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나기 무네요시
야나기 무네요시 | |
---|---|
| |
출생 |
1889년 3월 21일 도쿄 |
사망 |
1961년 5월 3일 도쿄 |
사인 | 병사 |
국적 | 일본 |
학력 | 1913년 도쿄 제국 대학 |
직업 | 민예 연구가 |
종교 | 기독교 |
야나기 무네요시(일본어: 柳宗悅, 1889년 3월 21일 ~ 1961년 5월 3일)는 일본에서 민예운동을 일으킨 사상가이자 연구가로, 미술평론가이다.
학습원(學習院) 고등부에 재학할 때 문예지 《시라카바》(白樺)를 만들었다. 1913년 도쿄 제국 대학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유럽 유학 후 귀국하여 1919년에서 1923년까지 도요 대학에서 종교학 교수로 있었다. '사라지는 한 조선 건축물에 대하여'를 1922년 《개조》(改造) 9월호에 발표하는 등의 논설 활동을 했고,[1] 1924년 서울에 조선 민속 미술관을 세우고 이조 도자기 전람회를 개최했다. 한국의 전통 미술 및 공예품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이에 대한 평론 및 수집을 하였다. 한국의 미를 설명하면서 한국 민족의 특성을 심도있게 분석하였다. 민예학에 조예가 깊었는데 그 대표적인 성과가 1936년 도쿄도 메구로 구에서의 민예관 설립이다. 일제 강점기 광화문 철거 당시 철거를 강력하게 반대하여 타국의 문화유산에 대한 가치와 존중을 표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 1984년 9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2]
주요 저서[편집]
- 수공의 일본
- 나무아미타불
- 차(茶)와 미(美)
- 민예 40년
- 공예로의 길
- 미(美)의 법문
- 야나기 무네요시 다도논집
- 야나기 무네요시 묘호인논집
- 야나기 무네요시 수필집
- 공예문화
- 수집 이야기
- 조선을 생각한다
- 야나기 무네요시 선집 (전 10권)
- 신(神)에 대하여
- 조선과 그 예술
- 다도와 일본의 미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일본어) 일본 민예관(日本民藝館)
- (일본어)시라카바 문학관(白樺文學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