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역
![]() 역사 | |
![]() 충북선 역명판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충북지역관리단 오송관리역 |
소재지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가락로 123 |
좌표 | 북위 36° 37′ 14.85″ 동경 127° 19′ 40.08″ / 북위 36.6207917° 동경 127.3278000° |
![]() | |
개업일 | 구역 : 1921년 11월 1일 신역 : 2010년 11월 1일 |
폐지일 | 구역 : 1974년 12월 5일 |
종별 | 관리역 |
등급 | 1급 |
승강장 구조 | 6면 10선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노선 | |
경부고속선 | |
금천구청 기점 105.5 km | |
| |
오송정비기지선 | |
오송기지** →
| |
| |
호남고속선[1] | |
오송 기점 0.0 km | |
| |
오송선 | |
서창 기점 4.6 km | |
| |
| |
충북선 | |
조치원 기점 4.4 km |
오송역(Osong station, 五松驛)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봉산리에 있는 충북선,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의 철도역이다. KTX 비상열차가 대기하고 있으며, 오송역에서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반석역과 대전역을 왕복 운행하는 세종특별자치시 BRT 2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호남고속선은 이 역부터 광주송정역까지 모두 지상 구간이다. 경부고속철도로는 광명역,천안아산역, 대전역, 김천구미역, 동대구역,신경주역,울산역,부산역을 지난다.
개요[편집]
1921년 11월 1일에 개업하였으나 여객 수요가 부족하여 1983년 2월 1일 여객 취급을 중지하고 화물만 취급하던 간이역이 되었다. 그러나 개업한 지 89년 만인 2010년 11월 1일 경부고속철도 2단계(동대구 ~ 부산 간) 개통과 함께 충북선과 KTX의 환승역으로 새롭게 단장하였다. 또한 호남고속철도의 분기역으로 결정되어, 2015년 4월 2일부터 경부고속철도로부터 분기된다.
환승 편의를 위하여 2017년 4월 3일 현재 모든 충북선 열차와 1일 55회의 SRT 열차[3], 1일 127회 ~ 138회의 KTX 열차가 정차하고 있다.[4] KTX 개통 당시에는 단독 관리역이였으나 2011년 7월 청주역이 관리하고 있었던 충북선 소재 10개 역을 흡수 통합하면서 단독 관리역이 아니게 되었다. 2012년 12월 1일에는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나,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및 정부세종청사 개청 등으로 이용률이 증가 추세에 있다.[5]
2013년 4월과 2016년 7월부터는 여러 차례 시범운행 등을 거쳐 오송역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경유하여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반석역까지 5~12분 간격으로[6], 대전역까지 10분 간격으로 BRT가 각각 운행되고 있다. 이 역에서 청주 시내 또는 대전 유성구까지 30분 이상 소요되어 접근성과 시간 단축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그 외에 연계 버스 노선으로는 청주시내버스가 운행 중이다. 지역 경제 활성화와 충청권 고객의 백두대간 방문 편의를 위하여 2013년 5월 15일부터 중부내륙순환열차가 이 역을 경유(정차)하고 있다.
구 역사와 시멘트 공장을 철거한 자리에 들어선 신역사는 2008년 6월 25일 착공되었으며 2200억원을 투입하여 10만 4325 m2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2만 65 m2로 2010년 10월 28일에 준공된 것이다.
역사[편집]
- 1921년 11월 1일 : 중앙철도(주) 2종 정류장 설정
- 1934년 9월 25일 : 갑종 정류장으로 승격
- 1972년 7월 20일 :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7]
- 1974년 12월 5일 : 폐지[8]
- 1976년 9월 29일 : 역사 신축 착공
- 1977년 9월 5일 : 보통역으로 부활 영업 개시
- 1977년 12월 31일 : 역사 신축 준공
- 1980년 10월 17일 : 화물 취급 중지[9]
- 1983년 2월 1일 : 여객 취급 중지[10]
- 1988년 7월 20일 : 경부고속철도 인입선 부설
- 2008년 6월 25일 : 경부고속철도 오송역 착공
- 2010년 10월 28일 : 경부고속철도 오송역 준공
- 2010년 11월 1일 : 경부고속철도 오송역 개통과 함께 단독관리역으로 여객 취급 재개
- 2011년 7월 : 청주역이 관리하던 충북선 소재 10개역 흡수 통합과 함께 단독관리역이 아니게 됨
- 2012년 11월 1일 : 배치간이역으로 격하
- 2014년 5월 1일 : 충북종단열차 운행 개시
- 2015년 2월 13일 : 호남고속철도 역사 사용개시 고시[11]
- 2015년 4월 2일 : 호남고속선 개통
- 2016년 12월 9일 : SRT 운행개시 및 충북선 누리로 폐지
- 2018년 7월 1일 : 충북선 1281,1282열차 누리로 운행 개시
- 2020년 8월 3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중지
역 구조[편집]
- KTX, SRT 승강장은 4홈 10선 쌍상대식 승강장, 충북선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4번 승강장과 5번 승강장 사이에 2선의 경부고속선 통과선이, 1번 승강장과 8번 승강장 양 끝에 2선의 호남고속선 통과선이 있다.
KTX·SRT 승강장[편집]
|
충북선 승강장[편집]
|
역 주변[편집]
- 오송읍 행정복지센터
- 오송고속철도시설사무소
- 오송생명과학단지
- 식품의약품안전처(별관)
- 질병관리청
- 세종특별자치시 간선급행버스체계 오송역 정류장
사진[편집]
인접한 역[편집]
충북선을 운행하는 열차는 8왕복이 대전역과 제천역을, 2왕복은 동대구역과 영주역을, 1왕복은 서울역과 제천역을 각각 기점으로 운행되며, 경부고속선을 운행하는 열차는 대부분 서울역, 수서역, 용산역을 기점으로 운행되며 일부는 행신역 기점으로 운행된다.
경부고속선 | ||
---|---|---|
천안아산 행신 방면 |
KTX 경부선 · 경부선 구포 경유 |
대전 부산 방면 |
천안아산 행신 방면 |
KTX 경전선[12] |
대전 진주 방면 |
천안아산 행신 방면 |
KTX 동해선 |
대전 포항 |
경부고속선 · 호남고속선 | ||
천안아산 행신 방면 |
KTX 호남선 |
공주 목포 방면 |
천안아산 행신 방면 |
KTX 전라선 |
공주 여수엑스포 방면 |
경부고속선 · 호남선 | ||
천안아산 행신 방면 |
KTX 호남선 서대전만 경유 |
서대전 익산 방면 |
천안아산 서울 방면 |
KTX 호남선 서대전 · 김제 경유 |
서대전 목포 경유 |
천안아산 용산 방면 |
KTX 전라선 서대전 경유 |
서대전 여수엑스포 방면 |
SRT | ||
천안아산 수서 방면 |
SRT 경부선 |
대전 부산 방면 |
천안아산 수서 방면 |
SRT 호남선 |
공주 목포 방면 |
충북선 | ||
조치원 대전 방면 |
무궁화 충북선 |
청주 제천 방면 |
전의 서울 방면 |
무궁화 충북선 · 경부선 |
청주 제천 방면 |
각주[편집]
- ↑ 경부고속선에서 분기/합류되는 형태이다.
- ↑ 경부고속선에 합류
- ↑ 광주송정행 5회, 목포행 5회, 부산행 16회, 수서행 29회
- ↑ 월요일 ~ 목요일에는 127회, 금요일과 일요일에는 137회, 토요일에는 138회가 정차한다.
- ↑ 조치원역·오송역 북적북적 - 국민일보
- ↑ KTX오송역~반석역 운행 990번 28일 6대 증차…배차간격 단축, 금강일보, 2014년 7월 24일
-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972-40호
-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974-52호
-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980-53호
-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호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0호
- ↑ 진주역에서 행신행 KTX는 존재하지만 반대로 행신역 출발 경전선 KTX는 무조건 마산역까지만 간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오송역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한국철도공사 KTX 오송역(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