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의 시내버스
![]() 양산시내버스 2300번 | |
관리 주체 | 양산시청 교통행정과 |
---|---|
차적지 | 경상남도 양산시 |
운행 지역 |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
노선 수 | 41 |
차량 수 | 199 |
웹사이트 | 양산시버스정보시스템 |
양산시의 시내버스는 경상남도 양산시의 주요 대중교통수단으로, 2018년 기준으로 일반버스 34개 노선, 직행좌석버스 7개 노선, 총 41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운수업체로는 (주)세원과 푸른교통이 있다.
운임 체계[편집]
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
시내 |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 1000 | 950 | |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 750 | 700 | |
직행좌석 |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 1900 | 1850 |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 1250 | 1200 | |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 1250 | 1200 | |
KTX리무진 | 어른 (일반, 만 19세 이상) | 3500 | 3400 |
청소년 (중·고등학생, 만 13세 ~ 18세) | 2200 | 2100 | |
어린이 (초등학생, 만 7세 ~ 12세) | 1700 | 1600 |
20년 1월 10일자 요금인상으로 시계외요금이 폐지되었다. 그러나 부산에서 언양, 울산을 한번에 가는 경우는 예전처럼 시계외요금을 부과한다. 자세한 운임은 양산시 시내버스 운임정보를 참조하도록 한다.
환승[편집]
2008년 9월 1일부터 자체환승제가 시행되었으며 교통카드로 양산시내버스를 이용한 승객이 양산시내버스가 운행하는 지역에서 환승할 경우 30분 이내[1] 1회에 한하여 무임 환승 및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단 52 ,56, 57번과 다른 양산버스와 환승시 2회 무료환승이 가능하다.
2011년 5월 21일 부산-양산-김해 광역 환승 할인제가 적용되어 부산시내버스, 부산 도시철도, 부산김해경전철, 김해시내버스와 2011년 5월 21일 부산-양산-김해 광역 환승 할인제가 적용되어 환승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동일 노선 간에도 무임 환승 및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으며, 울산시내버스, 동해선 전철과는 환승이 되지 않는다.
차량[편집]
대부분의 도시와 마찬가지로 일반시내버스에는 대우와 현대-기아 자동차 그룹차량이 이용되며, 양산시의 시내버스차량 다수가 천연가스차량이 운행하고 있으며 일부 차량은 디젤차량이 운행하고 있다. 저상버스도 활발하게 운행하고 있다.최근 들어 전기버스가 다니기도 한다.
양산시 차적의 버스 노선[편집]
시내버스[편집]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평균 배차간격 (분) |
비고 | ||
---|---|---|---|---|---|---|---|
8
|
세원 | 증산역 | ↔ | 석산 | 증산역, 가촌신도시(동아중), 반도3·4차, 남양산역, 범어중, 신주중, 황산우체국, 양산역환승센터, 남부고 | 15 | |
10
|
세원 | 증산역 | ↔ | 내석 | 남부고, 신도시, 남부시장, 신한은행, 신기주공, 대우마리나, 공암, 상북초교, 상삼, 좌삼, 외석, 양산대대 | 1일 12회 | 1일 2회 석계공원묘지 경유 |
11
|
세원 푸른교통 |
통도사
신평터미널 |
↔ | 양산역
환승센터 |
초산, 진목, 용연초교, 내원사입구, 신전, 상북초교, 공암, 대성, 신기주공, 신한은행, 남부시장, 신도시현대.청어람 | 1일 10회 | |
12
|
세원 푸른교통 |
통도사
신평터미널 |
↔ | 명륜역 | 초산, 진목, 용연초교, 내원사입구, 신전, 상북초교, 공암, 대성, 신기주공, 신한은행, 남부시장, 시청, 사송지구, 범어사역, 부산대역 | 15 | 1일 4회 심야운행 |
13
|
세원 푸른교통 |
통도사
신평터미널 |
↔ | 울산역 | 삼성SDI, 삼남중학교, 언양정비공장, 중남초등학교, 메가마트, 서울산보람병원, 언양터미널 | 28 | |
16
|
푸른교통 | 증산역 | ↔ | 부산대학교 | 반도유보라4차정문, 양산부산대병원, 신주중, 양산역환승센터, 신도시, 다방교, 사송지구, 범어사역, 부산대후문 | 20 | |
17
|
푸른교통 | 증산역 |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 증산역, 증산초교, 양산부산대병원, 신주중, 양산역환승센터, 시청, 동면사무소, 남락마을, 금정체육공원 | 90 | |
순환20
|
세원 | 양산역
환승센터 |
↔ | 양산역
환승센터 |
남부고, 시청, 계석, 금산휴먼시아, 금오마을, 석산신도시, 남부고 | 30 | |
순환20-1
|
세원 | 양산역
환승센터 |
↔ | 양산역
환승센터 |
남부고, 석산신도시, 금오마을, 금산휴먼시아, 계석, 시청, 남부고 | 30 | |
21
|
세원 | 북정 | ↔ | 덕천역 | 신기해강아파트, 양산고, 신한은행, 구터미널, 교동, 신주중, 범어중, 가촌휴먼시아, 물금역, 호포역, 금곡동, 화명동 | 30 | |
23
|
세원 | 북정 | ↔ | 덕천역 | 신기주공, 신한은행, 남부시장, 시청, 석산해강아파트,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가산마을, 호포역, 금곡동, 화명동 | 15(신기주공~덕천역간 15분 간격으로 통합배차) | 심야 운행시 구. 양산터미널까지 운행 심야 1노선 : 극동아파트 경유 심야 2노선 : 양산역 경유 |
순환24
|
세원 | 용선 | ↔ | 용선 | 삼성파크빌, 신기주공, 남부시장, 양산역환승센터, 신주중, 춘추원 | 28 | |
순환24-1
|
세원 | 용선 | ↔ | 용선 | 삼성파크빌, 춘추원, 신주중, 양산역환승센터, 남부시장, 신기주공 | 28 | |
26
|
세원 | 북정 | ↔ | 물금역 | 신기주공, 남부시장, 시외버스터미널.이마트, 석산신도시, 부산대병원, 물금중 | 30 | |
32
|
세원 | 북정대동1차 | ↔ | 증산역 | 신기주공, 신한은행, 구터미널, 신도시, 양산역환승센터, 교동, 천호상가, 가촌신도시(동아중) | 40 | |
32-1
|
세원 | 북정대동1차 | ↔ | 증산역 | 신기주공, 신한은행, 구터미널, 신도시, 양산역환승센터, 교동, 천호상가, 물금농협가촌지점 | 40 | |
33
|
세원 | 증산역 | ↔ | 양산역
환승센터 |
대방노블랜드3차, 물금중, 코오롱하늘채, 시립도서관정문, 범어초, 신주중 | 30 | |
52
|
세원 푸른교통 |
증산역 | ↔ | 용당 | 부산대병원, 양산역, 남부시장, 신한은행, 동원과기대, 월평교차로, 덕계시장, 코아루, 웅상출장소, 그랜드볼링장, 서창동주민센터 | 60 | 동서로(법기터널) 경유 |
56
|
푸른교통 | 양산역
환승센터 |
↔ | 용당 | 신도시, 구.터미널, 남부시장, 양산시청, 동면사무소, 남락마을, 창기마을, 월평교차로, 덕계시장, 코아루, 웅상출장소, 웅상중앙병원, 서창동주민센터 | 1일 8회 | 여락송정로, 국도7호선
쪽으로 우회운행 |
57
|
세원 | 양산역
환승센터 |
↔ | 영산대 | 신도시, 남부시장, 신한은행, 동원과기대, 월평교차로, 덕계시장, 덕계다리, 혜인병원, 천성리버, 소주공단 | 60 | 동서로(법기터널) 경유 |
58
|
푸른교통 | 용당 | ↔ | 금정세무서 | 대동이미지, 화성파크드림, 혜인병원, 덕계다리, 덕계시장, 월평, 창기, 동면우체국, 노포역, 범어사역, 두실역, 금정구청 | 22 | |
59
|
푸른교통 | 용당 | ↔ | 금정세무서 | 서창동주민센터, 천성리버, 웅상출장소, 코아루, 삼성명가, 덕계다리, 덕계시장, 창기, 노포역, 범어사역, 두실역, 금정구청 | 21 | 월평고가, 여락고가 이용 영천마을, 월평마을 통과 |
60
|
푸른교통 | 용당 | ↔ | 노포역 | 북부마을회관, 서창중, 웅상농협명동지점, 명곡마을, 두산위브 | 30 | 신 7번국도(통신사로) 경유 |
61
|
푸른교통 | 한일유앤아이 | ↔ | 금정세무서 | 평산휴먼시아, 웅상중, 덕계시장, 창기, 노포역, 범어사역, 두실역, 금정구청 | 40 | 월평고가, 여락고가 이용 영천마을, 월평마을 통과 |
87
|
세원 | 양산역
환승센터 |
↔ | 명곡 | 서이동, 구터미널, 신한은행, 신기우방아파트, 삼성동주민센터, 양산고,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80 | 오전 1회 석산동원2차까지 운행 |
113
|
세원 | 양산역
환승센터 |
↔ | 대석 | 구터미널, 신한은행, 신기주공, 북정초교, 신북정, 영동마을, 산막공단, 소노마을, 소토초교, 내전마을 | 1일 5회 | 오전 1회 석산동원2차까지 운행 |
128
|
세원 | 북정대동1차 | ↔ | 증산역 | 신기주공, 신한은행, 구터미널, 신도시, 남부고, 양산역환승센터, 범어택지, 가촌휴먼시아, 가촌신도시(동아중), 증산역 | 40 | |
128-1
|
세원 | 북정대동1차 | ↔ | 증산역 | 신기주공, 신한은행, 구터미널, 신도시, 남부고, 양산역환승센터, 범어윗길, 가촌휴먼시아, 가촌신도시(동아중), 증산역 | 20 | |
137
|
세원 | 증산역 | ↔ | 원동주말장터 | 증산역, 물금읍사무소, 임경대, 명언, 지나, 성지, 내화, 외화, 범서, 수청, 신주, 주진, 원동초교, 당곡 | 1일 6회 | 1일 3회 천태사 경유
(출근1회,퇴근2회) |
138
|
세원 | 북정 | ↔ | 원동 | 신기주공, 신한은행, 구터미널, 양산역환승센터, 신주중, 대방7차, 물금읍사무소, 임경대, 명언, 지나, 성지, 내화, 외화, 범서, 수청, 신주, 주진, 원동초교 | 1일 8회 | 원동발 막차 : 증산행
북정발 막차 : 증산행 |
직행좌석버스[편집]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1000
|
세원 | 양산역
환승센터 |
↔ | 배내골 | 신한은행, 경남외국어고등학교, 에덴벨리스키장, 도토정(산골이야기), 해피밸리 | 1일 4회 | 입석금지노선 |
1100
|
세원 | 양산역
환승센터 |
↔ | 명륜역 | 신도시아파트1단지, (고속도로운행), 금정구청, 부산대역 | 1일 18회 | 2018년 7월 1일 신설 |
1200
|
세원 | 북정 | ↔ | 명륜역 | 신기주공, 신한은행, 구터미널, 신도시아파트1단지, (고속도로운행), 금정구청, 부산대역 | 26 | |
1300
|
세원 | 증산역 | ↔ | 명륜역 | 증산역 양우1차, 양산부산대병원, 신주중, 황산우체국, 청어람, 신도시동원, (고속도로운행), 금정구청, 부산대역 | 40 | |
1500
|
세원 | 증산역 | ↔ | 명륜역 | 증산역, 가촌신도시(동아중), 가촌휴먼시아, 범어윗길, 신주중, 양산역환승센터, 신도시아파트1단지, (고속도로운행), 금정구청, 부산대역 | 20 | |
2100
|
푸른교통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 ↔ | 울산터미널 | 덕계시장, 덕계다리, 혜인병원, 명동마을, 서창동주민센터, 용당마을, 웅촌면사무소, 울주군청, 문수경기장, 공업탑 | 12~14 (공동 배차) |
월평고가도로 경유 |
2300
|
월평교차로 경유 | ||||||
세원 푸른교통 |
양산역환승센터 | ↔ | 울산역 | 신도시청어람, 양산종합운동장, 신기주공아파트, 북정성원네오파트, 신북정, 석계(고속도로정류장), 언양터미널 | 60 | ||
푸른교통 | 봉우아파트
(평산종점) |
↔ | 울산역 | 덕계사거리, 해인병원, 웅상병원, 농협은행웅상지점, 웅촌, 경부고속도로, 언양터미널 | 1일 8회 |
타 지역 차적의 운행 노선[편집]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60 마을
|
방기버스 | 상방기 | ↔ | 탑마트 | 청호빌라, 은진빌라, 삼아아파트, 방기경로당, 소망병원, 신흥마을 | 20~30 | |
61 마을
|
검단버스 | 신암 | ↔ | 웅상병원 | 덕산, 덕현, 서리, 은하, 암곡, 부전기도원, 관동, 고연 | 60 | |
62 마을
|
검단버스 | 신암 | ↔ | 서창 | 덕산, 덕현, 반계, 관동, 고연 | 60 | |
313
|
울산여객 | 정거리 | ↔ | 사촌 | 신화입구, 언양중학교, 언양읍주민센터, 언양터미널, 작천정, 삼성SDI, 방기, 통도사신평터미널, 현대자동차출고장 | 7회 | |
328
|
남성여객 | 울산역 | ↔ | 배내골 | 언양터미널, 언양터미널, 상북면주민센터, 가지산온천, 석남사, 배내정상, 주암마을, 이천분교, 죽전마을 | 7회 | 울산역~배내골 1일3회
|
714
|
남성여객 | 농소공영차고지 | ↔ | 덕계종합상설시장 | 울산공항, 북구청, 병영사거리, 학성공원, 울산시청, 울산대학교, 웅촌, 용당공영차고지, 서창 | 18~40 | |
817
|
남성여객 | 태화강역 | ↔ | 신평(터미널) | 학성공원, 성남동, 태화동, 울산대학교, 울주군청, 대복마을, 삼동면사무소, 현대자동차출고장앞 | 52~104 | |
1127 좌석
|
신도여객 | 농소공영차고지 | ↔ | 노포역 | 울산공항, 북구청, 병영사거리, 학성공원, 울산시청, 공업탑, 법원, 신복로터리, 울산대학교, 웅촌, 용당차고지, 서창, 덕계 | 20~30 | 2013년 9월 7일 직행좌석버스로 전환 |
1137 좌석
|
울산여객 | 태화강역 | ↔ | 노포역 | 고속터미널, 공업탑, 웅촌, 용당차고지, 서창, 덕계 | 15~22 | 2013년 5월 1일 직행좌석버스로 전환 |
1147 좌석
|
한성교통 | 농소공영차고지 | ↔ | 노포역 | 울산공항, 북구청, 병영사거리, 학성공원, 태화동, 신복로터리, 울산대학교, 울주군청 | 26 | 2018년 12월 22일 신설, 웅상지역 무정차운행 |
1723 좌석
|
세원 | 태화강역 | ↔ | 신평(터미널) | 울산터미널, 공업탑, 신복로터리, 언양, 교동주공.계룡리슈빌 입구, 삼남중학교 | 22~30 | 2014년 7월 1일 입석금지 시행 2014년 7월 11일 직행좌석버스로 전환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37
|
삼신교통 | 노포동터미널 | ↔ | 월내 한빛3차아파트 | 금정체육공원입구, 임기, 월평교차로, 부산추모공원, 모전마을, 롯데캐슬, 정관읍사무소, 서편마을, 예림마을,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좌천삼거리, 임랑삼거리, 관음사입구, 월내시장, 월내초등학교 | 20~30 | |
50
|
봉우아파트 (양산 덕계동) |
↔ | 법원검찰청 | 봉우아파트, 태원아파트, 새진흥7차입구, 평산교차로, 신명마을, 덕계동, 월평교차로, 동면우체국, 금정체육공원, 부산종합버스터미널(노포역), 범어사역, 남산역, 금정구청, 금정세무서, 온천장역, 동래전화국, 대동병원(동래역), 미남역, 쌍용예가입구, 사직운동장 | 15~16 | ||
302
|
웅상공영차고지 (서창) |
↔ | 좌천역 | 북부마을, 서창, 웅상중앙병원, 명동마을, 웅상도서관, 덕계사거리, 월평교차로, 부산추모공원, 모전마을, 정관홈플러스, 정관읍사무소, 장안고 → 원자력의학원 → 동해선 좌천역 → 장안고, 이후역순 | 40 | 저상버스 운행 | |
1002 급행
|
↔ | 센텀파크 | 북부마을, 서창, 주남다리, 신원아침도시, 천성리버타운, 덕계동, 덕계종합상설시장, 월평교차로, 부산종합버스터미널(노포역), 범어사역, 남산역, 두실역,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금정세무서, 온천장역, 동래시장, 안락동, 해운대경찰서, 홈플러스, 센텀시티역, 센텀파크 | 15 | 일부 시간대 영산대학교, 소주대동아파트 경유 | ||
1002 심야
|
↔ | 서면역 | 북부마을, 서창, 주남다리, 신원아침도시, 천성리버타운, 웅상도서관, 혜인병원, ( ← 평산사거리 ← 새진흥7차 ← 태원아파트 ← 봉우아파트 ← 50번종점 ← 봉우아파트 ← 태원아파트 ← 평산사거리 ← )
덕계동, 덕계종합상설시장, 월평교차로, 창기, 동면우체국, 부산종합버스터미널(노포역), 범어사입구, 남산고등학교, 구서시장, 장전동(하행)/장전역(상행), 부산대, 온천시장, 금강원입구, 미남역, 사직운동장, 거성교차로, 송상현광장→부전도서관→서면→부전시장(부전역) |
20 | 차고지 방면 운행 시 봉우아파트 경유 |
각주[편집]
- ↑ 일부 오지노선은 60분 이내 1회에 한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