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역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역사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 영천관리역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금완로 98 |
좌표 |
북위 35° 57′ 34″ 동경 128° 56′ 21″ / 북위 35.959512° 동경 128.939282° |
개업일 | 1918년 11월 1일 |
종별 | 관리역 |
등급 | 2급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노선 | |
대구선 | |
가천 기점 29.0 km | |
| |
| |
중앙선 | |
청량리 기점 331.5 km | |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 | |
지정번호 | 국가등록문화재 제50호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891 |
제작시기 | 1937년 |
비고 | 2003년 1월 28일 지정 |
영천역(永川驛)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중앙선과 대구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의 급수탑은 1937년에 세워진 것이다. 그 보존 상태가 양호할 뿐 아니라 급수탑에 한국 전쟁 당시의 총탄 자국이 남아있어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중앙선 영주, 안동 방면에서 대구선으로 직결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북영천역에 정차한 뒤에, 이 역을 경유하지 않고 북영천삼각선을 따라 바로 대구선으로 진입한다. 2022년 6월에 중앙선 복선 전철화 구간이 완공되면 신 역사로 오픈할 예정이다.
연혁[편집]
- 1918년 11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2]
- 1938년 7월 1일 : 표준궤로 개량[3]
- 1941년 3월 1일 : 역사 준공
- 1971년 9월 10일 : 무연탄 화물 도착역 지정[4]
- 1985년 6월 1일 : 북영천, 송포신호장 통합 관리
- 1995년 11월 27일 : 현재의 역사 준공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2009년 10월 31일 : 화물 취급 중지[5]
- 2022년 6월 : 중앙선 복선 전철화 구간이 완공되면 신 역사로 오픈할 예정
역 구조[편집]
역 방면이 1번 승강장이며 쌍섬식 승강장이 있으나 실제로 사용하는 승강장은 1/2번 승강장만 사용한다.
승강장[편집]
↑건천 |
| 12 | | | 3 |
신녕(중앙선)↓/하양(대구선)↓ |
1 · 2 | 동해선·중앙선 | 무궁화호 | 부전 · 포항 · 영주 · 태화강 · 동대구 방면 |
---|---|---|---|
3 | 사용하지 않음 |
인접한 역[편집]
이 역에 정차하는 열차는 대부분 동대구역을 기점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서울로 가는 열차는 청량리역까지 운행하는 부전발 중앙선경유 무궁화호가 왕복 2회 있다.
대구선 · 중앙본선 | ||
---|---|---|
하양 동대구 방면 |
무궁화 동해선 |
건천 포항 방면 |
하양 동대구 방면 |
무궁화 동해선 |
서경주 부전 방면 |
중앙본선 | ||
신녕 청량리 방면 |
무궁화 중앙선 |
서경주 부전 방면 |
의성 강릉 방면 |
무궁화 영동선 |
경주 부전 방면 |
사진[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영천역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한국철도공사 영천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