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지방도 제919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상북도 지방도
919
지방도 제919호선
매전 ~ 신녕선
지방도 제919호선
총연장 77.47km
기점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금곡리
주요
경유지
경상북도 청도군
경상북도 경산시
경상북도 영천시
종점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주요
교차도로
경부고속도로
영천상주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국도 제4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지방도 제909호선
지방도 제925호선

지방도 제919호선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매전교삼거리와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자주고개를 잇는 경상북도지방도이다.

경산 나들목을 통해 경부고속도로를, 청통와촌 나들목을 통해 새만금포항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2023년 7월 군위군 지역이 대구광역시 지역으로 편입되면서 2024년 1월에 노선 개정을 통해 군위군 지역이 지방도 지정에서 해제되었다.

연혁

[편집]
  • 2000년 8월 14일 : 용성우회도로 (경산시 용성면 미산리 ~ 곡신리) 1.08km 구간 개통[1] 및 구 도로 경산시 용성면 미산리 ~ 곡신리 1.3km 구간 폐지[2]
  • 2003년 2월 20일 : 경상남도 구간 노선 폐지[3]
  • 2003년 2월 20일 : 기점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에서 매전면 당호리로 16.5km 구간 단축. 이에 따라 '상동 ~ 우보선'에서 '매전 ~ 우보선'이 됨.[4]
  • 2004년 9월 10일 : 우보우회도로(군위군 우보면 이화리) 1.41km 구간 개통, 기존 2.1km 구간 폐지[5]
  • 2007년 8월 16일 : 효령 ~ 신녕간 도로(군위군 효령면 중구리 ~ 화계리) 5.2km 구간 재포장 개통[6]
  • 2007년 12월 27일 : 하양 ~ 와촌 ~ 대구간 도로(경산시 하양읍 대학리 ~ 와촌면 동강리) 2.448km 구간 확장 개통[7]
  • 2017년 2월 16일 : 장군 ~ 마시간 도로(군위군 효령면 화계리) 420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90m 구간 폐지[8]
  • 2017년 12월 28일 : 와촌 ~ 청통간 도로(경산시 와촌면 박사리 ~ 영천시 청통면 계지리) 5.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영천시 청통면 송천리 ~ 계지리 1.47km 구간 폐지[9]
  • 2021년 11월 4일 : 부적 ~ 금구간 도로(경산시 압량읍 부적리 ~ 금구리) 1.7km 구간 확장 개통[10]
  • 2021년 12월 6일: 경산시 하양읍 금락사거리 ~ 금락교 ~ 하양농협농산물공판장 구간을 지방도에서 지정 해제하고 금락사거리 ~ 하주교 ~ 동서 교차로 ~ 하양농협농산물공판장 구간으로 변경 및 총 연장을 104.1km에서 105.66km로 변경함.[11]
  • 2024년 1월 4일 : 종점을 군위군 우보면 이화리에서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로 단축. 이에 따라 노선명이 '매전 ~ 우보선'에서 '매전 ~ 신녕선'으로 변경 및 총 연장을 105.66km에서 77.47km로 변경.[12]

주요 경유지

[편집]

해제 구간

[편집]

이 구간은 2024년부터 해제되었다.

중복 구간

[편집]

도로명

[편집]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