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역

![]() 역사 전경 | ||
![]() 승강장에서 바라본 역사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충북지역괸리단 오송관리역 | |
소재지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청주역로 363 | |
좌표 | 북위 36° 38′ 48.17″ 동경 127° 23′ 29.87″ / 북위 36.6467139° 동경 127.3916306° | |
개업일 | 1921년 11월 1일 | |
종별 | 보통역 | |
등급 | 3급 |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
노선 | ||
충북선 | ||
조치원 기점 11.4 km | ||
|
청주역(Cheongju station, 淸州驛)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있는 충북선의 철도역이다. 역 입구의 역명판이 코레일체가 아니다. 역명이 보여주는 대표성처럼, 청주시의 철도수송을 담당하고 있으나, 충북선이 여러 차례 청주시 외곽으로 이설되면서 청주역도 상당구 북문로2가 및 우암동을 거쳐, 현재는 시 외곽에 위치하고 있다. 왕복 총 24편의 열차가 정차하나, 서울로 직결 운행하는 열차가 두 편성[1]밖에 없고, 시가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이용객은 청주시의 인구에 비해 이용객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 충청북도에서 수도권 전철을 청주공항역까지 운행하자는 요구를 하고 있으며, 2011년 11월 1일에 이 역을 경유하는 것으로 확정[2]되었다. 2011년 7월 이 역에서 관리하던 충북선 소재 10개역이 오송역에 흡수 통합되면서 관리역으로서의 역할을 내주게 되었다. 2015년 6월 2일부터 중부내륙순환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고 있다.
역 정보[편집]
1일 상·하행 각 3편(왕복 6편)의 누리로와 1일 상·하행 각 7편(왕복 14편)의 무궁화호, 1일 상·하행 각 1편(왕복 2편)의 중부내륙순환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대부분의 열차는 제천역과 대전역이 기·종점으로 운행되나 1일 상·하행 각 2편(왕복 4편)은 동대구역과 영주역까지 운행한다. 그리고, 1일 상·하행 각 2편(왕복 4편)만 서울역이 기·종점이므로 이외의 시간대에 서울역 및 용산역으로 가려면 오송역이나 조치원역 등지에서 환승해야 한다.
역사[편집]
개요[편집]
청주역은 충북선 영업 초기에는 현재의 청주시청 부근에 위치하고 있어서 청주시의 중심 역으로 이용객이 많은 역이었다. 이후 1968년 청주시 내의 곡선 노선이 개선되어 북쪽으로 약 2km 정도 떨어진 우암동에 있는 구 청주문화방송 자리로 역을 이전했다. 그 후, 다시 1980년에는 충북선 복선화 공사 완공으로 정봉역과 오근장역이 직선에 가깝게 이어져 충북선이 완전히 청주시내 외곽으로 이전해, 정봉역과 통합하여 그 자리로 이전하였다. 이로 인해 자연히 시내와의 거리도 멀어져 점점 발길을 찾는 사람들이 뜸해지게 되었다. 충북선으로 단 한 정거장 다음 역이 KTX와 연계되는 오송역이다.
연혁[편집]
- 1921년 11월 1일 : (조선중앙철도주식회사)역으로 영업개시(청주군 청주면 본정4정목)
- 1946년 5월 1일 : 사철 국유화로 국철에 편입
- 1968년 11월 8일 : 충북선 청주시내 구간 이설, 우암동 261번지로 역사 이전[3]
- 1980년 10월 17일 : 충북선 복선화로 도심구간이 이설되어 정봉역과 통합, 현 위치로 이전
- 2009년 11월 : 역 광장에 시내버스 택시 승강장 설치[4]
- 2010년 3월 31일 : 충북선 누리로 개통으로 운행 개시
- 2010년 5월 27일 ~ 2010년 6월 15일 : 청주역 광장 소나무 네이밍 공모전 실시[5]
- 2011년 7월 : 청주역이 관리하던 충북선 소재 10개역이 오송역에 흡수 통합되어 보통역이 됨
- 2012년 9월 17일 : 누리로 운행 종료
- 2014년 5월 1일 : 충북종단열차 개통으로 운행 개시
- 2015년 6월 2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개시
- 2015년 12월 31일 : 충북선 누리로 운행 재개
- 2016년 7월: 청주시청 인근에 구 청주역사 복원 착공[6]
- 2016년 12월 9일 : 누리로 운행종료
- 2017년 12월 : 구 청주역사 복원 준공[7]
- 2018년 7월 1일 : 충북선 1281, 1282열차 누리로 운행 개시
- 2020년 2월 3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중지
- 2020년 3월 2일 : 충북선 누리로 운행 중지 및 무궁화호 전환 운행
승강장[편집]
↑ 오송 |
| 1 | | 2 | |
오근장 ↓ |
1 | 충북선 | 무궁화호 | 조치원·대전·서울 방면 |
---|---|---|---|
2 | 증평·충주·제천 방면 |
인접한 역[편집]
충북선 | ||
---|---|---|
오송 대전 방면 |
무궁화 충북선 |
오근장 제천 방면 |
각주[편집]
- ↑ 오전에는 상행 누리로와 하행 중부내륙순환열차가, 오후에는 상행 중부내륙순환열차와 하행 누리로가 정차한다.
- ↑ 수도권 전철 연결 노선 최종 확정《대전일보》2011.11.1
- ↑ 철도청 고시 제69호(1968.10.29)
- ↑ 청주역 택시, 버스 승강장 설치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CBS청주기독교방송》 2009년 11월 4일
- ↑ "청주역 광장 소나무 이름 지어주세요", 《뉴시스》 2010년 5월 27일
- ↑ 변우열 (2016년 3월 9일). “청주 근현대 상징 '50년 전 청주역' 복원…올 연말 완공”. 연합뉴스. 2018년 7월 3일에 확인함.
- ↑ 임동빈 (2017년 12월 13일). “청주 근현대 상징 '복원된 50년 전 청주역사' 눈길”. 충청일보. 2018년 7월 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