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움미술관
리움미술관 Leeum Museum of Art | |
---|---|
![]() | |
정식 명칭 | 리움미술관 |
유형 | 사립 |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한남동) |
개관일 | 2004년 10월 19일 |
![]() |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리움미술관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사립미술관으로 2004년 10월 19일 개관했다. 삼성그룹의 창립자 이병철의 수집품에서 출발한 미술관이다.[1] 리움이라는 미술관 이름은 설립자의 성인 Lee와 미술관을 뜻하는 영어 Museum의 어미 -um을 합성한 것이다.[2] 리움미술관은 스위스 건축가 마리오 보타(Mario Botta), 프랑스 건축가 장 누벨(Jean Nouvel), 네덜란드 건축가 렘 쿨하스(Rem Koolhaas)가 설계했다.
핵심가치[3][편집]
- 문화창조 (Culture Creation)
창의와 혁신, 실험적인 아이디어로 문화창조에 기여함
- 융합 (Convergence)
전통과 현대, 예술과 기술, 동서양 문화의 융합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예술 장르의 통합을 모색함
- 소통 (Communication)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며 한국과 국제사회의 문화의 플랫폼을 목표함
시설현황[4][편집]
시설명 | 건축가 | 면적 | 규모 |
---|---|---|---|
Museum 1 | Mario Botta | 대지 700평
연면적 3,000평 |
지상 4층, 지하 3층 |
Museum 2 | Jean Nouvel | 대지 1,787㎡ (500평)
연면적 5,167㎡ (1,500평) |
지상 2층, 지하 3층 |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 Rem Koolhaas | 대지 3,980㎡ (약 1,200평)
연면적 13,254㎡ (약 3,900평) |
지상 2층, 지하 3층 |
MUSEUM 2의 지하에서는 비밀의 화원이 있다. 전시장 유리창 밖으로 보이는 선큰 가든(Sunken Garden)과 개비온 월(Gabion Wall)이다. 개비온 월은 벽면 기초 공사 때 나온 암반석을 쪼개 철제 프레임에 담아 쌓아 올린 작품이다. 예술과 건축 그리고 숨 쉬는 자연, 삼박자를 고루 갖추고 있다.[5]
소장품[편집]
갤러리[편집]
-
화접도
-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
-
금동관음보살입상
-
국보 제134호 금동보살삼존입상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리움 미술관”. 2022년 5월 26일에 확인함.
- ↑ “두산백과 '리움'”.
- ↑ “리움미술관 소개”. 《리움미술관 홈페이지》. 2021년 1월 2일에 확인함.
- ↑ “리움미술관 건축소개”. 《리움미술관》. 2021년 1월 2일에 확인함.
- ↑ “리움 미술관”. 2022년 5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