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코리아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에서 넘어옴)
![]() | |
이전 상호 | 삼성자동차 삼성상용차 르노삼성자동차 |
---|---|
원어 | Renault Korea Motors |
형태 | 주식회사, 외부감사법인 |
산업 분야 | 자동차 제조 |
창립 | 2000년 7월 14일 |
본사 소재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르노삼성대로 61 (신호동) |
핵심 인물 | 스테판 드블레즈 (대표이사 사장) |
제품 | SM 시리즈 QM 시리즈 |
서비스 | 수송기기 제조업 |
매출액 | 3,400,758,718,788원 (2020) |
영업이익 | ![]() |
![]() | |
자산총액 | 1,871,723,729,668원 (2020.12) |
주요 주주 | ![]() ![]() 우리사주조합 (0.20%) |
종업원 수 | 4,220명 (2015.12) |
모기업 | 르노 |
자본금 | 440,000,000,000원 (2015.12) |
시장 정보 | 비상장기업 |
슬로건 | 새로운 10년, 세계로의 비상 |
웹사이트 | www |
르노코리아자동차(영어: Renault Korea Motors)는 대한민국을 주 사업 기반으로 하는 르노그룹 계열 자동차 제조사이다.
2020년 8월 삼성과 브랜드명 사용 계약이 종료된 후[1] 2년의 유예 기간을 거쳐 2022년 3월 16일부로 르노코리아자동차라는 이름으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엠블럼도 평면 형태로 변경했다. 엠블럼은 르노그룹이 소유하고 있다.
역사[편집]
- 삼성그룹이 자동차 사업 진출을 선언, 1995년에 삼성자동차(주)가 설립되었다.
- 삼성자동차는 일본 닛산과 기술 제휴를 맺고, 닛산의 자동차 공장 설비 및 자동차 부품을 수입, 조립하여 1998년부터 SM5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 그러나 IMF 사태의 여파 등으로 실적이 악화되어, 삼성자동차는 1999년 법정관리를 신청하기에 이르게 된다.
- 이후 삼성자동차의 자산은 프랑스 르노의 계열사인 르노그룹 BV와 삼성카드가 주축이 되어 설립된 르노삼성자동차(주)가 인수하여 자동차 제조 및 판매를 이어가고 있다.
- 삼성카드가 지분의 19.9 %를 보유했으며, 삼성 브랜드를 사용하는 대가로 영업이익이 발생할 경우 매출의 0.8 %를 로열티로 받고 있다.
- 한편 1996년에는 삼성중공업 상용차 사업부가 분리되어 삼성상용차(주)가 설립되었다.
- 삼성상용차는 삼성중공업 시절부터 닛산 디젤 빅섬 기반의 대형 트럭을 생산해 왔으며, 1998년에는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성서산업단지에 신설한 공장에서 소형 트럭인 야무진을 생산하였다.
- 2000년에는 삼성상용차가 파산하였다.
연혁[편집]
- 1987년 12월 :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비서실에 승용차 사업 진출 방안 수립을 지시
- 1994년 4월 28일 : 일본 도쿄 주오구 긴자에 있는 닛산 본사에서 기술제휴 계약서에 서명
- 1994년 12월 2일 : 상공자원부 장관 김철수, 삼성자동차 허용 방침 발표
- 1994년 12월 5일 : 삼성그룹, 닛산 자동차와의 기술도입 계획 상공부에 제출.
- 1995년 3월 28일 : 삼성자동차(주) 설립
- 1996년 8월 22일 : 삼성상용차(주) 설립
- 1998년 3월 : 삼성자동차, 중형 세단 SM5 판매 개시
- 1998년 12월 : 대우그룹의 대우전자와 삼성그룹의 구 삼성자동차 빅 딜 협의, 추후에 실패
- 1999년 6월 30일 : 누적 적자로 삼성자동차 법정관리 신청
- 2000년 7월 14일: 르노그룹BV와 삼성카드가 합작하여 르노삼성자동차(주) 설립
- 2000년 9월 1일 : 프랑스의 자동차 회사 르노가 삼성자동차 승용차부문 인수
- 2000년 12월 12일 : 삼성상용차가 파산[2], 야무진, SM510, SM530이 후속 없이 단종
- 2001년 5월 : 누계 생산 10만 대 돌파
- 2002년 9월 : 준중형 세단 SM3 판매 개시
- 2004년 12월 : 준대형 세단 SM7 판매 개시
- 2007년 12월 : 중형 SUV QM5 판매 개시
- 2013년 12월 : 소형 SUV QM3 판매 개시
- 2014년 9월 4일 : 뉴 SM7 노바 1호차 서병수 당시 부산광역시장에게 의전차로 전달
- 2014년 9월 26일 : 닛산 중형 SUV 닛산 로그 생산 및 미국, 캐나다 등 북미 지역 수출 개시
- 2016년 3월 1일 : 중형 세단 SM6 판매 개시
- 2016년 9월 2일 : 중형 SUV QM6 판매 개시
- 2016년 12월 : QM5 단종
- 2018년 5월 : 소형 해치백 클리오 출시
- 2018년 10월 : 경상용차 마스터 출시
- 2019년 7월 : SM5 단종
- 2019년 12월 : QM3 단종
- 2019년 12월 : 클리오 단종
- 2020년 1월 : SM3 단종
- 2020년 1월 : SM7 단종
- 2020년 3월 4일 : XM3 출시
- 2022년 3월 16일 : "르노코리아자동차"로 회사명 변경
- 2022년 11월 : XM3 하이브리드 출시
생산 제품 및 판매 제품[편집]
같이 보기[편집]
관련 항목[편집]
경쟁 자동차 업체[편집]
지분 관련사[편집]
각주[편집]
- ↑ 연합뉴스. “르노삼성차, 넉달 후 '삼성' 브랜드 계약 종료…2년만 더 쓸듯”. 《매일경제》. 2020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문성규 (2002년 2월 23일). “법원, 삼성상용차 파산 선고”. 《중앙일보》. 2018년 4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르노코리아자동차
- 공식 웹사이트
르노코리아자동차의 흐름, 1994년~
| ||||||||||||||||||||||||||||||||||||
---|---|---|---|---|---|---|---|---|---|---|---|---|---|---|---|---|---|---|---|---|---|---|---|---|---|---|---|---|---|---|---|---|---|---|---|---|
Type |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
4 | 5 | 6 | 7 | 8 | 9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소형차 | 클리오 | |||||||||||||||||||||||||||||||||||
준중형차 | SM3/SM3 뉴 제너레이션/SM3 CE 시리즈 | |||||||||||||||||||||||||||||||||||
뉴 SM3/SM3 네오/SM3 Z.E. | ||||||||||||||||||||||||||||||||||||
중형차 | SM5 | 뉴 SM5/SM5 뉴 임프레션 | 뉴 SM5/뉴 SM5 플래티넘/뉴 SM5 노바 | |||||||||||||||||||||||||||||||||
SM6(르노 탈리스만 2세대) | ||||||||||||||||||||||||||||||||||||
준대형차 | SM7/SM7 뉴 아트 | 올 뉴 SM7/뉴 SM7 노바(르노 탈리스만 1세대) | ||||||||||||||||||||||||||||||||||
SUV | QM3/뉴 QM3(르노 캡쳐 1세대) | 캡쳐 | ||||||||||||||||||||||||||||||||||
XM3(르노 아르카나 1세대) | ||||||||||||||||||||||||||||||||||||
QM5/뉴 QM5/QM5 네오 | QM6/더 뉴 QM6/뉴 QM6 | |||||||||||||||||||||||||||||||||||
승합차 | 마스터 | |||||||||||||||||||||||||||||||||||
소형 트럭 | 야무진/SV110 | |||||||||||||||||||||||||||||||||||
대형 트럭 | SM510/SM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