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페이
한페이
| |
---|---|
![]() | |
한페이 일반용 (초기 생산분, 단종됨.)
| |
주 사용지역 | 광주 |
호환 사용 | 서울 · 인천 · 울산 · 대구 · 대전 · 세종 · 경기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제주 등 |
주 발급자 | 한페이시스 |
사용 기간 | 2011년 4월부터 |
http://www.hanpay.net/ |
한페이(Hanpay)는 롯데정보통신, 마이비카드, 광주은행이 공동 출자하여 설립한 한페이시스에서 발행하는 교통카드이다. 본사는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에 있다.
역사[편집]
2008년, 국토해양부의 "One card, All pass" 정책의 시행을 위해 시범 사업으로 선정되어[1][2], 2011년 4월에 출시하였다.
2012년 2월 27일부터 3월 31일까지 34일간 기존 빛고을카드를 한페이로 무상 교환하는 첫 행사를 실시하였다.[3] 광주광역시에서는 한페이의 사용률을 높이기 위해, 첫 교환 행사를 한 후에도 광주 일대에서 수시로 기존 빛고을카드를 한페이로 무상 교환하는 이벤트를 실시했다.[4] 그러나 아직까지 마이비카드를 광주에서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데다가, 타 지역 호환이 지연되고 있어서 사용률이 높지 않다.[5] 당초 국토교통부의 정책에 따라 2014년 9월부터 서울·인천·경기도 지역에서 호환 사용이 가능하게 할 예정이었지만, 민간투자 사업자가 운영하는 대중교통 구간의 요구사업비 과다로 호환 사용이 지연됐다.[6]
반면 다른 지역 사업자와는 호환 협상이 쉽게 이루어져 대구광역시의 유페이먼트(현 DGB유페이)와 상호 호환 사용 협정을 체결하였으며,[7] 2014년 12월 23일부터 서울·인천·경기도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호환 사용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8]
2013년 1월에는 캐시비와 티머니처럼 교통안심카드를 출시했다.[9] 한페이시스 치평동 본사 고객센터에서만 판매한다.
2015년 10월, 티머니의 강원·광주 호환과 한페이·원패스의 수도권 호환 협상이 타결되어 2016년 1월 30일부터 수도권에서 한페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10]
2016년 1월 티머니 및 수도권 상호 호환을 맞이하여 새로운 디자인의 일반형 카드를 출시함과 동시에, 공카드 가격을 4,000원에서 2,500원으로 인하하였다.[11]
사용 안내[편집]
- 단일권종은 없으며, 일반용 카드, 청소년·어린이 우대용 카드로 각각 나누어 판매하고 있다.
- 카드 구입 후 10일 이내에 반드시 한페이카드 인터넷 웹사이트에 등록해야 이후에도 할인 요금이 적용된다. 그렇지 않으면 일반 요금이 지불된다.
대중 교통[편집]
- 버스 : 광주, 서울, 인천, 대전, 대구, 부산, 울산, 세종, 경기도, 전라북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남도, 강원도, 경산시, 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영천시, 포항시, 고령군, 칠곡군, 성주군, 청도군) 등
- 도시철도 : 광주 도시철도, 수도권 전철, 대전 도시철도, 대구 도시철도, 부산 도시철도
- 택시 : 광주광역시, 나주시의 일부 택시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된 지역[편집]
매장[편집]
- 한국도로공사 요금소에서 고속도로 통행료 지불. 하이패스 단말기(OBU)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는 없고, 직접 요금소에서 통행권과 함께 제시하여 지불할 수 있다.[12] 하이패스 겸용 한페이가 이를 보완하여 출시되었다.
- 한국철도공사 철도 역사에서 철도 승차권 구입. 단, 명절 특송 기간에는 이용할 수 없으며, 이는 한페이뿐만 아니라 모든 선불교통카드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사항이다.
- 전국 세븐일레븐·미니스톱·이마트24 편의점
- 호남지역 CU편의점
- 전남지역 GS25
- 전국 롯데마트 매장
발급종류[편집]

단일 권종이 아니며, 권종 구분은 일반·청소년·어린이 3가지로 나뉜다.
- 기본형 : 일반 신용카드 크기다. 한때 단종되었다가, 2016년 1월 30일 수도권 호환을 앞두고 디자인을 리뉴얼한 후 재출시했다. 1장당 4,000원에 판매했으나, 2016년 1월에 재출시하면서 2,500원으로 인하했다.
- 미니카드형 : 위 개괄표의 사진과 같은 기본형 카드는 출시 초기에만 생산했다가 한동안 나오지 않았으며, 대부분 미니카드 형태로만 제작·판매하고 있다. '한페이 하이패스'만 하이패스용 단말기(OBU) 장착을 위해 일반 신용카드 크기 카드로 제작하고 있다. 4,000원에 판매한다.
- 액세서리형 : 미니카드형, 휴대전화 고리형 등이 있다.
- 모바일카드 : 한페이가 탑재된, 또는 교통카드 후탑재형 USIM카드를 휴대전화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KT의 MVNO인 에넥스텔레콤에서 NFC용 USIM카드로 베타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나, 상용서비스는 실시하지 않았다.
- 교통안심카드 : 분실했을 때 정지 기능이 있는 카드로, 한페이시스 치평동 본사 고객센터에서 4,000원에 구입할 수 있다. 티머니의 '대중교통 안심카드', 캐시비의 'bee TOKEN', 원패스 대중교통안심카드같은 다른 분실 정지 기능이 있는 선불교통카드와 마찬가지로, 한페이 교통안심카드 또한 한페이 홈페이지에 환불 정보를 미리 등록해야 한다.
- 한페이 하이패스: 기존 하이패스 플러스 카드·후불 하이패스 카드는 하이패스용 단말기(OBU)에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요금소에서 직접 지불할 수만 있으며 다른 대중교통에는 사용할 수 없고, 반대로 일반적인 교통카드는 하이패스 단말기(OBU)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없었으나, 한페이 하이패스는 하이패스 단말기(OBU)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존 한페이나 하이패스 플러스 카드·후불 하이패스카드처럼 요금소에서 직접 지불할 수도 있다. 기존 하이패스 플러스 카드와 같은 5,000원에 판매한다. 이 카드는 한페이 충전소에서 잔액을 충전하여 충전 금액을 하이패스로 공유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고속도로 휴게소·하이패스 무인 충전기같은 하이패스 충전소에서 잔액을 충전할 수 없고, 세븐일레븐이나 롯데ATM 등지에서 RF 충전판에 올려 충전한 후 이용해야 한다. 국토교통부가 규격을 지정하고 추진한 "One card, All pass" 사업의 첫 번째 상용 카드이다.[13]
- 현재 대한민국의 교통카드 중 유일하게 플레이스토어에서 내려받을 수 없다.
- 체크카드는 광주은행의 K-TEEN 카드가 유일하게 한페이를 탑재하고 있으며, 발급 수수료는 1,000원이다.
- 2011년 10월 17일에는 광주은행이 한페이를 장착한 현금카드인 광주 FREE-T 카드를 내놓았다.[14] 한페이 홈페이지에는 나와 있지 않고, 광주은행 홈페이지에 상품 안내가 있다. 지점에 재고가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문의해야 하며, 발급 수수료는 4,000원이다.
충전[편집]
- 광주지역 가두판매대
- 전국 세븐일레븐·미니스톱·이마트24 편의점
- 호남지역 CU 편의점
- 광주·전남 GS25 편의점
- 광주 도시철도 역사 내 무인 충전기
- 광주은행 자동화기기(천 원 단위) - 출시 초기에는 광주은행 계좌가 있어야 충전이 가능하였으나, 2012년 9월 6일부터 현금으로도 충전이 가능해졌다.
- 롯데그룹 롯데ATM(만 원 단위)
각주[편집]
- ↑ 광주시, 교통카드 전국호환 시범사업 테스트베드 전격 추진, 뉴스와이어 (보도자료), 2008년 7월 7일
- ↑ 교통카드 전국은 호환, 광주는 시험 중, 시민의소리, 2009년 1월 13일
- ↑ 광주 교통카드 한페이 카드 무료교환 - 뉴시스
- ↑ 광주시 교통카드 무료 교환 행사, 마이비(빛고을) → 한페이로 12월 7일까지, 광주드림, 2012년 11월 12일
- ↑ “광주 교통카드는 전국에서 왕따” #1#2 #3 - 아시아경제
- ↑ 광주시, 전국호환 교통카드 9월 시행한다더니…, 무등일보, 2014년 10월 7일
- ↑ 광주·대구 17일 교통카드 호환 협약, 광주드림, 2014년 10월 19일
- ↑ '한페이카드' 23일부터 전국에서 사용, 교통신문, 2014년 12월 23일
- ↑ 광주시, 분실시 환불 가능한 '교통 전용 안심카드' 출시, 뉴스1, 2013년 1월 31일
- ↑ 티머니 전국교통카드, 내년부터 광주·강원서도 사용 - 연합뉴스
- ↑ 한페이 카드 한장으로 서울까지 '씽씽' - 노컷뉴스
- ↑ 2011년 12월 1일부터 요금 지불이 가능하며, 일부 민간투자 사업 구간을 제외한 곳에서 통행료를 지불할 수 있다.
- ↑ 지갑 속 한 장의 카드로 전국 교통수단 이용! 전국 지자체 One Card, All Pass 대대적 호응!, 국토교통부(보도자료)
- ↑ 광주은행, 선불교통카드 '광주 FREE-T 카드' 출시 - 조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