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역
![]() 역사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영주관리역 |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선비로 64 | |
좌표 | 북위 36° 48′ 39.37″ 동경 128° 37′ 32.69″ / 북위 36.8109361° 동경 128.6257472° | |
개업일 | 1941년 7월 1일 | |
종별 | 관리역/지역본부 소재역 | |
등급 | 1급 | |
승강장 구조 | 3면 5선 (쌍섬식) |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
노선 | ||
중앙선 | ||
청량리 기점 188.3 km | ||
| ||
영동선 | ||
영주 기점 0.0 km | ||
| ||
| ||
경북선 | ||
김천 기점 115.0 km | ||
| ||
|
영주역(Yeongju station, 榮州驛)은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에 있는 중앙선과 영동선, 그리고 경북선의 철도역이다. 한국철도공사 경북본부의 관리역으로, 이 역을 지나가는 무궁화호 전 열차가 정차하고, 객·화차 사무소, 보선사무소, 기관차사무소 등이 자리잡고 있다.
현재 안동 이남 구간에는 아직 가공전차선이 없기 때문에, 기관차사무소가 있는 이곳에서 전기기관차로 견인해서 운행하는 모든 열차를 디젤기관차로 교체한다. 따라서 중앙선의 경우 다음역인 안동역부터 중앙선이 끝나는 경주역까지는 전차선이 없기 때문에 경북선과 마찬가지로 운행하게 되며, 디젤견인 열차의 경우, 모든 열차가 이 역에서 전기기관차로 교체한다. 운행선 변경 전 당역부터 가공전차선이 없었기에 기존 청량리 - 안동 노선에 들어갔던 새마을호가 퇴역한 후, ITX-새마을 열차는 자연히 안동역에서 영주역으로 단축됐다.
분기 형태는 전라선과 경전선의 분기역인 순천역처럼 크로스형 분기로 되어 있다.
경북권 전체에서 규모가 가장 큰 역이자, 경상북도 북부권의 철도교통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중앙선의 복선전철 및 고속화 사업이 결정되면서 경북 북부권 철도 교통 중심지로서의 기능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역무실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할 수 있다.
무궁화호는 심야에 4편성이 주박한다.
역사[편집]
- 1941년 7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1]
- 1953년 3월 28일 : 사무관역으로 승격
- 1962년 1월 11일 : 서기관역으로 승격
- 1967년 12월 20일 : 현 위치에 역사 준공
- 1971년 9월 10일 : 무연탄 화물 도착역 지정[2]
- 1973년 12월 23일 : 시가지 확장으로 중앙선·영동선의 이설과 함께 영주동 중앙시장 부근에서 현재의 휴천동으로 역사를 이전
- 1988년 11월 1일 : 새마을호 운행 개시
- 1997년 4월 15일 : 거점 관리역으로 지정
- 1999년 1월 1일 : 지역 관리역으로 변경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2006년 7월 1일 : 조직 개편으로 경북북부지사 관할역이 됨
- 2013년 4월 12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백두대간협곡열차 운행 개시
- 2014년 5월 1일 : 충북 종단열차 운행 개시
- 2014년 11월 1일 : 새마을호 운행 중지 및 ITX-새마을 운행 개시
- 2015년 10월 30일 : 중앙선 도담 - 영천 복선전철 착공식을 영주역 광장에서 실시[3]
- 2016년 4월 28일 : 경북선 예천 - 어등 구간 이설로 김천 기점 115.2km에서 115.0km로 변경[4]
- 2018년 3월 23일 : ITX-새마을 운행 재개
- 2018년 6월 28일 : 청량신호소 신설과 함께 종점이 기존 강릉에서 청량신호소로 변경
- 2020년 2월 3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중지
- 2020년 3월 2일 : 노선 단축에 따라 경북선 · 영동선 상행 강릉 방면에서 동해 방면으로 변경
- 2020년 12월 17일 : 청량리 - 안동 무궁화호를 이 역까지만 운행하는 것으로 단축하고 대신 일부 열차는 누리로로 전환
- 2021년 1월 5일 : KTX-이음 운행 개시 및 ITX-새마을 폐지
승강장[편집]
↑풍기(중앙선)/↑봉화(영동선) |
2 | | | 34 | | | 56 | |
안동(중앙선)↓/예천(경북선)↓ |
2 | 중앙선 상행 | 무궁화호[5] | 단양 · 제천 · 원주 · 청량리 방면 |
---|---|---|---|
영동선 | 경북나드리열차 | 춘양 · 분천 방면 | |
경북선 | 무궁화호[6] | 김천 방면 | |
경북선 | 경북나드리열차 | 점촌 · 김천 · 동대구 방면 | |
3 | 중앙선 상행 | 무궁화호 KTX |
단양 · 제천 · 원주 · 청량리 방면 |
영동선 | 무궁화호 | 봉화 · 철암 · 동해 방면 | |
4 | 중앙선 하행 | 무궁화호 KTX |
안동 · 의성 · 하양 · 동대구 방면 |
중앙선 · 동해선 하행 | 무궁화호 | 안동 · 경주 · 태화강 · 부전 방면 | |
5▪6 | 충북선 · 경부선 | 무궁화호 | 제천 · 청주 · 대전 · 동대구 방면 |
영동선 | 백두대간협곡열차 | 봉화 · 분천 · 승부 · 철암 방면 | |
무궁화호 | 봉화 · 철암 · 동해 방면 | ||
누리로 | 동해 방면 |
사진[편집]
인접한 역[편집]
중앙선 | ||
---|---|---|
풍기 청량리 방면 |
KTX 중앙선 |
안동 안동 방면 |
풍기 청량리 방면 |
무궁화호 중앙선 |
안동 안동▪부전 방면 |
풍기 청량리 방면 |
누리로 중앙선 |
안동 안동 방면 |
경북선 | ||
예천 동대구▪김천 방면 |
경북나드리열차 경북선▪영동선 |
춘양 분천 방면 |
시·종착역 | 무궁화호 경북선 |
예천 김천 방면 |
영동선 | ||
봉화 동해 방면 |
무궁화호 영동선▪중앙선 |
안동 부전▪동대구 방면 |
시·종착역 | 누리로 영동선 |
봉화 동해 방면 |
시·종착역 | 백두대간협곡열차 | 봉화 철암 방면 |
사진[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영주역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한국철도공사 영주역
- 영주역(영주관리역) 공식 카페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