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의 시내버스
관리 주체 | 영주시청 교통행정과 새마을경제과 |
---|---|
차적지 | 경상북도 영주시 |
운행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예천군, 강원도 영월군, 충청북도 단양군 |
노선 수 | 98 |
차량 수 | 80 |
웹사이트 | 영주시 시내버스 노선 안내 봉화군의 농어촌버스 노선 안내 |
영주시의 시내버스는 경상북도 영주시와 봉화군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수단으로 운수업체로는 영주여객이 유일하다.
운임[편집]
시내 구간에서 무료 환승제를 실시하고 있다. 하차 1시간 이내에 하차한 노선과 다른 노선의 시내버스로 1회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1]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1400 | 1500 | ■일반 |
어른 (만 19세 이상) | 1100 | 120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100 | 120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800 | 900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650 | 750 | 어린이 (만 7세 ~ 12세) | 500 | 600 |
시계외 구간요금은 km당 107.84원이다.
운행 노선[편집]
영주시는 2013년 7월 1일부로 시내버스노선을 전면 개편하였다. 봉화군은 2015년 4월 11일 이후로 LED전광판을 사용하게 되었다.
시내 노선[편집]
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비고 | ||
---|---|---|---|---|---|---|
1 | 한국폴리텍6대학 | ↔ | 한국폴리텍6대학 | 시민운동장, 경북전문대학교, 영주시청, 영주역, 꽃동산, 영주우체국, 구성오거리, NH농협은행, 시의회, 영광중 → 시영아파트 → 제일고 → 주공3단지 → 영주적십자병원 → 영주시외버스터미널 → 서천교 → 영광중학교 → 이하 역순 | 약 12분 | 69회 운행 출퇴근 시간대 탄력배차 휴천 현대아파트 1회 경유 |
2 | 한국폴리텍6대학 | ↔ | 한국폴리텍6대학 | 시민운동장, 강변2차아파트, 리첼사거리, 부영아파트, 영주적십자병원, 영주시외버스터미널, 제일고, 주공3단지, 영주교, 영광중, 시의회, 장춘당약국, 구성오거리, 영주여객, 영주중 → 선영여고 → 한국철도고 → 세영첼시빌아파트 → 영주중 → 이하 역순 | 약 40분 | 19회 운행 |
2-1 | 한국폴리텍6대학 | ↔ | 한국폴리텍6대학 | 시민운동장, 강변2차아파트, 리첼사거리, 부영아파트, 영주적십자병원, 영주시외버스터미널, 제일고, 주공3단지, 영주교, 시민회관, 영주우체국, 영주여객, 영주중 → 선영여고 → 한국철도고 → 세영첼시빌아파트 → 영주중 → 이하 역순 | 2회 | |
3 | 한국폴리텍6대학 | ↔ | 한국폴리텍6대학 | 시민운동장, 리첼사거리, 강변2차아파트, 꽃동산, 영주역, 대영중고교, 영주여객, 기독병원, 영주교, 영주시법원, 영주적십자병원, 영주시외버스터미널, 제일고, 영광중, 상망동주민센터 → 세영첼시빌아파트 → 선영여고 → 한국철도고 → 경일아파트 → 장미마을 → 코아루아파트 → 화성아파트 → 상망동주민센터 → 이하 역순 | 약 17분 | 54회 운행 |
5 | 장수 | ↔ | 장수 | 한국폴리텍6대학, 시민운동장, 경북전문대학교, 휴천현대아파트, 영주시청, 영주역, 꽃동산, 영주우체국, 구성오거리, 기독병원, 영광중, 상망동주민센터 → 세영첼시빌아파트 → 선영여고 → 한국철도고 → 경일아파트 → 장미마을 → 코아루아파트 → 화성아파트 → 상망동주민센터 → 이하 역순 | 약 30분 | 29회 운행 |
8 | 한국폴리텍6대학 | ↔ | 한국폴리텍6대학 | 시민운동장, 경북전문대학교, 영주시청, 대영중고교, 남산초등학교, 영주여객, 구성오거리, 시의회, 영광중 → 시영아파트 → 제일고 → 주공3단지 → 영주적십자병원 → 영주시외버스터미널 → 서천교 → 영광중 → 이하 역순 | 약 12분 | 75회 운행 |
읍·면 노선[편집]
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비고 | ||
---|---|---|---|---|---|---|
20 (영주 ↔ 와현 ↔ 무섬) |
영주여객 | ↔ | 와현 |
|
8회 | 경유지 참조 |
20 (영주 ↔ 문수 ↔ 용혈 ↔ 미림) |
영주여객 | ↔ | 미림 | 문수, 만방리, 자만동, 종릉, 용혈, 용혈1리 | 2회 | |
20 (영주 ↔ 문수 ↔ 종릉 ↔ 용혈) |
영주여객 | ↔ | 용혈 | 문수, 노벨리스, 환경사업소, 문수삼거리, 종릉 | 1회 | 방갓, 막현(환경사업소 앞) 경유 |
21 (영주 ↔ 감천) |
영주여객 | ↔ | 예천군 감천 | 구성오거리, 영주우체국, 꽃동산, 시민운동장, 한국폴리텍6대학, 장수, 영주 나들목, 갈산 | 1회 | |
21 (영주 ↔ 장수 ↔ 미울(파지)) |
영주여객 | ↔ | 미울(파지) | 구성오거리, 영주우체국, 꽃동산, 시민운동장, 한국폴리텍6대학, 장수, 영주 나들목, 화기리, (호문3리, 소룡3리) | 4회 | 호문3리와 소룡3리 2회 경유 |
22 (영주 ↔ 동양대) |
영주여객 | ↔ | 동양대학교 | 구성오거리, (상행: 장춘당약국, 시의회 / 하행: 기독병원), 제일고, 영주시외버스터미널, 안정면사무소, (상행: 풍기오거리 / 하행: 풍기역) | 19회 | |
22-1 (영주 ↔ 산법리 ↔ 동양대) |
영주여객 | ↔ | 동양대학교 | 구성오거리, (상행: 장춘당약국, 시의회 / 하행: 기독병원), 제일고, 영주시외버스터미널, 안정면사무소 → 옹암리 → 산법리 → 동양대학교 → 풍기역 → 읍사무소 → 성심병원 → 산법리 → 옹암리 → 안정면사무소 → 이하 역순 | 2회 | |
23 (영주 ↔ 풍기 ↔ 하촌) |
영주여객 | ↔ | 하촌 | 구성오거리, (상행: 장춘당약국, 시의회 / 하행: 기독병원), 제일고, 영주시외버스터미널, 안정면사무소, 풍기, 풍기역, 영주공단, 대촌, 한천, 유전, 노좌 | 8회 | |
24 (영주 ↔ 전구동 ↔ 두산리) |
영주여객 | ↔ | 전구동 | 구성오거리, (상행: 장춘당약국, 시의회 / 하행: 기독병원), 제일고, 영주시외버스터미널, 안정면사무소, 풍기, 풍기역, 두산 → 전구동 | 2회 | |
구성오거리, (상행: 장춘당약국, 시의회 / 하행: 기독병원), 제일고, 영주시외버스터미널, 안정면사무소, 풍기, 풍기역, 전구동 → 두산 | 4회 | |||||
25 (영주 ↔ 풍기온천 ↔ 희방사 ↔ 죽령) |
영주여객 | ↔ | 희방사 | 구성오거리, (상행: 장춘당약국, 시의회 / 하행: 기독병원), 제일고, 영주시외버스터미널, 안정면사무소, 풍기, 풍기역, 백신, 창락, 풍기온천 | 10회 | 죽령까지 2회 연장 운행 |
25-1 (영주 ↔ 풍기 ↔ 풍기온천) |
영주여객 | ↔ | 풍기온천 | 구성오거리, (상행: 장춘당약국, 시의회 / 하행: 기독병원), 제일고, 안정면사무소, 풍기, 풍기역, 백신, 창락 | 6회 | |
26 (영주 ↔ 삼가동(백리)) |
영주여객 | ↔ | 삼가동 | 구성오거리, (상행: 장춘당약국, 시의회 / 하행: 기독병원), 제일고, 영주시외버스터미널, 안정면사무소, 풍기, 풍기역, 풍기향교, 금계, 욱금 | 8회 | 백1리 2회 경유[2] |
27 (영주 ↔ 풍기 ↔ 부석사(갓듸)) |
영주여객 | ↔ | 부석사 | 구성오거리, (상행: 장춘당약국, 시의회 / 하행: 기독병원), 제일고, 영주시외버스터미널, 안정면사무소, 풍기, 풍기역, 동양대학교, 미곡, 태장, 순흥, 소수서원, 청구, 단산, 노곡, 부석 | 14회 | 임곡 2회 경유 갓듸 1회 경유 |
28 (영주 ↔ 풍기 ↔ 부석사(갓듸)) |
영주여객 | ↔ | 부석사 | 영주역 ↔ 영주시립도서관 ↔ 영주종합터미널 ↔ 안정 ↔ 풍기역 ↔ 순흥 ↔ 소수서원 ↔ 단산 ↔ 부석 | 6회 | 주말 및 공휴일 한정 관광지 급행노선 |
28-2 (영주 ↔ 월호 ↔ 수도리(무섬마을) |
영주여객 | ↔ | 무섬마을 | 영주종합터미널→영주시립도서관→ 영주역 → 월호리 → 와현 | 6회 | 주말 및 공휴일 한정 관광지 급행노선 |
30 (영주 ↔ 평은 ↔ 미림) |
영주여객 | ↔ | 미림 | 2회 | 경유지 참조 | |
30 (영주 ↔ 평은 ↔ 옹천) |
영주여객 | ↔ | 안동시 옹천 | 대영중고교, 운문리, 만방리, (평은리), (갈분), 오운 | 7회 | 갈분과 평은리 1회 경유 갈분 총 2회 경유 동막과 새뱅이 2회 경유 |
30 (영주 ↔ 평은 ↔ 천본(외뚜들)) |
영주여객 | ↔ | 천본 | 대영중고교, 운문리, 만방리, (새해), 평은면사무소, 평은리, 망월 | 4회 | 첫차 평은리 착발 신천2리(새해) 1회 경유 |
31 (영주 ↔ 이산 ↔ 두월) |
영주여객 | ↔ | 두월 |
|
8회 | 경유지 참조 |
32 (영주 ↔ 이산 ↔ 석포) |
영주여객 | ↔ | 석포 |
|
12회 | 경유지 참조 |
33 (영주 ↔ 봉화) |
영주여객 | ↔ | 봉화군 봉화 | 구성오거리, 장춘당약국, 상망육교, 못골, 문단, 신암, 도촌, 도촌초등학교, 적덕, 해저, 봉화역, 봉화군청, 봉화 → 봉화읍사무소 → 궁전모텔 → 명성아파트 → 봉화 → 이하 역순 | 10~20분 | |
33 (영주 ↔ 봉화 ↔ 오전약수터) |
영주여객 | ↔ | 봉화군 오전약수터 | 구성오거리, 장춘당약국, 상망육교, 못골, 문단, 신암, 도촌, (화천), 도촌초등학교, 적덕, 해저, 봉화역, 봉화군청, 봉화, 삼계, 북지리(구산), 가평, 물야면사무소 | 3회 | 화천 1회 경유 |
52 (영주 ↔ 안정 ↔ 대평) |
영주여객 | ↔ | 대평리 | 구성오거리, (상행: 장춘당약국, 시의회 / 하행: 기독병원), 시영아파트, 창진, 오계 | 7회 | 안정면사무소 1회 경유 |
52 (영주 ↔ 대평 ↔ 태장) |
영주여객 | ↔ | 상태장 | 구성오거리, (상행: 장춘당약국, 시의회 / 하행: 기독병원), 시영아파트, 창진, 오계, 대평리, 지경터, 태장리 | 2회 | |
53 (영주 ↔ 동촌 ↔ 순흥(청구리, 놋점) ↔ 덕현) |
영주여객 | ↔ | 순흥 | 구성오거리, 기독병원, 귀내, 고현동, 아지동, 동촌, 지동, 석교, 순흥, (소수서원, 청구리), (놋점), (덕현) | 8회 | 덕현 5회 연장 운행 청구리 3회 경유 놋점 2회 경유 |
54 (영주 ↔ 배나무실 ↔ 단산(좌석)) |
영주여객 | ↔ | 단산 | 구성오거리, 기독병원, 귀내, 고현동, 아지동, (오상), 동촌, 사천, 구구(배나무실), 구구(오현), 병산, 단산, (좌석) | 12회 | 좌석 3회 연장 운행 단곡 1회 경유 배나무실 1회 경유 오상 1회 경유 |
55 (영주 ↔ 진우 ↔ 부석사(갓듸)) |
영주여객 | ↔ | 부석사 | 구성오거리, 장춘당약국, 영광고, 진우, 조와동, 화천리, 감곡, 보계입구, 상석, 우곡, 부석면사무소, (갓듸) | 11회 | 갓듸 1회 경유 |
55 (영주 ↔ 오룡 ↔ 보계 ↔ 부석사) |
영주여객 | ↔ | 부석사 | 구성오거리, 장춘당약국 → 시의회 → 영광중 → 귀내 → 고현동 → 아지동 → 동촌 → 사천 → 구구(오현) → 보계 → 상석 → 우곡 → 부석면사무소 → 부석사 → 부석면사무소 → 우곡 → 상석 → 보계입구 → 감곡 → 화천리 → 조와동 → 진우 → 영광고 → 장춘당약국 → 이하 역순 | 1회 | |
55 (영주 ↔ 오룡 ↔ 보계 ↔ 화감) |
영주여객 | ↔ | 화감 | 구성오거리, (상행: 장춘당약국, 시의회 / 하행: 기독병원), 영광중, 귀내, 고현동, 아지동, 동촌, 사천, 구구(오현), 보계, 상석, 우곡, 부석면사무소, 용암 | 2회 | |
55 (영주 ↔ 진우 ↔ 임곡) |
영주여객 | ↔ | 임곡 | 구성오거리, 장춘당약국, 영광고, 진우, 조와동, 화천리, 감곡, 보계입구, 상석, 우곡, 부석면사무소, 부석사 | 1회 | |
55 (영주 ↔ 봉화 ↔ 물야) |
영주여객 | ↔ | 봉화군 물야 | 구성오거리, 장춘당약국, 영광고, 진우, 조와동, 화천리, 감곡, 황산, 두문리, 샘실, 가평, 물야면사무소 | 4회 | 첫차 갓골 경유[3] 막차 샘실까지만 운행 |
장수 방면 (영주 ↔ 장수 ↔ 성곡(갈산)) |
영주여객 | ↔ | 성곡 | 구성오거리, 영주우체국, 꽃동산, 시민운동장, 한국폴리텍6대학, (두전3리), 장수, 영주 나들목, 갈산 | 6회 | 영주 → 갈산 → 성곡 → 영주 3회 운행 영주 → 성곡 → 갈산 → 영주 3회 운행 두전3리 2회 경유 |
안정 방면 (영주 ↔ 안정(일원) ↔ 여륵) |
영주여객 | ↔ | 여륵 | 구성오거리, (상행: 장춘당약국, 시의회 / 하행: 기독병원), 제일고, (영주시외버스터미널), (시영아파트, 창진, 일원), 안정면사무소, 봉암, 용산, (묵동) | 7회 | 비상활주로 경유 4회 창진과 일원 경유 3회 묵동 1~2회 경유 |
봉화 방면 (영주 ↔ 봉화 ↔ 재산) |
영주여객 | ↔ | 봉화군 재산 | 구성오거리, 장춘당약국, 상망육교, 못골, 문단, 신암, 도촌, (화천), 도촌초등학교, 적덕, 해저, 봉화역, 봉화군청, 봉화, 유곡, 봉화제2농공단지, 외삼리, 봉성, 봉양리, 풍호리, 명호(도천), 고계리, 상리 | 2회 | |
영주 ↔ 예천 | 영주여객 | ↔ | 예천군 예천 | 구성오거리, 영주우체국, 꽃동산, 시민운동장, 한국폴리텍6대학, 장수, 영주 나들목, 갈산, 감천 | 1회 |
봉화군 차적의 버스노선[편집]
농어촌버스 · 좌석버스[편집]
영주시 시내버스와 달리 버스정보시스템과 LED 행선판이 설치되어 있다.
- 10번: 봉화 ~ 재산
- 11번: 봉화 ~ 두전
- 12번: 봉화 ~ 동면(재산)
- 13번: 봉화 ~ 모천(재산)
- 14번: 봉화 ~ 명호 ~ 춘양
- 15번: 봉화 ~ 청량산 , 북곡 , 고암
- 16번: 봉화 ~ 청량산, 북곡
- 18번: 봉화 ~ 거촌(봉성)
- 20번: 봉화 ~ 물야
- 21번: 봉화 ~ 약수터
- 22번: 봉화 ~ 약수터(생달로)
- 23번: 봉화 ~ 부석
- 24번: 봉화 ~ 개단
- 25번: 봉화 ~ 덕촌
- 26번: 봉화 ~ 신라
- 27번: 봉화 ~ 구천 ~ 신라
- 28번: 봉화 ~ 상운(구천)
- 29번: 봉화 ~ 해저로(샘실)
- 30번: 봉화 ~ 뒷결
- 34번: 봉화 ~ 적덕
- 35번: 봉화 ~ 토일
- 36번: 봉화 ~ 고암
- 37번: 봉화 ~ 상운 , 봉양
- 38번: 봉화 ~ 선돌
- 50번: 봉화 ~ 춘양
- 51번: 봉화 ~ 춘양
- 52번: 봉화 ~ 춘양
- 53번: 봉화 ~ 춘양
- 57번: 봉화 ~ 춘양
- 59번: 봉화 ~ 춘양
- 67번: 봉화 ~ 오암
- 71번: 봉화 ~ 춘양
각주[편집]
- ↑ 영주시청 교통카드 안내
- ↑ 오전은 영주 → 삼가동 → 백1리 → 영주 경로로, 오후는 영주 → 백1리 → 삼가동 → 영주 경로로 경유한다.
- ↑ 진우 ↔ 갓골 ↔ 귀내 ↔ 영광중 ↔ 기독병원 경로로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