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포역

![]() 장산 방향 승강장(역명판 교체·스크린도어 설치 전) | ||
개괄 | ||
관할 기관 | 부산교통공사 제2운영사업소 호포관리역 | |
소재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양산대로 62 | |
좌표 | 북위 35° 16′ 51.6″ 동경 129° 1′ 2.1″ / 북위 35.281000° 동경 129.017250° | |
개업일 | 1999년 6월 30일 | |
역 번호 | 239 | |
승강장 구조 | 1면 2선 | |
노선 |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장산 기점 38.0 km | ||
|
호포역(Hopo station, 湖浦驛)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가산리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다.
역사[편집]
- 1999년 6월 30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호포역~서면역 구간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영업 개시
- 2008년 1월 10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호포역~양산역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중간역으로 전환
개요[편집]
인근에 호포차량사업소가 있다. 높이가 지상 5층이여서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강서구청역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도시철도역 중 가장 높은 역이다. 호포차량사업소에 입고하는 열차를 호포행으로 운행하거나 양산역 종착 후 호포차량기지 입고를 위해 행선판을 회송으로 바꾸고 호포역까지 회송한 후 연결 선로를 통해 입고된다. 호포역과 증산역 간의 거리는 약 3.5km로 부산 도시철도에서 역간 거리가 가장 긴 구간이다.
역명의 유래[편집]
옛 이름은 호포(狐浦)이며, 낙동강변 포구의 자연부락명이다. 호포마을은 풍수적으로 금정산에서 낙동강 방향으로 여러 등성을 이루면서 밀려나와 있는 지형인 요수다의복호망월(妖獸多疑伏狐望月), 즉 요사하게 의심을 품은 여우가 김해 월촌 마을을 바라보고 있는 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서 여우 '호'(狐)와 낙동강변 포구를 뜻하는 '포'(浦)를 붙여 호포(狐浦)가 되었다. 1925년 행정 구역 개편과 함께 한자가 바뀌면서 호포(湖浦)가 되었다.[1]
역 구조[편집]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이나 서쪽에 있는 1면의 승강장은 사용하지 않고, 현재는 1면 2선만 사용하고 있으며, 섬식 승강장으로 사용된다. 개통 초기에는 호포역~양산역 구간 별도 운행을 위하여 서측 노반에 선로와 전차선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호포역~양산역 구간 직결 계획 변경으로 철거되었다. 2016년 6월 30일(목요일) 스크린도어 설치를 완료했다. 부산 도시철도에서 유일하게 입식 역명판이 설치된 역이기도 하다. 출구는 3개다.
승강장[편집]
금곡↑ |
| 하 상 | 미사용 |
↓증산 |
상행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덕천·서면·해운대·장산 방면 |
---|---|---|
하행 | 부산대양산캠퍼스·남양산·양산 방면
호포기지 입고 당역 종착 |
역 주변[편집]
승차량 변동[편집]
호포역~양산역 구간이 개통된 2008년 이후에는 양산 쪽으로 수요가 분산되어 이용객 및 승차량이 적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 중 이용객이 가장 적다.
역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2호선 | 2966 | 2415 | 2278 | 2134 | 2193 | 2296 | 1553 | 1555 | 1222 | 1092 | 1041 | 1068 | 1134 | 1109 | [2] |
사진[편집]
인접한 역[편집]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
238 금곡 장산 방면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240 증산 양산 방면 |
각주[편집]
- ↑ 호포마을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 본 자료는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에 게시된 부산 도시철도 승객량 통계를 가공한 것이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호포역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