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시의 시내버스
관리 주체 | 과천시청 교통과 |
---|---|
차적지 | 경기도 과천시 |
운행 지역 | 경기도 과천시, 서울특별시 서초구 |
노선 수 | 8 |
차량 수 | 14 |
웹사이트 | 과천시 버스 시각표 |
과천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 과천시 지역 대중교통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교통수단으로, 과천시 안전도시국 교통과에서 그 관리를 맡고 있다. 시내버스 업체 중 과천 지역에 연고를 둔 시내버스 업체는 과천여객이 유일하며, 과천시의 지리적인 특성상 서울이나 안양 등 타 지역의 시내버스가 이 지역을 경유하는 경우가 많다. 마을버스 업체로는 과천운수가 유일하다.
시내버스[편집]
과천시 최초 시내버스 업체인 과천여객이 설립되어 2016년 3월 7일에 6번 노선을 운행 개시하였다.
마을버스[편집]
과천운수가 과천시 내 마을버스의 운행을 담당하고 있다. 기존에는 과천시청 교통과에서 직접 운행하는 과천시영버스가 있었으나, 2015년 3월 1일부터 과천운수가 기존의 시영버스 노선 또한 함께 운행하게 되었다.
운수업체[편집]
시내버스[편집]
2021년 11월 기준이다.[1]
운행업체 | 보유 노선수 | 등록 대수 | ||||||||||
---|---|---|---|---|---|---|---|---|---|---|---|---|
노선 합계 | 광역급행 | 직행좌석 | 일반좌석 | 시내일반 | 마을 | 대수 합계 | 광역급행 | 직행좌석 | 일반좌석 | 시내일반 | 마을 | |
과천여객 | 4 | - | - | - | 4 | 14 | - | - | - | 14 | - | |
과천운수 | 4 | 8 | 8 |
다른 시, 군 운수업체[편집]
- 서울 : 대원여객, 우신버스, 도선여객, 구민버스 (마을버스), 청암운수 (마을버스)
- 인천 : 선진여객, 인강여객
- 광주 : 경기고속, 대원고속
- 성남 : 대원버스
- 수원 : 경진여객[2], 용남고속
- 시흥 : 시흥교통
- 안산 : 경원여객, 태화상운
- 안양 : 보영운수, 삼영운수
- 용인 : 대원상운
- 화성 : 경진여객[3], 제부여객
운임[편집]
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조조요금 (원) |
---|---|---|---|---|
일반시내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1,2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100 | 1,010 | 87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800 | 730 | 630 | |
일반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2,500 | 2,450 | 2,0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900 | 1,820 | 1,5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700 | 1,640 | 1,370 | |
직행좌석 (간선급행) |
어른 (만 19세 이상) | 2,900 | 2,800 | 2,4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000 | 1,960 | 1,68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000 | 1,960 | 1,680 | |
경기순환 | 어른 (만 19세 이상) | 3,100 | 3,050 | 2,6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200 | 2,140 | 1,8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200 | 2,140 | 1,820 | |
광역급행(M버스) | 어른 (만 18세 이상) | 2,900 | 2,800 | 2,300 |
청소년 (만 12세 ~ 17세) | 2,100 | 2,000 | 1,60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600 | 1,600 | 1,300 |
과천시의 시영버스와 마을버스의 요금은 같았었으며, 2019년 11월 23일부터 인상된 요금을 징수하고 있다. 2006년 10월 23일부터 시영버스에서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해졌다.[4] 한편, 시에서는 장애인의 요금 부담을 덜기 위해 2000년 12월 19일부터 이들에 대한 시영버스 요금을 전액 면제하고 있다.[5] 현재는 시영버스가 마을버스로 통합된 상태이다.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마을 |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 1250 | 1300 |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 880 | 1000 | |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 630 | 700 |
과천시 면허 버스 노선 목록[편집]
마을버스[편집]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1 | 과천운수 | 문원동 | → | 순환 | 과천역, 과천동주민센터, 과천시청, 정부과천청사, 과천2·3단지, 과천6단지 | 6~14 | 15:30경에는 점심시간으로 인해 배차간격이 30분까지 벌어진다. |
2 | 과천운수 | ← | 10~80 | 1번과 반대방향으로 순환. 등교시간에만 예비차를 포함하여 배차간격이 10~20분 정도이고, 점심시간에는 배차간격이 80분까지 벌어지며, 평시에는 40분정도이다. | |||
3 | 과천운수 | 과천시청 | ↔ | 벌말 | 과천역, 별양동, 찬우물, 가일 | 50~70 | |
5 | 과천운수 | 과천시청 | ↔ | 옥탑골 | 과천역, 별양동, 래미안슈르(옥탑골방향), 사기막골, 구리안, 세곡마을, 옥탑골 | 70~90 | 공사로 인하여 한시적으로만 옥탑골이 아닌 과천푸르지오어울림라비엔오에서 회차한다. |
시내버스[편집]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6 | 과천여객 | 과천시청 | ↔ | 양재역 | 정부과천청사역, 2,3,4,5,6,7,8,9,10단지, 과천성당, 선바위역, 광창마을, 삼포마을입구, 추사박물관, 원주암, 양재화물터미널, 양재시민의숲, 일동제약사거리 | 20~35 | |
7 | 과천여객 | 과천시청 | ↔ | 지식정보타운 | 과천시청, 과천여고, 과천중학교, 과천 1단지, 과천역, 2,3,4,5,6,7단지, 푸르지오어울림 라비엔오 아파트 | 평일 20~25
주말 20~35 |
지식정보타운을 들르는 최초의 과천시내 노선 |
8 | 과천여객 | 과천시청 | ↔ | 삼포·뒷골 | 과천역(과천발)/과천여고(과천행), 과천성당, 화훼단지→ 경마공원역→ 삼포→ 선바위역→ 뒷골→ 선바위역- 과천초,과천중- 시청 | 30~60 | 평일에만 운행, 화훼단지 내부와 과천초를 거친다. |
8-1 | 과천시청 | ↔ | 삼포·뒷골 | 과천역, 과천성당, 선바위역→ 렛츠런파크북문→ 삼포→ 선바위역→ 뒷골→ 선바위역- 10단지- KT- 과천시청 | 30~60 | 주말에만 운행, 화훼단지를 거치지 않고, KT방향으로 들어간다. |
타 지역 차적의 운행 노선[편집]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441 | 우신버스 | 월암공영차고지 | ↔ | 신사역 | 고천동, 호계4,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과천역, 선바위역, 양재시민의숲역, 양재역, 강남역, 신논현역, 논현역 | 4~15 | 저상버스 운행 |
502 | 우신버스 | 월암공영차고지 | ↔ | 한국은행 | 고천동, 호계4,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과천역, 남태령역, 사당역, 이수역, 동작역, 이촌역, 용산역, 삼각지역, 숙대입구역,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숭례문, 시청역 | 6~15 | 상행 서빙고역 경유 저상버스 운행 |
540 | 우신버스 | 군포공영차고지 | ↔ | 서울성모병원 | 수리산역, 군포경찰서, 호계4,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과천역, 남태령역, 사당역, 이수역, 신반포역, 구반포역, 고속터미널역 | 4~15 | 저상버스 운행 |
541 | 우신버스 | 군포공영차고지 | ↔ | 강남역 | 수리산역, 군포문예회관, 금정역, 비산4, 안양종합운동장,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과천역, 선바위역, 우면지구, (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 편도운행) | 9~17 | 저상버스 운행 |
542 | 대원여객 | 부곡공영차고지 | ↔ | 신사역 | 부곡지구, 삼성마을, 용호고교, 군포역, 금정역, 명학초교, 범계역,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과천역, 선바위역, 우면지구, 양재역, 강남역, 신논현역, 논현역 | 15~30 | 저상버스 운행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9100 | 인강여객 | 용현동 (구터미널) |
↔ | 영동고속 제2경인고속 외곽순환고속 과천봉담고속 |
↔ | 강남역 | 제물포역, 석바위, 인천시청역, 만수동, 선바위역, (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 편도운행) | 6~15 | |
9200 | 인강여객 | 송도유원지 | ↔ | 제2경인고속 외곽순환고속 과천봉담고속 |
↔ | 강남역 | 옥련동, 인하대정문, 인천지방법원·검찰청, 신동아A, 선바위역, (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 편도운행) | 5~15 | 하행 법원 미경유 |
9201 | 인강여객 | 청학동 (성호아파트) |
↔ | 제3경인 외곽순환고속 과천봉담고속 |
↔ | 강남역 | 연수구청, 삼성A, 동춘역, 동막역, 선바위역, (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 편도운행) | 40 | |
9300 | 선진여객 | 청라지구 (골드클래스) |
↔ | 부천 외곽순환고속 과천봉담고속 |
↔ | 강남역 | 청라자이A, 가정오거리, 효성동, 작전역, 신진A, 삼산동, 굴포천역, 삼산체육관역, 상동역, 복사골문화센터, 송내역, 선바위역, (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 편도운행) | 7~20 |
군포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3030 직행좌석 |
보영운수 | 군포공영차고지 | ↔ | 신사역 | 금정역, 범계역,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선바위역, 양재역, 강남역 | 15~20 | |
6501 직행좌석 |
경기고속 | 부곡공영차고지 | ↔ | 강남역 | 용호고, 산본역,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선바위역, 서초역, 교대역, 강남역, 양재역 | 20 |
성남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103 | 대원버스 | 도촌동 | ↔ | 사당역 | 매화마을, 장미마을, 야탑역(성남종합버스터미널), 판교역, 판교신도시,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역, 과천역, 남태령역 | 60 | 2011년 6월 30일 직행좌석버스 9006번에서 형간전환 |
수원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777 | 경진여객 | 수원역 | ↔ | 사당역 | 장안문, 한일타운, 파장동, 고천동, 호계4, 안양농수산물시장,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 5~7 | 2016년 2월 화성시 면허에서 수원시 면허로 전환 |
3000 직행좌석 |
용남고속 | 수원역 | ↔ | 강남역 | 팔달문, 장안문, 한일타운, 파장동, 의왕요금소, 선바위역, 서초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 | 6~13 | |
3002 직행좌석 |
용남고속 | 수원터미널 | ↔ | 강남역 | 뉴코아, 월드컵경기장, 광교웰빙타운, 성복동, 시민의숲, 양재역 | 25~40 | |
3003 직행좌석 |
용남고속 | 수원여자대학교 | ↔ | 강남역 | 권선구청, 구운동, 정자동, 동남보건대학교, 성균관대역, 의왕요금소, 선바위역, 서초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 | 10~20 | |
3007 직행좌석 |
용남고속 | 수원터미널 | ↔ | 강남역 | 권선고교, 법원사거리, 아주대학교, 월드컵경기장, 경기대후문, 시민의숲, 양재역 | 6~11 | |
7000 직행좌석 |
용남고속 | 경희대학교 | ↔ | 사당역 | 영통역, 영통입구, 아주대학교, 월드컵경기장, 경기대후문, 의왕요금소, 관문4 | 10~14 | |
7001 직행좌석 |
용남고속 | 수원터미널 | ↔ | 사당역 | 권선고교, 법원사거리, 아주대학교, 월드컵경기장, 경기대후문, 의왕요금소, 관문4 | 12~20 | |
7002 직행좌석 |
용남고속 | 수원터미널 | ↔ | 사당역 | 뉴코아, 월드컵경기장, 광교웰빙타운, 성복동, 청계동,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관문4 | 35~60 | |
7770 직행좌석 |
경진여객 | 수원역 | ↔ | 사당역 | 수원여고, 장안문, 한일타운, 파장동, 의왕요금소, 관문4 | 3~7 | 평일은 24시간 운행 (평일 기준 새벽 시간대 10분, 심야 시간대는 20~30분 간격으로 운행) |
7780 직행좌석 |
경진여객 | 수원여자대학교 | ↔ | 사당역 | 권선구청, 구운동, 정자동, 이목동, 의왕요금소, 관문4 | 8~13 | |
7790 직행좌석 |
경진여객 | 수원대학교 | ↔ | 사당역 | 수영리, 호매실,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의왕요금소, 관문4 | 11~30 | |
7800 직행좌석 |
경진여객 | 수원대학교 | ↔ | 사당역 | 동화리, 호매실,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의왕요금소, 관문4 | 7~25 | |
7900 직행좌석 |
경진여객 | 수원여자대학교 | ↔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 권선구청, 호매실, 구운동, 정자동, 동남보건대학교, 의왕요금소, 순천향대학병원, 명동, 종로2가→광화문광장→서울역 환승센터 | 20~30 |
안양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1-1 | 삼영운수 | 월암동공영차고지 | ↔ | 사당역 | 의왕역, 고천동, 오전동, 계원예술대학교, 포일단지,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 8~10 | |
9 | 삼영운수 | 충훈부 | → | 충훈부 | 석수아이파크A, 안양1번가, 비산4, 안양종합운동장, 관양동,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사당역, 서울대입구역, 신림역, 석수역, 관악역 | 8 | 시계반대방향 순환 |
9-3 | 삼영운수 | 충훈부 | → | 충훈부 | 석수아이파크A, 관악역, 석수역, 신림역, 서울대입구역, 사당역, 정부과천청사, 인덕원역, 관양동, 안양종합운동장, 비산4, 안양1번가 | 9 | 시계방향 순환 |
11-2 | 보영운수 | 군포공영차고지 | ↔ | 갯마을앞 (정금마을) |
수리산역, 산본주공3.2단지, 산본역, 금정역, 비산4, 안양종합운동장, 관양동,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사당역, 이수역, 경문고교 | 8 | 저상버스 운행 |
11-3 | 보영운수 | 창박골 | ↔ | 종합운동장역 | 안양1번가, 비산4, 안양종합운동장, 관양동,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선바위역, 양재역, 삼성역 | 6~10 | |
11-5 | 보영운수 | 군포공영차고지 | ↔ | 갯마을앞 (정금마을) |
수리산역, 산본공고, 군포문예회관, 금정역, 호계4, 평촌고교, 범계역, 샛별단지,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사당역, 이수역, 경문고교 | 6~10 | |
917 | 보영운수 | 군포공영차고지 | ↔ | 종합운동장역 | 수리산역, 산본공고, 군포문예회관, 금정역, 명학초교, 호계도서관, 범계역, 샛별단지,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선바위역, 양재역, 삼성역 | 25~50 |
용인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7007-1 직행좌석 |
평택버스 |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
↔ | 여의도 (한국거래소) |
오리역, 미금역,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과천, 사당역, 이수역, 63빌딩, 여의도역, 국회의사당역→여의도공원→여의나루역 | 30~60 |
화성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1002 직행좌석 |
제부여객 | 제부도 입구 | ↔ | 사당역 | 서신, 사강, 남양 우림아파트, 대야미, 당동, 한세대학교, 고천동, 의왕요금소 | 60~90 | 과천 내 무정차 |
1006 직행좌석 |
경진여객 | 수원대학교 | ↔ | 강남역 | 봉담휴먼빌, 동화초중교, 봉담2LH단지, 의왕요금소, 선바위역, 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 | 40~80 | 2020년 7월 13일 신설 |
1008 직행좌석 |
제부여객 | 현대기아연구소 | ↔ | 사당역 | 화성시청, 비봉면, 매송면, 의왕요금소 | 30~60 | 과천 내 무정차 |
8155 직행좌석 |
경진여객 | 조암터미널 | ↔ | 사당역 | 발안, 향남환승터미널, 봉담읍 행정복지센터, 의왕요금소 | 20 | 과천 내 무정차 |
광역급행버스[편집]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M6405 | 인강여객 | 송도국제도시 | ↔ | 제3경인고속화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
↔ | 교대역 강남역 양재역 |
웰카운티, 센트럴파크역, 해양경찰청, 풍림A | 20~30 | |
M6410 | 경원여객 | 미추홀외국어고등학교 | ↔ | 제3경인고속화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
↔ | 서초역 강남역 양재역 |
한화에코메트로, 인천논현역, 선바위역, 양재시민의숲역 | 7~15 |
기타[편집]
과천시는 지난 2009년 12월 모두 2억 3000만원을 들여 마을버스 정류 14개소에 버스도착 정보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6] 시에서는 또한 안전운행을 위해 시영버스 5대에 실명제를 도입, 시행하고 있다고 2009년 12월 26일 밝혔다.[7]
각주[편집]
- ↑ 버스 등록 현황, 경기도청, 2021년 3월 29일 작성.
-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화로 220 (서둔동 9-5) 소재.
- ↑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조암남로 3-3 (조암리 340-12, 조암터미널) 소재. 수원시 면허의 경진여객과 동일한 회사이다.
- ↑ “과천 시영버스 교통 카드 요금 지불 가능”. 뉴시스. 2006년 11월 13일. 2010년 8월 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과천시, 시영시내버스 요금 장애인 면제”. 국민일보. 2006년 11월 13일. 2010년 8월 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과천시, 교통정보시스템 14곳 설치”. 뉴시스. 2009년 12월 9일. 2010년 8월 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과천시 운전기사 실명제 시영버스”. 뉴시스. 2009년 12월 26일. 2010년 8월 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