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구 갑
노원구 갑 | |
---|---|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 |
현 선거구 | |
신설연도 | 1988년 |
국회의원 | 고용진(더불어민주당) |
의원 수 | 1인 |
이전 선거구 | 도봉구 |
중복되는 선거구 |
서울 노원구 갑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일부 지역을 관할한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의 고용진(재선, 2016년~)이다.
역사[편집]
선거구[편집]
1988년 제13대 총선부터 신설되었다. 1988년 1월 1일 도봉구의 도봉동·상계동·하계동·중계동·월계동·공릉동·창동이 노원구로 분리 신설되었기에, 1988년 이전에는 도봉구 지역구의 일부였다.
1988년 노원구 갑의 선거 관할 지역은 창동, 월계동, 공릉동이었으며[1] 나머지 도봉동과 상계동, 중계동, 하계동 지역들은 노원구 을로 묶였다. 이듬해 1989년 도봉동과 창동이 도봉구로 다시 환원되면서 창동은 도봉구 병으로 편입되었다. 따라서 1992년 제14대 총선에서 선거구 개편이 이뤄졌다. 노원구 을에서 하계동과 중계동을 편입시키면서 월계동,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노원구 을에는 나머지 상계동 지역만 남게 되었다.
같은해 7월 중계1동이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4동으로 분리됨에 따라, 1996년 제15대 총선에서는 중계본동, 중계2·3동만 남기고 중계1동과 4동은 노원구 을로 넘겼으며, 월계4동 (1994년 신설)이 관할 구역으로 추가되었다. 2000년 제16대 총선에서는 공릉3동 (1996년 신설)이 관할 구역으로 추가되었다.
2004년 제17대 총선에서 '노원구 병'이 신설됨에 따라 경계 조정이 다시 이뤄졌다. 하계동과 중계본동, 중계2·3동을 노원구 을로 넘겼으며, 반대로 노원구 을의 상계동 일대가 노원구 병으로 넘어갔다. 이후로는 월계4동과 공릉 3동이 사라진 것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 없이 월계동과 공릉동을 묶은 지역구로 유지되고 있다.
관할 구역[편집]
대수 | 관할 구역 |
---|---|
13대 | 노원구 창1동, 창2동, 창3동, 월계1동, 월계2동, 공릉1동, 공릉2동 |
14대 | 노원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2동, 하계1동, 하계2동, 중계1동, 중계2동, 중계3동 |
15대 | 노원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월계4동, 공릉1동, 공릉2동,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2동, 중계3동 |
16대 | 노원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월계4동, 공릉1동, 공릉2동, 공릉3동,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2동, 중계3동 |
17대 | 노원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월계4동, 공릉1동, 공릉2동, 공릉3동 |
18대 | 노원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월계4동, 공릉1·3동, 공릉2동 |
19대 ~ 현재 | 노원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2동 |
역대 국회의원[편집]
선거 | 의원 | 정당 | |
---|---|---|---|
1988 | 백남치 | 통일민주당 | |
1992 | 민주자유당 | ||
1996 | 신한국당 | ||
2000 | 함승희 | 새천년민주당 | |
2004 | 정봉주 | 열린우리당 | |
2008 | 현경병 | 한나라당 | |
2012 | 이노근 | 새누리당 | |
2016 | 고용진 | 더불어민주당 | |
2020 | 더불어민주당 |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 선거 결과 | 후보 | 정당 | 득표 | % | ±% | ||
---|---|---|---|---|---|---|---|---|
1988년 제13대 총선 유권자수: 134,013 투표수: 90,993 | 통일민주당 승리 | 백남치 | 통일민주당 | 25,699 | 28.46 | |||
박병일 | 평화민주당 | 24,602 | 27.25 | |||||
안대륜 | 민주정의당 | 21,754 | 24.09 | |||||
성정기 | 신민주공화당 | 10,640 | 11.78 | |||||
류인태 | 한겨레민주당 | 7,575 | 8.39 | |||||
1992년 제14대 총선 유권자수: 181,137 투표수: 123,116 | 민주자유당 승리 | 백남치 | 민주자유당 | 42,487 | 34.91 | |||
고영하 | 민주당 | 40,517 | 33.29 | |||||
박병일 | 통일국민당 | 38,684 | 31.78 | |||||
1996년 제15대 총선 유권자수: 198,266 투표수: 121,049 | 신한국당 승리 | 백남치 | 신한국당 | 43,859 | 36.77 | |||
고영하 | 새정치국민회의 | 41,906 | 35.13 | |||||
박병일 | 자유민주연합 | 18,529 | 15.53 | |||||
유영래 | 통합민주당 | 11,503 | 9.64 | |||||
박남수 | 무소속 | 3,479 | 2.91 | |||||
2000년 제16대 총선 유권자수: 215,106 투표수: 118,631 | 새천년민주당 승리 | 함승희 | 새천년민주당 | 50,745 | 43.17 | |||
최동규 | 한나라당 | 42,772 | 36.38 | |||||
백남치 | 자유민주연합 | 11,491 | 9.77 | |||||
이상현 | 민주노동당 | 7,931 | 6.74 | |||||
정창인 | 민주국민당 | 2,422 | 2.06 | |||||
박희택 | 청년진보당 | 2,184 | 1.85 | |||||
2004년 제17대 총선 유권자수: 136,263 투표수: 87,597 | 열린우리당 승리 | 정봉주 | 열린우리당 | 36,992 | 42.69 | |||
현경병 | 한나라당 | 26,496 | 30.58 | |||||
함승희 | 새천년민주당 | 23,154 | 26.72 | |||||
2008년 제18대 총선 유권자수: 143,108 투표수: 70,233 | 한나라당 승리 | 현경병 | 한나라당 | 29,010 | 41.58 | |||
정봉주 | 통합민주당 | 26,251 | 37.62 | |||||
함승희 | 친박연대 | 12,098 | 17.34 | |||||
김의열 | 진보신당 | 1,795 | 2.57 | |||||
위인규 | 평화통일가정당 | 613 | 0.87 | |||||
2012년 제19대 총선 유권자수: 143,388 투표수: 82,314 (57.4%) | 새누리당 승리 | 이노근 | 새누리당 | 40,865 | 50.06 | |||
김용민 | 민주통합당 | 36,083 | 44.20 | |||||
우승배 | 무소속 | 2,913 | 3.56 | |||||
김철수 | 자유선진당 | 1,761 | 2.15 | |||||
2016년 제20대 총선 유권자수: 140,642 투표수: 87,604 (62.3%) | 더불어민주당 승리 | 고용진 | 더불어민주당 | 36,205 | 41.79 | |||
이노근 | 새누리당 | 34,109 | 39.37 | |||||
이형남 | 국민의당 | 16,309 | 18.82 | |||||
2020년 제21대 총선 유권자수: 138,917 투표수: 96,033 | 더불어민주당 승리 | 고용진 | 더불어민주당 | 53,911 | 56.78 | |||
이노근 | 미래통합당 | 36,782 | 38.74 | |||||
최나영 | 민중당 | 3,761 | 3.96 | |||||
조덕실 | 국가혁명배당금당 | 487 | 0.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