대)
후임: 남덕우(제14대)

신상정보
출생일 1920년 10월 29일
출생지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면 왜관동리 230-3번지
사망일 2007년 4월 26일(2007-04-26)(86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대부속종합병원 병동에서 척추골절 후유증으로 병사
정당 무소속
자녀 신철식(아들)

신현확(申鉉碻, 1920년 10월 29일 ~ 2007년 4월 26일)은 대한민국의 고위행정관료, 정치가, 경제인, 기업인이다. 경상북도 칠곡 왜관면 출생이고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호는 간호(干湖)이다.좌의정(정1품) 문희공 신개의 후손이다. 2선 국회의원과 최규하 정부의 제1기 총리를 지냈으며 삼성물산 회장을 역임했다.

일제강점기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한 후 일본 제국 상무성 근무를 시작으로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고위공직자로 출세가도를 달렸으며, 이후 정치인과 기업인으로도 왕성한 활동을 했다. 대한민국 정재계를 아우르는 'TK인맥의 대부'라는 평가가 있다.[1] 1980년대 정관계를 떠난 뒤에는 삼성그룹과 관계를 맺어 이병철 전 회장으로부터 이건희 현 회장에게 그룹 경영권이 승계되는 과정에도 깊숙이 관여하였다.[2]

1961년 한때 정치정화법 대상자로 연금되었으나 1963년 11월 해금되고, 장택상의 추천으로 한국 정계에 입문했다.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여 공화당 공천으로 9대, 10대 국회의원을 연임하였다.

그의 아들 신철식(申喆湜)도 정무직관료국무조정실 정책차장을 지낸 바 있다.

약력[편집]

학력[편집]

수상 경력[편집]

가족 관계[편집]

  • 아들 : 신철식, 국무조정실 정책차장(차관급) 역임
  • 사위 : 심영수(의사, 교육자, 서울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사위 : 성상철(의사, 서울대병원장)
  • 사위 : 박정석(기업인, 고려해운 회장)

총리 재임 시절[편집]

1979년 12월 7일 최규하 대통령 취임 이후, 신현확은 국무총리에 임명됐다. 신군부가 집권 시나리오에 따라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를 실행할 것을 강요하자, 무력감을 느끼고 5월 20일 사임했다.[6] 이와 동시에 내각이 총사퇴했다. 이후 헌법개정심의위원장을 맡아 제5공화국 헌법을 주도하였으며, 1981년 국정자문위원, 1983년 한일협력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친일 논란[편집]

태평양 전쟁 중 전시 체제 하에서 군수물자를 관리한 고등 관리였다는 점에서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관료 부문에 포함됐다. 그러나 신현확의 아들은 신현확이 "친일파에 치를 떤 이승만 대통령 밑에서 철저한 검증을 거쳐 장관까지 한 사람"이라는 점 등을 들어 전혀 근거 없는 모함이라며, 법적 절차를 밟겠다고 밝혔다.[7] 검증 결과 근무지를 이탈한 적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바 친일인명사전 수록 이의신청이 받아들여져, 최종 출간본에서 제외됐다.

평가[편집]

한국 현대사의 큰 고비마다 ‘현장’에 있으면서 영욕을 함께했던 그에 대한 평가는 시각에 따라 엇갈린다.[8] 하지만 가치평가와는 별도로 관계 정계 재계 등을 두루 경험한 신 전 총리의 비중을 부인하긴 어렵다는 평가도 있다.[8]

같이 보기[편집]

신현확을 연기한 배우들[편집]

역대 선거 결과[편집]

실시년도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1973년 총선 9대 국회의원 경북 군위군·성주군·선산군·칠곡군 민주공화당 45,330표
28.48%
1위 Emblem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svg 초선
1978년 총선 10대 국회의원 경북 구미시·군위군·성주군·선산군·칠곡군 민주공화당 56,645표
30.95%
1위 Emblem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svg 재선

각주[편집]

참고 자료[편집]

외부 링크[편집]

전임
최규하
제13대 국무총리
1979년 12월 13일 ~ 1980년 5월 21일
후임
박충훈
(서리)
전임
김치영
제3대 부흥부 차관
1957년 6월 20일 ~ 1959년 3월 30일
후임
정영기
전임
최인규
외자청장 서리
1958년 2월 22일 ~ 1958년 12월 10일
후임
안희경
전임
송인상
제4대 부흥부 장관
1959년 3월 20일 ~ 1960년 4월 28일
후임
전예용
전임
고재필
제16대 보건사회부 장관
1975년 12월 9일 ~ 1978년 12월 22일
후임
홍성철
전임
남덕우
제13대 부총리경제기획원 장관
1978년 12월 22일 ~ 1979년 12월 13일
후임
이한빈
Emblem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svg 전임
김봉환(구미시·군위군·선산군)
김창환(성주군·칠곡군)
제9대 국회의원(군위군·성주군·선산군·칠곡군)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민주공화당
김창환
후임
신현확, 김현규
Emblem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svg
Emblem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svg 전임
신현확, 김창환
제10대 국회의원(구미시·군위군·성주군·선산군·칠곡군)
1979년 3월 12일 ~ 1979년 12월 12일
민주공화당무소속
김현규
후임
박재홍, 김현규(구미시·군위군·선산군·칠곡군)
김종기, 이용택(달성군·고령군·성주군)
Emblem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sv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