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은행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프로배구팀에 대해서는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Industrial Bank of Korea | |
산업 분야 | 은행업 |
---|---|
창립 | 1961년 8월 1일 |
시장 정보 | 한국: 024110 (1994.11.30 상장) |
국가 | ![]()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79 (을지로2가) |
핵심 인물 | 김도진 (은행장) |
사업 내용 | 국내은행 |
자본금 | 3,289,755,675,000원 (2018.12) |
매출액 | 17,871,429,591,333원 (2018) |
영업이익 | 2,396,434,727,066원 (2018) |
순이익 | 1,764,277,856,695원 (2018) |
자산총액 | 289,509,448,859,360원 (2018) |
주요 주주 | 기획재정부 외 특수관계인: 56.36% 국민연금공단: 7.94% |
자회사 | IBK캐피탈 IBK연금보험 IBK저축은행 IBK자산운용 IBK신용정보 IBK서비스 |
종업원 | 13,150명 (2018.12) |
웹사이트 | IBK기업은행 홈페이지 |
중소기업은행(中小企業銀行, Industrial Bank of Korea, IBK)은 1961년 7월 제정된 중소기업은행법 제1조[1]에 따라 중소기업인을 위하여 설립된 국책 특수은행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 업무를 수행한다. 명칭으로는 중소기업은행, 기업은행, IBK기업은행 등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2005년 3월 2일부터는 우체국에서 거래시 자행취급을 받는다.[2]
목차
연혁[편집]
- 1961년: 농업은행의 도시 지역 지점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은행 창립
- 1967년: 중소기업 신용보증업무 개시
- 1982년: 중소기업금융채권 발행
- 1994년: 증권거래소 상장
- 1997년: 정부투자기관에서 정부출자기관 전환
- 1999년: IBK캐피탈 설립
- 2008년: IBK투자증권 설립
- 2012년 1월: 기타공공기관 지정 해제
- 2013년 7월: IBK저축은행(구 예솔저축은행) 출범
- 2014년 1월: 기타공공기관 지정 재개
- 2015년 12월: 나라사랑카드 발급 시작
조직[편집]
- 감사
이사회[편집]
은행장[편집]
- 준법감시인
- IBK경제연구소
- 기업고객그룹
- CIB그룹
- 개인고객그룹
- 카드사업그룹
- 신탁사업그룹
- 미래채널그룹
- 글로벌·자금시장그룹
- 부산·울산·경남그룹
- 충청·호남그룹
- 소비자브랜드그룹
전무이사[편집]
- 경영전략그룹
- 여신운영그룹
- 경영지원그룹
- IT그룹
- 리스크관리그룹
영업점[편집]
국내 지점(2019년 6월 말)[편집]
지점 및 출장소: 644개
국외 지점(2017년 6월 말)[편집]
지점: 뉴욕(미국), 도쿄(일본), 홍콩(중국), 런던(영국), 호치민(베트남), 하노이(베트남), 뉴델리(인도), 마닐라(필리핀)
사무소: 양곤(미얀마), 자카르타(인도네시아), 프놈펜(캄보디아)
기업은행(중국)유한공사 총행: 톈진, 칭다오, 선양, 엔타이, 쑤저우, 선전, 우한, 베이징
IBK 카드[편집]
IBK 카드는 비씨카드 회원사이며, 자체카드는 취급하지 않으며 비씨만 발행하고있다. 은행권과 증권사의 카드들은 제휴금융기관의 현금카드 탑재가 가능하며 포인트는 탑포인트이다.
취급카드(비씨카드)[편집]
발급기관[편집]
역대 기업은행장[편집]
제19대 이경재 1998-2001
제20대 김종창 2001-2004
제21대 강권석 2004-2007
제22대 윤용로 2007-2010
제23대 조준희 2010-2013
제24대 권선주 2013-2016
제25대 김도진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