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지방도 제822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라남도 지방도
822
지방도 제822호선
남평 ~ 동복선
나주 ~ 노안선
지방도 제822호선
총연장 47.1km[1]
기점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주요
경유지
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남도 화순군
종점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주요
교차도로
무안광주고속도로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5호선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지방도 제817호선
지방도 제897호선

지방도 제822호선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양천리와 대호동 동신대앞 교차로를, 남평읍 남평오거리에서 화순군 동복면 동복삼거리를 잇는 전라남도지방도이다.

1983년에는 노선명이 '남평 ~ 한천선'이었으며 1995년 12월 8일 노선을 화순군 동복면까지 연장하면서 '남평 ~ 동복선'으로 변경했다.

2008년 도로현황조서를 기준으로 지방도 제831호선의 나주시 구간을 편입하였다. 그러나 본래 노선과는 연계되지 않는다. 지방도 제831호선 구간은 나주 나들목과 접속하고 있어 무안광주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연혁

[편집]
  • 1983년 12월 14일 : 도로 확포장공사를 위해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 ~ 효산리 2.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
  • 1984년 12월 10일 : 도로 확포장공사를 위해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 나주군 남평면 오계리 6.20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
  • 1985년 12월 23일 : 기점을 '나주군 남평면 동사리', 종점을 '화순군 한천면 오음리'로 명시하고 도로개량이 완료된 나주군 남평면 오계리 ~ 우산리 7.178km 구간과 화순군 도곡면 평리 ~ 한천면 오음리 13.396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4]
  • 1987년 1월 22일 : 나주군 남평면 남평리 ~ 우산리 7.178km 구간과 화순군 도곡면 평리 ~ 한천면 오음리 13.396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5]
  • 1995년 12월 8일 : 종점을 기존 화순군 한천면 오음리에서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로 연장함. 이에 따라 노선명을 '남평 ~ 한천선'에서 '남평 ~ 동복선'으로 변경하고 총 연장 38.8km가 됨.[6]
  • 1996년 11월 25일 : 국가지원지방도 지정으로 인해 노선 변경[7]
  • 1996년 12월 9일 : 1998년 12월까지 평리교(나주시 남평읍 우산리 ~ 화순군 도곡면 평리) 개축공사를 위해 6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8]
  • 1997년 8월 20일 : 1999년 7월까지 한천 ~ 남면간 도로(화순군 한천면 반곡리 ~ 등가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3.1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8년 7월까지 반곡교(화순군 한천면 반곡리 ~ 동가리) 개수공사를 위해 82m 구간 도로구역 변경[9]
  • 1998년 7월 20일 : 1999년 9월까지 한천교(화순군 한천면 금전리 ~ 한계리) 가설공사를 위해 6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
  • 2000년 2월 11일 : 2006년 1월까지 내리교(화순군 남면 내리) 개축공사를 위해 3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1]
  • 2001년 2월 27일 : 지방도 정비공사를 위해 화순군 남면 내리 ~ 용리 6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2]
  • 2003년 2월 13일 : 2003년 7월까지 화순 도곡지구(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개량공사를 위해 1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3]
  • 2003년 3월 27일 : 기점을 나주시 남평읍 동사리에서 '나주시 남평읍 교촌리'로 변경함. 이에 따라 총 연장 38.2km가 됨.[14]
  • 2005년 7월 5일 : 2006년 12월까지 오룡지구(화순군 남면 장전리 ~ 용리) 개량공사를 위해 1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5]
  • 2006년 3월 20일 : 2006년 12월까지 한천지구(화순군 한천면 오음리) 개량공사를 위해 5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6]
  • 2008년 4월 18일 : 2010년 12월까지 나주 노안지구(나주시 노안면 영평리) 개량공사를 위해 558m 구간 도로구역 변경[17]
  • 2009년 1월 28일 : 2010년 12월까지 화순 장전지구(화순군 남면 장전리) 개량공사를 위해 2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8]
  • 2010년 7월 13일 : 2015년 5월까지 나주IC ~ 동신대간 도로(나주시 노안면 양천리 ~ 대호동) 확포장공사를 위해 6.7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9]
  • 2011년 6월 3일 : 2011년 10월까지 화순 장전지구(화순군 남면 장전리) 개량공사를 위해 2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0]
  • 2013년 9월 23일 : 화순군 한천면 반곡리 1.28km 구간 개통, 기존 화순군 한천면 반곡리 120m 구간 폐지[21]
  • 2014년 7월 10일 : 2016년 12월까지 빛그린국가산단진입도로(나주시 노안면 양천리) 개설공사를 위해 9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2]
  • 2015년 4월 16일 : 나주IC ~ 동신대간 도로 공사 기간을 2018년 12월까지로 연기[23]
  • 2020년 2월 19일 : 빛그린국가산단진입도로(나주시 노안면 양천리) 900m 구간 확장 개통[24]
  • 2020년 2월 27일 : 나주IC ~ 동신대간 도로(나주시 노안면 양천리 ~ 대호동) 6.7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나주시 노안면 영평리 290m 구간 폐지[25]

주요 경유지

[편집]

본래 노선

[편집]
  • 나주시
    • 남평읍 남평오거리 - 남평읍소재지 교차로 - 남평초등학교 - 서산리 - 오계리 - 남평읍오계리 교차로 - 광탄교 - 남평읍우산리 교차로 - 평리교
  • 화순군
    • 도곡면 평리교 - 평리 - 도곡면평리 교차로 - 호산삼거리 - 효산리 - 도곡농공단지 - 대곡리
    • 능주면 능주소방서 - 석고 회전교차로 - 관영리 - 능주역 - 잠정리 - 능주가도건널목 - 한천교
    • 한천면 한천교 - 모산 교차로 - 모산삼거리 - 금전리 - 한천교 - 한천 교차로 - 한천면사무소 - 제2한계교 - 오음교 - 오음리 - 제2오음교 - 한천자연휴양림 - 돗재 - 반곡리 - 반곡교 - 동가리 - 한천면정우리 교차로 - 원동교
    • 사평면 원리 - 화순사평중학교 - 남면벽송리 교차로 - 제2벽송교 - 남면사평리 교차로 - 사평초등학교 - 원진 교차로 - 장전리 - 오룡교 - 용리 - 용리교 - 내리 - 내리교
    • 동복면 연둔리 - 한천리 - 한천교 - 화순동복중학교 - 동복 교차로 - 독상리 - 동복삼거리

중복 구간

[편집]

도로명

[편집]

각주

[편집]
  1. 본래구간(남평 ~ 동복선) 38.2km
  2. 전라남도고시 제169호, 1983년 12월 14일.
  3. 전라남도고시 제167호, 1984년 12월 10일. 전라남도 도보 제1637호.
  4. 전라남도공고 제343호, 1985년 12월 23일. 전라남도 도보 제1690호.
  5. 전라남도공고 제7호, 1987년 1월 22일. 전라남도 도보 제1747호.
  6. 전라남도공고 제1995-220호, 1995년 12월 8일. 전라남도 도보 제2212호.
  7. 전라남도공고 제1996-257호, 1996년 11월 25일. 전라남도 도보 제2268호.
  8. 전라남도고시 제1996-336호, 전라남도공고 제1996-275호, 전라남도공고 제1996-276호, 1996년 12월 9일. 전라남도 도보 제2271호.
  9. 전라남도고시 제1997-229호, 전라남도공고 제1997-147호, 전라남도공고 제1997-148호, 1997년 8월 20일.
  10. 전라남도고시 제1998-133호, 전라남도공고 제1998-157호, 전라남도공고 제1998-158호, 1998년 7월 20일.
  11. 전라남도고시 제2000-15호, 전라남도공고 제2000-38호, 전라남도공고 제2000-39호, 2000년 2월 11일.
  12. 전라남도고시 제2001-3호, 2001년 2월 27일.
  13. 전라남도공고 제2003-57호, 전라남도공고 제2003-58호, 전라남도고시 제2003-19호, 2003년 2월 13일.
  14. 전라남도공고 제2003-111호, 2003년 3월 27일.
  15. 전라남도공고 제2005-352호, 전라남도고시 제2005-103호, 2005년 7월 5일.
  16. 전라남도고시 제2006-34호, 2006년 3월 20일.
  17. 전라남도고시 제2008-71호, 전라남도공고 제2008-246호, 2008년 4월 18일.
  18. 전라남도공고 제2009-56호, 전라남도고시 제2009-38호, 2009년 1월 28일.
  19. 전라남도공고 제2010-454호, 전라남도고시 제2010-197호, 2010년 7월 13일.
  20. 전라남도공고 제2011-336호, 전라남도고시 제2011-152호, 2011년 6월 3일.
  21. 전라남도공고 제2013-843호, 2013년 9월 23일.
  22. 전라남도고시 제2014-205호, 2014년 7월 10일.
  23. 전라남도고시 제2015-95호, 2015년 4월 16일.
  24.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31호, 2020년 2월 19일.
  25. 전라남도공고 제2020-214호, 2020년 2월 27일.