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
해 1958년 1959년 1960년 - 1961년 - 1962년 1963년 1964년 |
연대 1940년대 1950년대 - 1960년대 - 1970년대 1980년대 |
세기 18세기 19세기 - 20세기 - 21세기 22세기 |
196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사건[편집]
- 1월 31일 - 장면 대한민국 국무총리가 민주당 탈당을 하고 무소속 전향.
- 4월 12일 - 소련의 유리 가가린이 최초로 우주 비행을 한 사람이 되다.
- 4월 27일 - 시에라리온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다.
- 4월 30일 - 윤보선 대통령이 민주당 탈당하고 무소속 전향하여 대한민국 무여당 체제 돌입.
- 5월 16일 - 대한민국에서 5·16 쿠데타가 일어나 군정이 실시되다.
- 6월 3일 - 미국 35대 대통령 존 F. 케네디가 소련과 핵확산금지조약(NPT)을 체결함.
- 7월 11일 - 중조 우호 협력 상호 원조 조약 체결.
- 8월 6일 - 소련, 제2호 유인 우주선 발사에 성공.
- 8월 10일 - 대한민국, 카메룬 수교.
- 8월 10일 - 한국 표준시가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30분 앞당겨짐.
- 8월 12일 - 대한민국, 국가재건최고회의 박정희(朴正熙) 의장, 1963년 여름에 민정이양 약속.
- 8월 13일 - 냉전으로 인해 분단된 독일의 도시 베를린의 동서구간 사이에 베를린 장벽이 세워지다.
- 8월 31일 - 소련, 핵실험 재개 선언.
- 9월 1일 - 비동맹국 정상회담, 유고슬라비아 수도 베오그라드서 개최.
- 9월 15일 - 미국, 지하 핵실험 실시.
- 9월 16일 - 미국, 네바다주에서 두 번째 지하핵실험 실시.
- 9월 18일 - 다그 함마르셸드 유엔 사무총장, 콩고 내전 해결을 위해 아프리카로 가던 중에 잠비아에서 비행기 추락사고로 사망.
- 9월 27일 - 시에라리온, 유엔 가입.
- 9월 28일 - 시리아의 다마스쿠스에서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 시리아가 아랍 연합 공화국에서 탈퇴하다.
- 10월 27일 - 모리타니, 몽골, 유엔 가입.
- 10월 30일 - 소련, 노바야제믈랴 제도에 차르 봄바를 투하하는 핵실험 실시.
- 11월 6일 - 유엔, 핵실험 금지안 가결.
- 11월 13일 - 대한국민항공사가 폐업함
문화[편집]
- 1월 15일 - 로마 피우미치노 공항 개항.
- 8월 1일 - 중소기업은행 발족.
- 8월 5일 - 군사원호청 발족.
- 8월 15일 - 대한민국, 농업협동조합 발족.
- 8월 16일 - 한국경제인협회(전국경제인연합회와 전신), 이병철을 회장으로 발족.
- 9월 30일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결성.
- 10월 13일 - 대한민국 언론인들과 자율심의기구인 한국신문윤리위원회 발족.
- 10월 15일 - 대한방송 폐국.
- 10월 31일 - 유럽경제협력기구(OEEC),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로 확대개편.
- 12월 24일 - 서울텔레비전 방송국을 시험방송을 개시.
- 12월 31일 - 서울텔레비전 방송국은 텔레비전 방송 KBS-TV (현 KBS 1TV)를 개국을 하였고, 방송개시를 오전 6시부터 4시간동안 10시까지 방송을 함.
탄생[편집]
1월[편집]
- 1월 1일 - 대한민국의 군인 원인철.
- 1월 2일 - 미국의 영화감독 토드 헤인스.
- 1월 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오세훈.
- 1월 6일 - 대한민국의 프로듀서 박정훈.
- 1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백영현.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최순호.
- 1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김승기
- 1월 13일 - 미국의 배우 줄리아 루이드라이퍼스.
- 1월 19일
- 1월 24일
- 1월 27일
- 1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영록.
2월[편집]
- 2월 3일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정치인 장향숙.
- 2월 8일
- 2월 10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알렉산더 페인.
- 미국의 정치가, 언론인 조지 스테퍼노펄러스.
- 대한민국의 배우 최화정.
- 2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응수.
- 2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정.
- 2월 18일 - 일본의 가수 가게야마 히로노부.
- 2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순천.
- 2월 21일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한국.
- 2월 25일
3월[편집]
- 3월 8일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제5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맡고 있는 공무원 김현수.
- 3월 19일 - 노르웨이의 전 축구 선수 루네 브라체트.
- 3월 21일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로타어 마테우스.
- 3월 24일 - 대한민국의 야구인 양상문.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홍학표.
- 3월 27일 - 일본의 락밴드 B'z 기타리스트 마츠모토 타카히로.
4월[편집]
- 4월 1일 - 영국의 가수 수잔 보일.
- 4월 3일 - 미국의 배우 에디 머피.
- 4월 4일 - 일본의 성우 마츠이 나오코.
- 4월 11일 - 미국의 배우, 영화감독 빈센트 갤로.
- 4월 14일 - 영국의 배우 로버트 칼라일.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장덕. (~1990년)
- 4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철.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변병주.
- 4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안규백.
5월[편집]
- 5월 1일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박래군.
- 5월 6일 - 미국의 배우, 영화감독 조지 클루니.
- 5월 8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김장겸.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성일.
- 5월 13일 - 미국의 농구 선수 데니스 로드먼.
- 5월 14일 - 영국의 배우 팀 로스.
- 5월 17일 - 아일랜드의 음악가 에냐.
- 5월 2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희영.
- 5월 31일 - 미국의 배우 리 톰프슨.
6월[편집]
- 6월 9일 - 미국의 영화 각본가, 감독 아론 소킨.
- 6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양일환.
- 6월 13일
- 6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보석.
- 6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한위.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재호.
- 6월 21일 - 인도네시아의 정치인, 제7대 대통령 조코 위도도.
- 6월 25일 - 영국의 희극인, 배우 리키 저베이스.
7월[편집]
- 7월 1일
- 영국 찰스 왕세자의 전 부인 웨일스 공비 다이애나. (~1997년)
- 미국의 육상 선수 칼 루이스.
- 7월 3일
- 7월 4일 - 러시아의 축구 심판 발렌틴 이바노프.
- 7월 10일 - 홍콩의 배우, 가수 장학우.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야구인 권기홍. (~2023년)
- 7월 14일
- 7월 15일
- 7월 25일
- 7월 30일 - 미국의 배우 로렌스 피쉬번.
8월[편집]
- 8월 1일
- 8월 4일 - 미국의 정치인, 제44대 대통령 버락 오바마.
- 8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길은정. (~2005년)
- 8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고태산.
- 8월 17일 - 일본의 교수이자 미키 마우스 성우인 아오야기 타카시.
- 8월 21일 - 보글보글 스폰지밥의 감독 스티븐 힐렌버그.
- 8월 28일
9월[편집]
- 9월 2일 - 콜롬비아의 전 축구 선수 카를로스 발데라마.
- 9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주승. (~2007년)
- 9월 5일 - 대한민국의 체육인 김종.
- 9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강성.
- 9월 11일 - 미국의 배우 버지니아 매드슨.
- 9월 13일
- 9월 18일
- 9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승모.
- 9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황덕재.
- 9월 27일 - 홍콩의 배우 유덕화.
- 9월 29일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방송인 정재환.
10월[편집]
- 10월 4일 - 일본의 만화가 타카하시 카즈키. (~2022년)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무송.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영범
- 10월 23일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안도니 수비사레타.
- 10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나영희.
- 10월 31일 - 뉴질랜드의 영화 감독 피터 잭슨.
11월[편집]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야구인 정삼흠.
- 미국의 군인 조지프 T. 화이트.
- 대한민국의 가수 주현미.
- 11월 7일 - 벨라루스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
-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연출가 안판석.
- 11월 12일
- 11월 14일 - 스페인의 만화가 카를로스 파체코. (~2022년)
- 11월 18일 - 영국의 각본가 스티븐 모팻.
- 11월 19일 - 미국의 배우 멕 라이언.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김선동.
- 11월 28일 - 멕시코의 영화 감독 알폰소 쿠아론.
12월[편집]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김성래.
- 12월 8일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조청희.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방송프로듀서 예미란.
- 대한민국의 배우 이창직.
- 12월 18일 - 일본의 영화감독 소노 시온.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의료인, 정치인 신동근.
- 12월 24일 - 아제르바이잔의 대통령 일함 알리예프.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주희.
- 12월 26일
사망[편집]


- 1월 4일 -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 (1887년~)
- 1월 17일 - 콩고민주공화국의 총리 파트리스 루뭄바. (1925년~)
- 2월 10일 - 체코의 작가 야쿠프 데믈. (1878년~)
- 3월 3일 - 오스트리아의 피아니스트 파울 비트겐슈타인. (1878년~)
- 4월 9일 - 알바니아의 국왕 아흐메트 조그 1세. (1895년~)
- 5월 3일 - 일본의 미술사학자 야나기 무네요시. (1889년~)
- 5월 13일 - 미국의 영화배우 게리 쿠퍼. (1901년~)
- 6월 6일 - 스위스의 정신의학자 카를 융. (1875년~)
- 7월 2일 - 미국의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 (1899년~)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정치인 신용욱. (1901년~)
- 12월 23일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군인 쿠르트 마이어. (1910년~)
노벨상[편집]
달력[편집]
음양력 대조 일람[편집]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 양력 월일 |
음력 1일 간지 |
---|---|---|---|---|
1월 | 경인 | 대 | 2월 15일 | 기묘 |
2월 | 신묘 | 소 | 3월 17일 | 기유 |
3월 | 임진 | 대 | 4월 15일 | 무인 |
4월 | 계사 | 소 | 5월 15일 | 무신 |
5월 | 갑오 | 대 | 6월 13일 | 정축 |
6월 | 을미 | 소 | 7월 13일 | 정미 |
7월 | 병신 | 대 | 8월 11일 | 병자 |
8월 | 정유 | 대 | 9월 10일 | 병오 |
9월 | 무술 | 소 | 10월 10일 | 병자 |
10월 | 기해 | 대 | 11월 8일 | 을사 |
11월 | 경자 | 소 | 12월 8일 | 을해 |
12월 | 신축 | 대 | 1962년 1월 6일 | 갑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